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21

도랭이피(3) 도랭이피(3) | 도랑이피 Do-raeng-i-pi Koeleria cristata (L.) Pers. ○ 국명정보 도랭이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도랭이 + 피" 도랭이피라는 이름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띠나 짚 따위로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른 비옷을 도랭이(도롱이)라고 하므로, 도랭이피는 꽃차례를 비롯한 식물체 전체의 모양이 도롱이와 유사한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도랭이피속(Koeleria) 도랭이피 / 글라우카도랑이피(재배)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티베트, 시베리아, 코카서스, 중앙아시아, 유럽, 북.. 2018. 12. 29.
국화과(Asteraceae) 취나물속(Saussurea)(?) 국화과(Asteraceae) 취나물속(Saussurea)(?) 얼핏 보면 우리나라 각시취 비슷해 보인다. 잎은 아니지만. 국화과(Asteraceae) 취나물속(Saussurea)으로 우선 정리한다. 2018‎년 ‎6월‎ ‎29‎일 중국 내몽골 아얼산 2018. 12. 29.
가는잎쐐기풀(2) 가는잎쐐기풀(2) | 가는쐐기풀, 꼬리쐐기풀, 약쐐기풀Ga-neun-ip-sswae-gi-pul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 국명정보가는잎쐐기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가는잎 + 쐐기풀",  가는잎쐐기풀이라는 이름은 쐐기풀에 비해 잎이 가늘고 좁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쐐기풀이라는 종래의 이름이 한 명칭으로 여러 종의 식물을 일컫는 이물동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전통 명칭 쐐기풀을 기본으로 하고 잎의 형태적 특징과 학명을 고려한 가는잎을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쐐기풀속(Urtica)  가는잎쐐기풀 / 긴꼬리쐐기풀 .. 2018. 12. 29.
초롱꽃과(Campanulaceae) 잔대속(Adenophora) 초롱꽃과(Campanulaceae) 잔대속(Adenophora) 잔대속으로 보이느데 잎이 선형에 가깝게 가늘다. 중국식물지에 의하면 세계적으로 약 50종, 중국에는 약 40종이 분포한단다. 细叶沙参 Adenophora paniculata Nannf. 일까? 중국식물지의 细叶沙参 (Adenophora paniculata Nannf.) 세밀화(1-7) 주소 http://frps.eflora.cn/frps/Ad.. 2018.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