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삼릉(1)
흑삼릉(1) | 黑三稜, 흑삼능, 호흑삼능 Heuk-sam-reung Sparganium erectum L. ○ 국명정보 흑삼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흑삼릉 : 이춘녕, 안학수 (1963) ○ 국명의 유래 흑삼릉이라는 이름은 한자어 黑三稜에서 유래한 것이다. 한약재로 사용하는 三稜 중에서 뿌리 부위가 검은색을 띤다는 뜻이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흑삼능으로 기록했으나 한국식물명감에서 흑삼릉으로 기록한 이래 현재에 이르고 있다.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부들과(Typhaceae) 흑삼릉속(Sparganium) 흑삼릉 / 조선흑삼릉 / 가는흑삼릉 / 긴흑삼릉 / 남흑삼릉 / 두메흑삼릉 / 좁은잎흑삼릉 ※크론키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흑삼릉..
2017. 4. 1.
애기아욱(1)
애기아욱(1) | Ae-gi-a-uk Malva parviflora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애기아욱 : 박수현 (2001) ○ 국명의 유래 "애기 + 아욱", 애기아욱이라는 이름은 아욱에 비해 아기(>애기)처럼 작은 아욱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아욱아과 (Malvoideae) 아욱속(Malva) 아욱 / 둥근잎아욱 / 애기아욱 / 난쟁이아욱 / 당아욱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아프리카, 서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일본, 한국 등에 귀화 | 제주도의 길가, 빈터 등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 20-50cm, 가지 치며, 털 있거나 없다 잎 어긋나며 원형 또는 콩팥 모양, 길이 3-6cm, 5-7개 열편으로 중열, 가장자리 둔한 거치가 있고, 심장저. 엽병..
2017.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