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08

참기생꽃(1) 참기생꽃(1) | 기생초, 좀기생초 Cham-gi-saeng-kkot Trientalis europaea L., 1753.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종 ○ 국명 정보 참기생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참 + 기생꽃", 참기생꽃이라는 이름은 진짜(참) 기생꽃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기생꽃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작고 꽃이 예쁜 것을 기생에 비유한 것에서 유래했다. 꽃은 7-8월에 1-3개씩 피는데 긴 꽃자루에 달리 흰색 꽃이 매우 아름답고 가녀린 느낌을 준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앵초과(Primulaceae) 기생꽃속(Trientalis) 기생꽃 / 참기생꽃 ○ 분포|자생지 일본·사할린·쿠릴·북아메리카·유럽, 한.. 2016. 7. 23.
세라토필룸 데메르숨(?) 세라토필룸 데메르숨(?) Ceratophyllum demersum L. ○ 분류 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 붕어마름속(Ceratophyllum) ○ 분포|자생지 북아메리카 미국 전역, 캐나다. 유럽, 노르웨이 북위 66도까지, 중국, 시베리아, 뉴질랜드, 베트남, 아프리카 브르키나 파소 등 | 호수, 강, 연못 등 물이 잠겨 있거나 흐름.. 2016. 7. 23.
조름나물(3) 조름나물(3) | 중국명 睡菜 Jo-reum-na-mul Menyanthes trifoliata L. ※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종 ※ 속명 Menyanthes은 그리스어 menyein(표현하다) + anthos(꽃)의 합성어로 꽃이 아래에서부터 서서히 위로 올라가면서 핀다는 뜻이고, 종소명 trifoliata 3개의 작은잎이 달린다는 뜻이다. ○ 국명정보 조름나물 : 정태현, 도봉성,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조름나물", 조름나물이란 이름은 중국의 고서 에 睡菜라 하고 이를 먹으면 좋고 졸린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 보아 '먹으면 졸음이 오는 나물'이라는 뜻의 수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분류 조름나물과(Menyanthaceae) 조름나물속(Menyanthes) 조.. 2016. 7. 23.
대상화 대상화 | 가을모란, 추목단, 추면국 Dae-sang-hwa Anemone hupehensis var. japonica (Thunb.) Bowles & Stearn | Anemone hupehensis (Lemoine) Lemoine ○ 국명 정보 대상화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대상화", 라는 이름은 한자명 待霜花에서 유래한 것으로 서리가 내리기를 기다려 피는 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바람꽃속(Anemone) 가래바람꽃 / 꿩의바람꽃 / 남방바람꽃 / 들바람꽃 / 바람꽃 / 세바람꽃 / 숲바람꽃 / 쌍동이바람꽃 / 태백바람꽃 / 홀아비바람꽃 / 회리바람꽃 / 대상화 ○ 분포|자생지 중국 원산, 해발 400~2,600m의 풀밭이나 하천.. 2016.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