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493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개암나무과 개암나무속(Corylus)은 확실한데 정확한 학명은 잘 모르겠다. 중국식물지 세밀화에는 아래와 같다. 출전 http://frps.eflora.cn/frps/Corylus%20heterophylla -중국식물지의 华榛, Corylus chinensis Franch. 에 가까워 보임. 우리나라 참개암나무보다는 과포 길이가 짧은 게 특징. =>Ostryopsis davidiana Decaisne 으로 수정함(푸른나비 님의 도움으로) -중국식물지에 의하면 중국명 榛, Corylus heterophylla Fisch.에 가까워 보인다. 우리나라 개암나무와 비슷하다. 2018. 12. 22.
십자화과 내몽골 아얼산 상당히 높은 지대에서 만났다. 십자화과는 분명한데 장대나물속 비슷해 보이는데 중국식물지에서 검색해 봐도 똑 같은 것을 찾을 수 없다. 2018. 06. 30. 중국 내몽골 아얼산 2018. 12. 22.
홍콩난초나무 홍콩난초나무 | 홍콩난나무, 红花羊蹄甲(홍화양제갑), 영명; 홍콩 오키드 트리(Hong Kong orchid tree) Bauhinia x blakeana Dunn 해외식물, 화훼원예종 ※홍콩난나무는 모계 B. purpurea 羊蹄甲(양제갑)과 부계 B. variegata 洋紫荊(양자형)의 교잡종이다. ○ 분류 콩과(Fabaceae)>바우히니아속(Bauhinia) 홍콩난.. 2018. 12. 18.
선연리초(2) 선연리초(2) | Seon-yeon-ri-cho Lathyrus komarovii Ohwi ○ 국명정보 선연리초 :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 국명의 유래 "선 + 연리초", 선연리초라는 이름은 연리초와 닮았으나 덩굴져 눕지 않고 서서 자라는 연리초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연리초라는 이름은 連理草에서 비롯한 것으로 2장으로 마주나기를 하는 작은잎이 마치 연리지와 같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중국과 우리의 옛 문헌에서 발견되지 않는 한자어인 점에서 일본명 レンリソウ(連理草)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콩과(Leguminosae) 연리초속(Lathyrus) 활량나물 / 가는갈퀴.. 2018.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