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21

참시호 참시호(1) | 가는시호, 시호 Cham-si-ho Bupleurum falcatum var. scorzonerifolium (Willd.) Ledeb. ○ 국명정보 가는시호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참시호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참 + 시호", 참시호라는 이름은 진짜(참) 시호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시호를 닮았으나 잎이 선형으로 시호에 비해 가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산형과(Apiaceae) 시호속(Bupleurum) 개시호 / 등대시호 / 섬시호 / 시호 / 좀시호 / 참시호 ○ 분포|자생지 러시아(시베리아), 몽골, 한국, 중국 동북부 등 동북아시아 | 황해남도, 경기도, 전라남도, .. 2017. 9. 17.
생열귀나무(3) 생열귀나무(3) | 붉은인가목, 해당화, 뱀의찔네/가마귀밥나무/좀붉은인가목, 뱀찔네/산붉은인가목, 생열귀장미 Saeng-yeol-gwi-na-mu Rosa davurica Pall. ○ 국명정보 생열귀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생 + 열귀 + 나무", 생열귀나무라는 이름은 생(강조의 의미)과 열귀(아가위)와 나무(木)의 합성어로, 꽃과 열매 등이 아가위(산사나무 또는 해당화)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함경남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생은 생트집 또는 생때에서처럼 강조의 뜻으로 사용되는 말이다. 열귀는 아가위의 함경남도 방언에서 유래했다. 해당화 열매를 悅口라고 한다는 기록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 2017. 9. 17.
노랑개자리 노랑개자리 | 노랑꽃개자리, 개전동싸리, 중국명 花苜蓿 No-rang-gae-ja-ri Medicago ruthenica (L.) Ledeb. | 이명 Medicago ruthenica (Linn.) Trautv. ○ 국명정보 노랑개자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노랑 + 개자리", 노랑개자리라는 이름은 노란색 꽃이 피는 개자리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콩과 (Leguminosae) 개자리속 (Medicago) 노랑개자리, 나무개자리(재배), 자주개자리(귀화), 개자리(귀화), 잔개자리(귀화). 좀개자리(귀화) ○ 분포|자생지 러시아 사할린, 시베리아, 아무르, 몽골, 중국 동북부 | 중부 이북, 제주도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 2017. 9. 17.
큰도꼬마리(1) 큰도꼬마리(1) | 창이자 Keun-do-kko-ma-ri Xanthium canadense Mill. ※귀화식물 ○ 국명정보 큰도꼬마리 : 이우철, 임양재(1978) ○ 국명의 유래 "큰 + 도꼬마리", 큰도꼬마리라는 이름은 도꼬마리를 닮았으나 식물체가 보다 크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도꼬마리라는 이름은 옛이름 됫고마리 또는 도고말이가 어원으로, 약재로 사용하는 열매의 가시가 되(도로) 고부라져 말린 모양 또는 머리 모양이라고 본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해바라기족(Heliantheae)>도꼬마리속(Xanthium) 바늘도꼬마리 / 가시도꼬마리 / 큰도꼬마리 / 도.. 2017.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