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08

금방망이(4) 금방망이(4) | 대륙금망이, 산쑥방맹이 Geum-bang-mang-i Senecio nemorensis L. ○ 국명정보 금방망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금 + 방망이", 금방망이라는 이름은 솜방망이를 닮았는데 꽃이 선황색으로 피는 점이 황금을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금방망이족>(Senecioneae)>금방망이속(Senecio) 개쑥갓 / 금강솜방망이 / 금방망이 / 삼잎방망이 / 쑥방망이 / 웅기솜나물 / 백묘국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러시아, 유럽, 한국, | 평북, 함남북, 제주 등의 산지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짧다. 줄기 곧추서며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 2018. 12. 28.
콩과 묏황기속 콩과(Leguminosae) 묏황기속(Hedysarum) 자주황기와는 전혀 달라 보인다. 묏황기(Hedysarum alpinum)와 비슷해 보인다. 2018. 12. 28.
딱지꽃(2) 딱지꽃(2) | 동녹풀, 동녹나물/딱지, 갯딱지, 당딱지꽃 Ttak-ji-kkot Potentilla viscosa J. Don ○ 국명정보 딱지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딱지 + 꽃", 딱지꽃이라는 이름은 식용하는 잎이 땅에서 붙어 펴져서 자라는 모습이 딱지를 연상시키는 것에서 유래했다. 어린잎을 식용했는데 표면에 털이 없어 윤기가 돌며 딱딱해 보이는 모습이 마치 딱지처럼 보인다. 딱지는 어떤 것의 딱딱한 껍질 또는 그림이나 글을 써넣어 어떤 표로 쓴 종잇조각이나 딱딱한 종이로 만든 아이들의 장난감을 말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양지꽃속(Potentilla) 가락지나물 / 개소시랑.. 2018. 12. 27.
고삼(1) 고삼(1) | 苦蔘, 도둑놈의지팽이, 도둑놈의지팡이, 뱀의정자나무, 쓴너삼, 너삼, 느삼, 능암/넓은잎능암 Go-sam Sophora flavescens Aiton ○ 국명정보 고삼 : 박만규 (1949) 도둑놈의지팽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고삼이라는 이름은 한자어 苦蔘에서 비롯한 것으로, 산삼처럼 생긴 뿌리가 괴로울 정도로 쓰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옛 이름 중 너삼은 널(板)과 삼(蔘)의 합성어로 뿌리가 인삼을 닮았는데 널빤지처럼 넓은 형태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쓴너삼은 황기를 단너삼이라고 한 것과 비교해 매우 쓴맛이 난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배얌의정자라는 이름은 정확한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줄기를 길게 뻗는 모양을 도둑놈의 지팡이에 비유하.. 2018.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