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속새 | 중국명 溪木贼 xi mu zei
Mul-sok-sae
Equisetum fluviatile Linnaeus
○ 국명정보
물속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1949)
○ 국명의 유래
"물 + 속새", 물속새라는 이름은 북부 습지나 시냇가 도랑에 나는 속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개쇠뜨기와 유사하나 줄기의 마디 능선 수가 15-20개이며 줄기 속이 비어 있는 특징이 있다.
○ 분류
속새과(Equissetaceae) 속새속(Equisentum)
쇠뜨기 / 물쇠뜨기 / 개쇠뜨기 / 개속새 / 속새 / 좀속새 / 물속새
○ 분포|자생지
중국 북부, 러시아, 일본, 한국 북부, 유럽, 북미 | 북부 습지, 시냇가, 도랑 등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습생한다.
근경 물가 흙 속에서 길게 기거나 곧데 서며 가운데에 구멍이 나고 갈색이며 마디에 뿌리가 나온다.
줄기 흔히 모여 자라며 포자엽이 따로 나오지 않고 끝에 포자낭이삭이 달리고 길이 40-70cm, 지름 5-10mm 이다. 짙은 녹색이고, 15-25개의 능선이 있지만 뚜렷하지 않다. 속이 4/5까지 비어 있어 벽이 매우 얇다. 주가지의 아랫부분은 1-3개의 마디가 있으며 광택이 있다. 짧은 가지를 불규칙하게 내거나 긴 가지가 불규칙적으로 나온다.
엽초 길이 ㅣ5-10mm 이고 녹색이며, 빽빽이 줄기를 둘러싼다. 치편은 침상 피침형으로 매우 뾰족하며 아랫면은 납작하고 홈이 없으며 검은색이다.
포자낭이삭 줄기 끝에 1개씩 붙고, 원주형으로 길이 1-2cm 지름 4-5mm이고 자루가 있다. 자루의 길이는 0.8-3cm이다.
○ 동정 포인트
개쇠뜨기와 유사하나 물기의 마디 능선 수가 15-25개로 많지만 뚜렷하지 않으며 줄기는 속이 거의 비어 있다.
▩ 속새속 검색표
종명 | 상태 | 줄기 | 엽초 길이 | 줄기 마디 능선 수 | 포자낭이삭의 자루 |
쇠뜨기 | 하록성 | 2가지 모양 | 5mm | 6-10개 | 3-6cm |
물쇠뜨기 | 하록성 | 2가지 모양 | 6-9mm | 6-18개 | 2-5cm |
능수쇠뜨기 | 하록성 | 2가지 모양 | 10-30mm | 10-14개 | 2-6cm |
개쇠뜨기 | 하록성 | 같은 모양 | 10-12mm | 5-10개 | 0.5-3cm |
물속새 | 하록성 | 같은 모양 | 5-10mm | 15-25개 | 0.8-3cm |
속새 | 상록성 | 같은 모양 | 8-15mm | 10-18개 | 없음 |
개속새 | 상록성 | 같은 모양 | 8-15mm | 5-20개 | 없음 |
▩ 중국식물지의 물속새 세밀화(4-5)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33500617
▩ 속새속 검색표 1. 줄기는 하록성이다. 포자낭수의 자루가 있다. 1. 줄기는 상록성이다. 포자낭수의 자루가 없다. 5. 줄기는 굴곡되지 않는다. 6. 줄기에 가지가 있다.--------------------개속새 6. 줄기에 가지가 없다.----------------------속새 5. 줄기는 굴곡된다.------------------------ 좀속새 |
○ 참고
국립수목원 <한국식물 도해도감 2. 양치식물>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