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21

백합과(Liliaceae) 부추속(Allium) 백합과(Liliaceae) 부추속(Allium) 중국식물지에 의하면 백합과 Allium Linnaeus, 葱属 [cong shu, 총속] 에 세계적으로 약 660종, 주로 아시아에 많이 분포하고, 아프리카, 중앙~남부 아메리카에 약간 분포한다고 한다. 중국에는 하위종에 138 종이 기록되어 있다. ▩ Allium ramosum Linnaeus, 野韭 [ye jiu] -현지인들이 이 부추속 꽃을 따서 바구에 담아서 간다. -국립공원 내에서 셔틀버스로 이동 중 탄 현지 관리인들이 채취하여 가는데 그것을 차 안에서 찍은 것임. ▩ Allium senescens Linnaeus, 山韭[shan jiu] Allium bidentatum Fischer ex Prokhanov & Ikonnikov-Galitzky, .. 2019. 1. 5.
긴잎제비꿀 긴잎제비꿀 | 중국명 长叶百蕊草(장엽백예초) chang ye bai rui cao Gin-ip-je-bi-kkul Thesium longifolium Turczaninow ※우리나라에는 '긴잎제비꿀'이란 국명은 분포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긴제비꿀(Thesium refractum C. A. Mey.)의 중국명은 急折百蕊草(급절백예초-급히 꺾이는 제비꿀)이다. ○ 국명 정보 긴잎제비꿀 : 없음 ○ 국명의 유래 "긴잎 + 제비꿀", 긴잎제비꿀이라는 이름은 제비꿀을 닮았으나 잎이 상대적으로 긴 데서 유래했다. ○ 분류 단향과(Santalaceae) 제비꿀속(Thesium) 제비꿀 / 긴제비꿀 ※중국식물지에서는 长叶百蕊草 Thesium longifolium Turcz. 急折百蕊草 Thesium refractum.. 2019. 1. 5.
물속새 물속새 | 중국명 溪木贼 xi mu zei Mul-sok-sae Equisetum fluviatile Linnaeus ○ 국명정보 물속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물 + 속새", 물속새라는 이름은 북부 습지나 시냇가 도랑에 나는 속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개쇠뜨기와 유사하나 줄기의 마디 능선 수가 15-20개이며 줄기 속이 비어 있는 특징이 있다. ○ 분류 속새과(Equissetaceae) 속새속(Equisentum) 쇠뜨기 / 물쇠뜨기 / 개쇠뜨기 / 개속새 / 속새 / 좀속새 / 물속새 ○ 분포|자생지 중국 북부, 러시아, 일본, 한국 북부, 유럽, 북미 | 북부 습지, 시냇가, 도랑 등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습생한다. 근경 물가 흙 속에서.. 2019. 1. 5.
육지꽃버들(1) 육지꽃버들(1) | 육지버들, 대륙꽃버들, 대륙솜버들, 륙지꽃버들 Yuk-ji-kkot-beo-deul Salix viminalis L. | Salix schwerinii E.L. Wolf ○ 국명정보 육지꽃버들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육지꽃 + 버들" 육지꽃버들이라는 이름은 육지(대륙)에서 자라는 꽃이 아름다운 버들이라는 뜻이다. 에서 꽃버들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산지 육지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버드나무과(Salicaceae) 버드나무속(Salix) 강계버들 / 개수양버들 / 갯버들 / 능수버들 / 버드나무 / 분버들 / 섬버들 / 수양버들 / 쌍실버들 / 제주산버들 / 쪽버들 / 콩버.. 2019.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