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321 참소리쟁이 참소리쟁이 | 솜소루쟁이, 솔구장이/소리장이, 소루쟁이/초록, 참소루쟁이, 참소루장이, 참송구지, 소리쟁이, 양제근, 섬소루장이 Cham-so-ri-jaeng-i Rumex japonicus Houtt. ○ 국명정보 참소리쟁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섬소루쟁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참 +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라는 이름은 진짜(眞) 소리쟁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는 울릉도에 분포하는 소리쟁이라는 뜻에서 섬소루쟁이를 신칭해 기록했으나 전국적 분포가 확인되면서 에서 참소리쟁이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마디풀과(Polygonaceae) 소리쟁이속(Rumex) 부령소.. 2013. 6. 5. 부령소리쟁이 부령소리쟁이 | 부령소루장이, 부령송구지 Bu-ryeong-so-ri-jaeng-i Rumex patientia L. ○ 국명정보 부령소리쟁이 : 이유미 외6 논문(2011) ○ 국명의 유래 "부령 + 소리쟁이", 부령소리쟁이라는 이름은 함경북도 부령에서 자라는 소리쟁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마디풀과(Polygonaceae) 소리쟁이속(Rumex) 부령소리쟁이, 수영, 토대황, 묵밭소리쟁이, 호대황, 참소리쟁이, 개대황, 금소리징이, 멧수영, 가는잎소리쟁이, 붉은소리쟁이(귀화), 돌소리쟁이(귀화), 좀소리쟁이(귀화) , 애기수영(귀화), 소리쟁이(귀화) 마디풀과(Polygonaceae) 소리쟁이속(Rumex) 가는잎소리쟁이 Rumex stenophyllus Ledeb., 1830. 금소리쟁이 R.. 2013. 6. 5. 소리쟁이(3) 소리쟁이(3) | 소루쟁이, 긴잎소루쟁이, 긴소루쟁이, 소루장이/쪼글잎소루장이, 긴소루장이/솔구지/송구지 So-ri-jaeng-i Rumex crispus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소리쟁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소루쟁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소리 + 쟁이", 소리쟁이라는 이름은 의 차자 所乙串(솔곶)에 어원을 두고 있다. 이후 솔곶>솔옷(솔옺, 소롯)>소로쟝이(소로자이, 소으댱이)>소루쟁이(소루쟝이)>소리쟁이로 변화해 형성되었다. 솔곶에서 변화한 솔옷은 송곳의 옛말이므로 소리쟁이라는 이름은 뿌리의 모양이 송곳처럼 뾰족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마디풀과(Polygona.. 2013. 6. 5. 오리새 오리새 | 부리새, 오오차드그라스 O-ri-sae Dactylis glomerata L. 귀화식물 ☆Dactylis : 그리스어 손가락(finger). 화서가 손가락 모양인 것과 관련이 있다. glomerata : 무리를 이룬 ○ 국명정보 오리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오리 + 새", 오리새라는 이름은 일본명 カモガヤ(鴨茅)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식물을 일본에서 도입할 때 영문명 cooks feet grass(닭발풀)을 カモガヤ(鴨茅)라고 한 것을 우리나라에서는 다시 '오리새'라고 부르게 되었다. ○ 분류 벼과(Poaceae) 오리새속(Dactylis) 오리새 / 무늬오리새 ○ 분포|자생지 유럽, 서아시아 원산 | 개항 이후 미국.. 2013. 6. 4. 섬쑥부쟁이 섬쑥부쟁이 | 부지깽이나물, 섬쑥부장이, 구메리나물, 북녘쑥부쟁이, 털부지깽이나물 Seom-ssuk-bu-jaeng-i Aster glehnii F. Schmidt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참취족(Astereae)>참취속(Aster) 가새쑥부쟁이 / 개미취 / 갯개미취 / 갯쑥부쟁이 / 눈갯쑥부쟁이 / 미국쑥부쟁이 / 벌개미취 / 비짜루국화 / 섬쑥부쟁이 / 쑥부쟁이 / 옹굿나물 / 왕갯쑥부쟁이 / 우선국 / 좀개미취 / 참취 / 추산쑥부쟁이 / 해국 / 까실쑥부쟁이 / 단양쑥부쟁이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한국 고유종) | 경북 울릉도, 포항 등의 산지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며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다. 높이 1-1... 2013. 6. 3. 큰졸방제비꽃(3) 큰졸방제비꽃(3) | 섬오랑캐, 주도오랑캐, 왕졸방나물 Keun-jol-bang-je-bi-kkot Viola kusanoana Makino ※종소명 kusanoana 는 일본의 균류학자 이름에서 기원했으며 우리 이름은 내륙에서 자라는 졸방제비꽃보다 크다는 뜻에서 붙여졌다.※이종을 처음에는 아욱제비꽃 Viola hondoensis W.Becker & H.Boissieu 으로 오동정하여 다시 큰졸방제비꽃으로 수정함. ○ 국명 정보 섬오랑캐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큰졸방제비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이창복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국명의 유래 "큰 + 졸방제비꽃", 큰졸방제비꽃이라는 이름은 졸방제비꽃에 비해 식물체가 크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울릉도.. 2013. 6. 3. 울릉산마늘 울릉산마늘 | 넓은잎산마늘, 망부추, 멩이풀, 서수레, 얼룩산마늘 Ul-reung-san-ma-neul Allium ochotense Prokh., 1930. | 이명 Allium victorialis L. var. platyphyllum (Hultén) Makino 원기재명 Allium victorialis f. variegatum(얼룩산마늘) ○ 국명정보 울릉산마늘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2007) ○ 국명의 유래 "울릉 + 산마늘", 울릉산마늘이라는 이름은 울릉도에 나는 산마늘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Allium 부추속 털실부추 / 실부추 / 백두부추 / 양파.. 2013. 6. 3. 섬초롱꽃(1) 섬초롱꽃(1) | 영문명 Korean bellflower Seom-cho-rong-kkot Campanula takesimana Nakai 한반도 고유종 ○ 국명정보 섬초롱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섬 + 초롱꽃", 섬초롱꽃이라는 이름은 섬(울릉도)에 분포하는 초롱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울릉도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초롱꽃에 비해 식물체가 보다 크고 꽃이 홍자색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Campanulales 초롱꽃목 > Campanulaceae 초롱꽃과 > Campanula 초롱꽃속 섬초롱꽃 / 초롱꽃 / 자주꽃방망이 / 흰자.. 2013. 6. 3. 큰연영초(큰延齡草) 큰연영초(큰延齡草) | 연영초, 흰삿갓나물, 흰삿갓풀, 연령초, 큰연령초, 중국명 延龄草[yan ling cao] Keun-yeon-yeong-cho Trillium tschonoskii Maxim. ※ 어법상 큰연령초가 옳다. 그러나 선취권을 인정하여 큰연영초로 하였다. ○ 국명정보 큰연영초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큰 + 연영초" 큰연영초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연영초보다 더 크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연영초라는 이름은 수명을 연장한다는 뜻이 있는 한자명 延齡草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약재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에서 최초 기록되었고 그 이전 기록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백합과(.. 2013. 6. 2. 김의털 김의털 | 산거울 Gim-ui-teol Festuca ovina L. ○ 국명정보 김의털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김의 + 털" 김의털이라는 이름은 옛 문헌에서 한자어 모초(毛草)와 함께 사용되었고, '김'의 뜻에 비추어 볼 때 논 밭에 난 잡초 같고 털을 닮은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해된다. , 에 '기음의털'이라는 옛이름이 나오는데 기음>김으로 변한 것이다. 김은 논밭에 나는 잡초를 뜻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김의털속(festuca) 개묵새 / 김의털 / 김의털아재비 / 넓은김의털 / 들묵새 / 사방김의털 / 산묵새 / 왕김의털 / 왕김의털아재비 / 큰김의털 / 큰묵새 / .. 2013. 6. 2. 속털개밀 속털개밀 | 털개밀 Sok-teol-gae-mil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 ○ 국명정보 속털개밀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털개밀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속 + 털 + 개밀" 속털개밀이라는 이름은 내영과 씨방에 털이 있는 개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개밀속(Agropyron) 개밀아재비 / 속털개밀 / 가는개밀 / 털개밀 / 구주개밀 / 까락개밀 / 개밀 / 자주개밀 / 광릉개밀 / 금강개밀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 일본, 한국 등 | 전국의 들, 길가, 경작지 주변에 개밀과 함께 난다. ○.. 2013. 6. 2. 개밀 개밀 | 수염개밀, 들밀 Gae-mil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Hack.) Ohwi | Elymus tsukushiense var. transiense (Hack.) Osada ○ 국명정보 개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밀", 개밀이라는 이름은 밀과 닮았지만 먹지 않아 쓸모가 덜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접사 개는 ‘야생 상태의’ 또는 ‘질이 떨어지는’, ‘흡사하지만 다른’의 뜻을 더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개밀속(Agropyron) 개밀아재비 / 속털개밀 / 가는개밀 / 털개밀 / 구주개밀 / 까락개밀 / 개밀 / 자주개밀 / 광릉개.. 2013. 6. 2. 섬괴불나무 섬괴불나무 | 물앵도나무, 우단괴불나무, 섬아귀꽃나무 Seom-goe-bul-na-mu Lonicera morrowii A. Gray | 이명 Lonicera insularis Nakai ○ 국명정보 섬괴불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섬 + 괴불나무", 섬괴불나무라는 이름은 섬(울릉도)에 자라는 괴불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울릉도에 한정해 분포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일본 분포종보다 잎이 넓고 입술모양꽃부리라는 점에서 별도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개체 차이로 보아 통합하는 견해가 유력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lonicera) 괴불나무 / 구슬댕댕이 / 길마가지나무 / .. 2013. 6. 2. 바위수국 바위수국 | 바위범의귀 Ba-wi-su-guk Schizophragma hydrangeoides Siebold & Zucc. | 영명 : Japanese Hydrangea Vine ○ 국명정보 바위수국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바위 + 수국", "바위 + 수국"의 합성어임. 꽃의 모양이 수국을 닮았지만 큰 나무 줄기나 바위에 공기뿌리를 붙여가면서 10m 정도로 길게 자란다는 뜻에서 국명이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수국과(Hydrangeaceae) 바위수국속(Hydrangea) 바위수국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울릉도와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의 섬(표고 1,600m 이하)에서 자생한다. . ○ 형태 수형 낙엽 덩굴성 목본, 길이가 10m 정도 자란다. 줄.. 2013. 6. 2. 등수국(1) 등수국(1) | 넌출수국(북한명), 덩굴수국 Deung-su-guk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 국명정보 등수국 : 이창복 (1947) 넌출수국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등 + 수국", 등수국이라는 이름은 등나무처럼 넝쿨이 지는 수국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넌출수국을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등수국으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등 + 수국"의 합성어임. 등나무처럼 덩굴로 자라면서 꽃을 피우는 수국과 닮은 데서 유래한다. 등수국은 큰 나무 줄기나 바위에 공기뿌리를 붙여가면서 10m 이상 길게 자란다. 출전:박상진(2019) ○ 분류 수국과(.. 2013. 6. 2. 이전 1 ··· 936 937 938 939 940 941 942 ··· 9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