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321

베트남 남부지방의 양치식물 2013.01.21.-25. 베트남 남부지방여행을 다녀왔다. 식물 탐사 목적이 아니라 유람차 갔기에 차분히 사진 촬영할 시간 여유가 없어서 보이는 대로 그냥 셔터를 눌러 대서 동정에 어려움이 많을 줄 압니다만 그냥 올려 공유하고자 합니다. 1. 미토 가는 길에서 만난 것들 1-1. 털별고사리(http://www... 2013. 2. 2.
속씨식물 APG 분류 체계 속씨식물 분류 체계 비교 (APG-APGII-APGIII) 아래는 속씨식물의 과 목록이다. 아래 목록은 APG III 분류 체계에 따른 과 목록으로 모두 68목, 414과를 포함하고 있다. ※이 문서는 2015년 9월 17일 (목) 18:20에 마지막으로 바뀌었습니다. 목록 상목 목 NO. 과 암보렐라상목 암보렐라목 1 암보렐라과 (Ambor.. 2013. 1. 14.
참꽃받이 참꽃받이 | 왕꽃마리 Cham-kkot-baji Bothriospermum secundum Maxim. ○ 국명정보 참꽃받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왕꽃받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참 + 꽃받이", 참꽃받이라는 이름은 진짜(참) 꽃받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꽃받이와 비슷하지만 보다 크고 억세며 누운 흰색의 거센털과 잔털이 밀생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식물체가 크다는 뜻의 왕꽃받이를 신칭했으나 조선식물명집에서 참꽃받이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지치과(Boraginaceae) 꽃받이속(Bothriospermum) 꽃받이 / 참꽃받이 / 흰꽃받이 /.. 2012. 12. 24.
산검양옻나무일까? 검양옻나무는 담양 금성산성에서 본 기억이 있다. 그러나 산검양옻나무는 본 기억이 없다. 대효는 올림픽공원 야생화 학습장에 심어져 있단다. 확인하고 싶어서 카메라를 메고 걸어서 갔다. 가을이 무르익어 가고 있다. 호수에 투영된 주변 가을 풍경이 멋있어 보여 몇 컷을 찍었다. 그리.. 2012. 11. 12.
노루참나물? ※ 한국기준식물도감의 기재문이다. <노루참나물 (가령참나물) Pimpinella komarovii (Kitagawa) T. Lee> -다년초. 줄기는 곧추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높이 30-80cm. 전주에 털이 없다. -잎은 호생, 2회3출복엽, 하부의 것은 엽병이 길고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기부가 초상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 2012. 10. 30.
묏미나리 묏미나리 | 멧미나리, 뫼미나리, 산미나리 Moet-mi-na-ri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 | Peucedanum sieboldii Miq. ○ 국명 정보 묏미나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묏 + 미나리", 묏미나리라는 이름은 산(뫼)에 나는 미나리 또는 산지에서 야생하는 미나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묏미나리속(Ostericum) 가는바디 / 묏미나리 / 신감채 / 강활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사할린), 일본, 한국 | 전국 산지 계곡, 습한 곳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 곧으며 뿌리줄기는 굵고 짧다. 줄.. 2012. 10. 29.
한라참나물 친구가 조사하는 **도를 따라갔다가 **섬에서 산형과 한 종을 만났다. 처음엔 신감채인 줄 알았는데 열매의 색깔, 모양이 사뭇 다르다. 열매의 모양으로는 참나물에 더 가깝게 구형이다. 참나물은 열매의 색깔이 붉은데 이 녀석은 녹색이다. 한참을 헤매다가 역시 <여왕벌....>에서 안.. 2012. 10. 29.
들떡쑥 경북 구미시 도계면에 있는 **산 희귀특산식물 조사를 갔다. 처음 만난 것들 중 국화과 솜다리속 들떡쑥을 만났다. 다북떡쑥, 산떡쑥 등 비슷비슷하여 동정이 매우 어려웠다. 최종 블로그 <여왕벌이사는집>에서 들떡쑥으로 동정하였다. 2010. 경북 영덕 **산 자연환경조사 때 만난 것은 .. 2012. 10. 26.
쇠보리 쇠보리 | 까락쇠보리 Soe-bo-ri Ischaemum crassipes (Steud.) Thell. | Andropogon crassipes Steud. ○ 국명정보 쇠보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쇠 + 보리" 쇠보리라는 이름은 보리와 유사하지만 보다 억세고 거칠다[쇠, 牛]는 뜻에서 유래했다. 실제 사용하는 방언을 채록하여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최초 기록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속명 Ischaemum 은 그리스어 ischaimos(지혈)에서 유래한 것으로 지혈작용을 하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쇠보리속을 일컫는다. ○ 분류 벼과(Poaceae) 쇠보리속(Ischaemum) 쇠보리 / 갯쇠보리 / 서울갯쇠보리 ○ 분포.. 2012. 10. 26.
성지순례 여덟째 날(5) [2008.01.27. 예루살렘] 성 안나 성당(The Church of St. Anne) 십자군이 예루살렘에서 철수했을 때 세운 성당 중 하나, 지금까지 잘 보존되어 있다. 마리아 출생지이자 그이 부모 요아킴과 안나의 집이 있었다는 지하실 위에 세워졌다. 십자군 패망 후 살라딘이 이곳을 회교 신학교로 사용하다가 현재는 아프리카에서 포교하는 신부.. 2009. 1. 1.
성지순례 여덟째 날(4) [2008.01.27. 예루살렘] 벳자타 연못(The Pool of Bethesda) 예수께서 38년 동안 앓던 병자를 고치신 연못. 직사각형 모양으로 깊이가 약 7.5m 정도임. 정원 안에 있는 이 연못은 헤로데왕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순례자가 목욕을 하거나 산 제물을 바칠 양을 목욕시킬 때 주로 이용되었다고 함. 게쎄마니 대성당에서 벳자타로 가는 길에.. 2009. 1. 1.
성지순례 여덟째 날 (3) [2008.01.27. 예루살렘] 게쎄마니 대성당(Church of all Nations) 여러 나라 민족들의 재정적인 보조로 1919년 짓기 시작하여 1924년 완성된 성당이다. '여러 민족의 대성전'이라고도 한다. 또한 죽음의 공포와 두려움 속에 고뇌허셨던 예수님의 체취가 담긴 곳이라고 하여 '고뇌의 성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예수님 생존시대부터 있.. 2008. 12. 30.
성지순례 여덟째 날 (2) [2008.01.27. 예루살렘] 주님의 눈물 성당(Dominus Flevit Church) 들어가는 담장과 문 올리브 산 중턱, 겟세마니 성당 동쪽 300m쯤에 자리잡고 있다. 프란치스코회에서 관리한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입성 전 이곳에서 도성을 바라보고 우시면서 예루살렘의 멸망을 예고하셨다. 돔 형태의 비잔틴 양식의 아담한 이 소성당에서 예루.. 2008. 12. 27.
성지순례 여덟째 날(1)[2008.01.27, 예루살렘] 예루살렘 순례 예루살렘(Jerusalem)은 '평화의 근원지'라는 뜻이다. 그리스도교뿐 아니라 회교도들의 성지이기도 하다. BC100년 다윗왕이 도읍을 정한 이래 3000년 동안 주인이 수없이 바뀌었다. 그스스도교, 유대교, 이슬람교의 공통적 중심지이며, 성지 중의 성지로서 역사가 살아 숨쉬는 도시요, 박물관.. 2008. 12. 27.
성지순례 일곱째 날(9)[2008.01.26, 베들레헴] 카타리나 성당 예수 탄생 성당 왼편에 위치한 근대식 성당으로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의해 건죽되었다. 매년 12월 25일 이 성당에서 성탄 자성미사가 집전되고 있다. 지하 계단을 내려가면 예수 탄생 동굴과 구유 동굴 비슷한 동굴이 남아 있다. 그중 하나가 386년부터 34년 동안 예로니모 성인이 은거하.. 2008.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