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08

흑삼릉(1) 흑삼릉(1) | 黑三稜, 흑삼능, 호흑삼능 Heuk-sam-reung Sparganium erectum L. ○ 국명정보 흑삼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흑삼릉 : 이춘녕, 안학수 (1963) ○ 국명의 유래 흑삼릉이라는 이름은 한자어 黑三稜에서 유래한 것이다. 한약재로 사용하는 三稜 중에서 뿌리 부위가 검은색을 띤다는 뜻이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흑삼능으로 기록했으나 한국식물명감에서 흑삼릉으로 기록한 이래 현재에 이르고 있다.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부들과(Typhaceae) 흑삼릉속(Sparganium) 흑삼릉 / 조선흑삼릉 / 가는흑삼릉 / 긴흑삼릉 / 남흑삼릉 / 두메흑삼릉 / 좁은잎흑삼릉 ※크론키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흑삼릉.. 2017. 4. 1.
애기아욱(1) 애기아욱(1) | Ae-gi-a-uk Malva parviflora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애기아욱 : 박수현 (2001) ○ 국명의 유래 "애기 + 아욱", 애기아욱이라는 이름은 아욱에 비해 아기(>애기)처럼 작은 아욱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아욱아과 (Malvoideae) 아욱속(Malva) 아욱 / 둥근잎아욱 / 애기아욱 / 난쟁이아욱 / 당아욱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아프리카, 서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일본, 한국 등에 귀화 | 제주도의 길가, 빈터 등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 20-50cm, 가지 치며, 털 있거나 없다 잎 어긋나며 원형 또는 콩팥 모양, 길이 3-6cm, 5-7개 열편으로 중열, 가장자리 둔한 거치가 있고, 심장저. 엽병.. 2017. 3. 11.
인도보리수 인도보리수 | 印度菩提樹, 보리수, 보리수고무, 인삼고무나무, 영명 Bo tree, Peepul, Sacred fig, Fig Sacred In-do-bo-ri-su Ficus religiosa L. ○ 국명정보 인도보리수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인도보리수" 라는 이름은 불교와 관련이 있다. 부처가 도를 깨우친 나무를 불교에서는 산스크리스트어로 보디드루마(Bodhidruama), 또는 필팔라(Pippala), 보(Bo)라고도 한다. 불교가 중국에 들어오면서 불경을 한자로 번역할 때 이 나무의 이름을 그대로 음역해서 보리수(菩提樹)라는 이름을 지었다. 우리나라 자생종인 보리수나무와 구별하기 위해 인도보리수라고 보른다. 참고 : 박상진 (2019) ○ 분류 뽕나무과(Moraceae) 무.. 2017. 2. 14.
능수쇠뜨기(1) 능수쇠뜨기(1) | 솔속새, 솔쇠뜨기 Neung-su-soe-ttei-gi Equisetum sylvaticum L. ○ 국명정보 능수쇠뜨기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능수 + 쇠뜨기", 능수쇠뜨기라는 이름은 엽초와 포자낭이삭이 길고, 마디에서 가지를 뻗다가 다시 작은 가지를 뻗으며 가지 끝이 능수버들처럼 아래로 처지는 쇠뜨기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속새과(Equisetaceae) 속새속(Equisetum) 쇠뜨기 / 물쇠뜨기 /능수쇠뜨기 / 개쇠뜨기 / 개속새 / 속새 / 좀속새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 일본, 한국, 유럽, 북아메리카 등 | 북부지방(양강도) 하천가의 습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하록성 근경 땅 속을 길게 뻗는다. 영양경 길.. 2016.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