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21

Oxytropis hirta Bunge Oxytropis hirta Bunge 중국명 硬毛棘豆 [ying mao ji dou] ※푸른나비 님의 도움으로 중국 내몽고에서 만난 식물을 위와 같이 동정함 콩과(Fabaceae) ? 묏황기속(Hedysarum)? 황기속(Astragalus)? 棗豆屬(Oxytropis)? 꽃이 나비 모양인 것으로 보여 일단 콩과(Fabaceae)에 해당하지 않나 생각하였다. 카페 아고산식물연구회에 자문을 구했더니 병풍산님이 묏황기속(Hedysarum)으로 보인다며 중국식물지 검색표를 제공해 주었다. 중국식물지에는 묏황기속에 51개 하위종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식물지 하위종을 일일이 검색하여 세밀화를 찾아 보았으나 똑같은 것이 없다. 또 다시 러시아인이 냈다는 중앙아시아식물도감 검색표를 제공해 준다. 거기에 나와 있는 .. 2019. 1. 3.
산토끼꽃과(Dipsacaceae) 솔체꽃속(Scabiosa) 산토끼꽃과(Dipsacaceae) 솔체꽃속(Scabiosa) 2016년 중국 연길 용정 일송정 주변에서 만나본 솔체꽃 종류와는 잎이 달라 보인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솔체꽃속은 4가지 종이 있다. 이 중 어느 것과도 같아 보이지 않는다. Scabiosa tschiliensis Gruning 솔체꽃 Scabiosa tschiliensis f. alpina (Nakai) W.T.Lee 구름체.. 2018. 12. 31.
종비나무(3) 종비나무(3) | 비눌가문비나무, 红皮云杉(중국명) Jong-bi-na-muPicea koraiensis Nakai ○ 국명정보종비나무, 비눌가문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1. "종 + 비 + 나무", 종비나무라는 이름은 한자어 종비(樅榧)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나무와 비자나무를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가문비나무와 속이 같고 가까운 형제 나무로 나무껍질의 색깔이 가문비나무보다 약간 밝긴 하지만 매우 닮았다. 하지만 가문비나무와 다른 종임을 나타내기 위해 새로운 이름이 필요했다. 한반도 북부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전나무를 뜻하는 종(樅)을 앞에 두고, 뾰족한 잎이 비자나무(榧子)와 닮았으므로.. 2018. 12. 30.
넓은쑥부지깽이 넓은쑥부지깽이 | 쑥부지깽이, 민부지깽이, 쑥부지깽이나물, 약노란냉이, 쑥노란냉이, 영명 treacle-mustard, wormseed wallflower Neolbeun-ssuk-bu-ji-kkaeng-i Erysimum cheiranthoides L. ※쑥부지깽이 => 넓은쑥부지깽이로 변경(김진석 외 2 ) ○ 국명정보 넓은쑥부지깽이 : 김진석 외2 쑥부지깽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넓은 + 쑥부지깽이", 넓은쑥부지깽이라는 이름은 쑥부지깽이에 비해 잎이 넓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쑥부지깽이라는 이름의 정확한 유래는 밝혀진 것이 없다. 다만 유사한 식물로 부지깽이나물이 있는 점에 비추어, 부지깽이라는 이름은 쑥과 부지깽이의 합성어로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2018.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