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08

워싱턴야자나무 워싱턴야자나무 | 워싱톤야자, 와싱토니아 필리페라, desert fan palm Weo-sing-teon-ya-ja Washingtonia filifera (Linden ex André) H. Wendl. ex de Bary | 이명 Washingtonia filifera (Linden ex Andre) H. Wendl.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Arales 천남성목 > Arecaceae 야자나무과 > Washingtonia 워싱턴야자나무속 워싱톤야자나무 ○ 분포|자생지 미국 남서부, 멕시코,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하며, 미국 남동부, 하와이,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호주의 뉴 사우스 웨일즈 등에 귀화하여 자란다. | 우리나라 남부 지역 정원, 도로가에.. 2016. 11. 18.
능금나무 능금나무 | 능금, 사과 Heung-geum-na-mu Malus asiatica Nakai ○ 국명정보 능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능금나무 : 이창복 (1947) ○ 국명의 유래 1. "능금 + 나무" 능금나무라는 이름은 한자명 림금(林檎)에 뿌리를 둔 것으로, 김금>닝금>능금으로 발음이 변화했다. 중국 이시진은 에서 "이 식물의 과실 맛이 달아서 많은 동물들을 숲속으로 불러모을 수 있기에 임금과 내금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고 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예로부터 우리 산에 자라는 야생 사과나무이다. 사람들이 과일나무로 캐다 심으면서 개화기까지 우리의 전통 과일나무로 자리를 잡았다. 한자 이름은 임금(林檎)이며, 이것이 님금을.. 2016. 8. 6.
뱀무 뱀무 | 배암무, 水楊梅(중국명) Baem-mu Geum japonicum Thunb. ○ 국명정보 뱀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배암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뱀 + 무", 뱀무라는 이름은 잎몸의 모양이 무를 닮았는데 무보다 가치가 덜하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한다. 옛날에는 전초를 약용하고 어린잎을 식용했다. 중국에서는 뱀무속을 水楊梅(수양매)라는 이름으로 약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뱀무속(Geum) 뱀무 / 큰뱀무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산과 들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25∼100cm이다. 전체에 털이 난다.. 2016. 7. 23.
분홍바늘꽃(1) 분홍바늘꽃(1)  |  큰바늘꽃 버들잎바늘꽃Bun-hong-ba-neul-kkotChamerion angustifolium (L.) Holub분홍바늘꽃○ 국명 정보분홍바늘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분홍 + 바늘꽃", 분홍바늘꽃이라는 이름은 분홍색 꽃이 피는 바늘꽃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바늘꽃과(Onagraceae) 분홍바늘꽃속(Chamerion)  분홍바늘꽃 ○ 분포|자생지   극지 부근, 한대 및 아한대 지역 | 강원도(오대산, 설악산, 함백산) 중북부 이상의 높은 산 양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지하경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큰 군집을 형성한다.   줄기  높이.. 2016.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