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름제비란
주름제비란 | 노랑난초 Ju-reum-je-bi-ran Neolindleya camtschatica (Cham.) Nevski ○ 국명정보 주름제비란 :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주름 + 제비란", 주름제비란이라는 이름은 제비란초를 닮았으나 잎에 주름이 많이 지는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난초과(Orchidaceae) 주름제비란속(eolindleya) 주름제비란 ※ 최근 유전자 분석에 의한 방법으로 종전의 손바닥난초속에 하나의 독립된 속으로 분리하는 경향을 따랐다. ○ 분포|자생지 러시아(사할린, 캄차카, 베링섬), 일본(북해도, 혼슈), 히말라야 지역, 중국, 유럽, 한국 | 강원 태백산, 울릉도 나리분지 ○ 형태 여러해살이풀, 지생란 줄기 높이 20-60cm 정도 자란다. 굵으며 곧게..
2013. 5. 26.
금새우난초(1)
금새우난초(1) Geum-sae-u-nan-cho Calanthe sieboldii Decne. ex Regel ○ 다른 국명 금새우난, 노랑새우란, 금새우란 ○ 분류 난초과(Orchidaceae)>석곡아과(Epidendroideae)>콜라비움족(Collabieae)>새우난초속(Calanthe) 여름새우난초 / 금새우난초 / 신안새우난초 / 큰새우난초 / 새우난초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경북(울릉도), 전남(흑산도, 홍도), 제주도 등의 습한 숲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지생란 뿌리 위인경은 염주 모양, 해마다 한 개씩 늘어나 새우등 같고,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 높이 20-50cm 정도로 자란다. 잎 2-3개, 넓은 타원형, 잎맥을 따라 주름져 있으며, 길이 20-30cm, 너비 5-1..
2013. 5. 26.
개자리
개자리 | 고여독, 꽃자리풀 Gae-ja-ri Medicago polymorpha L. ○ 국명정보 개자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자리", 개자리라는 이름은 줄기가 갈라져 땅 위를 기면서 자라는 모습이 과녁 앞에 파놓은 구덩이처럼 보인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제주 방언에 개자리쿨 또는 개자리풀이라는 이름이 발견되는 것에 비추어 당시 실제로 사용하던 이름을 채록한 것으로 추론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콩과(Leguminosae) 개자리속(Medicago) 잔개자리 / 좀개자리 / 노랑개자리 / 자주개자리 / 개자리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북아메리카, 아시아 등에 널리 분포한다. | 거..
2013. 5. 24.
소리쟁이(1)
소리쟁이(1) | 소루쟁이, 긴잎소루쟁이, 긴소루쟁이, 소루장이/쪼글잎소루장이, 긴소루장이/솔구지/송구지 So-ri-jaeng-i Rumex crispus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소리쟁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소루쟁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소리 + 쟁이", 소리쟁이라는 이름은 의 차자 所乙串(솔곶)에 어원을 두고 있다. 이후 솔곶>솔옷(솔옺, 소롯)>소로쟝이(소로자이, 소으댱이)>소루쟁이(소루쟝이)>소리쟁이로 변화해 형성되었다. 솔곶에서 변화한 솔옷은 송곳의 옛말이므로 소리쟁이라는 이름은 뿌리의 모양이 송곳처럼 뾰족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마디풀과(Polygona..
2013. 5. 24.
섬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 | 북선야광나무, 조선야광나무, 조선개야광나무, 둥근잎개야광, 조선섬야광나무, 둥근잎개야광나무, 둥근잎야광나무 Seom-gae-ya-gwang-na-mu Cotoneaster wilsonii Nakai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급종 => 2017년 개정 이후 II급 종으로 격하 ○ 국명정보 섬개야광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섬 + 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라는 이름은 섬(울릉도)에서 자라며 야광나무를 닮은(개)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개야광나무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산지를 나타내는 섬을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개야광나무속(Cotonea..
2013. 5. 24.
섬벚나무
섬벚나무 | 섬벗나무, 섬벚 Seom-beot-na-mu Prunus takesimensis Nakai ○ 국명정보 섬벚나무 : 이춘녕, 안학수 (1963) 섬벗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섬 + 벚나무", 섬벚나무라는 이름은 섬(울릉도)에서 자라는 벚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개벚나무 / 개벚지나무 / 귀룽나무 / 매실나무 / 벚나무 / 별벗꽃나무 / 복사앵도 / 복숭아나무 / 북개벚지나무 / 산개벚지나무 / 산벚나무 / 산복사 / 산옥매 / 산이스라지 / 서양자두 / 석도벚나무 / 섬개벚나무 / 섬벚나무 / 시베리아살구나무 / 신양벚나무..
2013.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