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취(4)
곰취(4) | 곤달비/개끔취, 왕곰취, 큰곰취, 북곰취 Gom-chwi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 국명정보 곰취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곰 + 취", 곰취라는 이름은 잎이 곰의 발자국을 닮았고, 나물(취)로 먹는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강원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깊은 산에서 자라며 어린잎을 식용했다. 16세기의 한그명 '곰ㄷ·ㄹ외'가 19세기에 이르러 곰취(곰츄ㅣ) 형태로 정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금방망이족>(Senecioneae)>곰취속(Ligularia) 갯취 / 곤달비 / 곰취 / ..
2019. 1. 3.
쇠채(2)
쇠채(2) | 미역꽃 Soe-chae Scorzonera albicaulis Bunge ○ 국명정보 쇠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쇠 + 채", 쇠채라는 이름은 긴 줄기에 꽃봉오리 또는 열매가 맺힌 모양이 쇠채를 닮은 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꽹과리를 쇠라고 하므로 쇠채는 꽹과리를 치는 채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봄에 어린잎을 채취해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치커리아과(Cichorioideae)>치커리족(Cichorieae)>쇠채속(Scorzonera) 쇠채 / 멱쇠채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한국 | 전국의 원야나 산기슭의 풀밭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
2019.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