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293 개감수(1) 개감수(1) | 감수(甘遂), 능수버들/산감수, 참대극, 산참대극, 산개감수, 좀개감수 Gae-gam-su Euphorbia sieboldiana C. Morren & Decne. ○ 국명정보 개감수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감수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감수", 개감수라는 이름은 한자명 감수(甘遂)와 생김새가 닮았으나 약재로 사용하지 못해 쓸모가 덜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전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땅속줄기가 덩이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약재로 사용하기 어렵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대극과(Ranunculaceae) 대극속(Euphorbia) 개감수 / 대극 / 두메대극 / 등대풀 .. 2013. 4. 25. 길마가지나무 길마가지나무 | 숫명다래나무, 길마까지나무, 길마기나무, 길막이나무 Gil-ma-ga-ji-na-mu Lonicera harai Makino ※에서는 숫명다래나무를 길마가지나무와 같은 종으로 처리함. ○ 국명정보 길마가지나무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길마가지 + 나무", 길마가지나무라는 이름은 열매의 모양이 길마가지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당시 황해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열매는 2개가 절반 이상 붙어 있고 붉게 익는데 식용했가.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lonicera) 괴불나무 / 구슬댕댕이 / 길마가지나무 / 물앵도나무 / 섬괴불나무 / 올괴불나.. 2013. 4. 25. 금창초 금창초 | 금란초, 섬자란초, 가지조개나물, 중국명 金疮小草 [jin chuang xiao cao, 금창소초], 영문명 Decumbent bugle Geum-chang-cho Ajuga decumbens Thunb. ○ 학명의 뜻 -속명 Ajuga양순형인 꿀풀과 꽃의 구조의 특징과는 달리 양순형이 아니다. -종소명 decumbens ; 옆으로 누운 => 줄기가 땅바닥에 누워 옆으로 긴다. -명명자 Thunb. 중국명, 일본명 '金疮小草'을 줄인말로 봄 ○ 국명 유래 "금창초"라는 이름은 중국명 金疮小草의 줄인말에서 유래했다. 금창초(金瘡草)는 각종 쇠붙이로 인한 상처에 전초를 짓찧어 붙여 치료를 한 데서 유래했다. ○ 다른 국명 -금란초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난초과.. 2013. 4. 25. 왕벚나무(꽃) 왕벚나무(꽃) | 왕벗나무, 사꾸라, 사구라나무, 민벗나무, 제주벗나무, 큰꽃벗나무 Wang-beot-na-mu Prunus yedoensis Matsum. ○ 국명정보 왕벗나무 : 한국식물명감 (정태현, 1942) 사꾸라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왕 + 벚나무" 왕벚나무라는 이름은 꽃이 크고 많이 피며 아름다운(왕) 벚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은 일본에서 전래된 벚나무라는 뜻으로 일본명 소메이요시노자쿠라에서 유래한 사꾸라로 기록했으나 에서 왕벚나무로 개칭한후 최근까지 이 이름으로 불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개벚지나무 / 귀룽나무 / 매실나무.. 2013. 4. 25. 상산 상산 | 常山, 송장나무, 상산나무 Sang-san Orixa japonica Thunb. ○ 국명정보 상산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상산이라는 이름은 중국명 臭常山에서 유래한 것으로 '취'를 생략한 것이다. 실제로 잎과 줄기에 강력한 향기가 있다. 일본명 소취목(小臭木) 역시 냄새가 나는 나무란 뜻이다. ○ 분류 운향과(Rutaceae) 상산속(Orixa) 상산 ○ 분포|자생지 중국(남부), 일본(혼슈 이남), 한국 | 경기도(주로 해안가), 충남, 경남, 전남, 전북 및 제주도의 산지에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 활엽 관목이며. 높이 1-5m 정도 자란다. 수피 회색-회갈색이며 작은 피목이 발달한다. 잎 2장씩 어긋나지만 짧은 가지 끝에 모여난 것처럼 보이며 독특한 .. 2013. 4. 25. 옥녀꽃대 옥녀꽃대 | 조선꽃대 Ok-nyeo-kkot-dae Chloranthus fortunei (A. Gray) Sloms ○ 국명정보 옥녀꽃대 : 이창복 (1969) 옥녀꽃대 :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국명의 유래 "옥녀 + 꽃대", 옥녀꽃대라는 이름은 최초의 발견지인 경남 거제도의 옥녀봉에 나는 꽃대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 홀아비꽃대속(Chloranthus) 꽃대 / 옥녀꽃대 / 홀아비꽃대 ○ 분포|자생지 중국 | 제주도 및 남부지방의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높이 15-40cm다. 잎 줄기 끝에 4장이 모여 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5-11cm, 폭 3-7cm이고 가장자리에 톱니.. 2013. 4. 25. 자운영 자운영 | 紫云英, 紅花菜 Ja-un-yeong Astragalus sinicus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자운영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자운영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紫云英에서 유래한 것으로 꽃이 자주색으로 피고 광물의 일종인 雲英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 녹비식물로 이용하기 위해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것인데 어린잎을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콩과(Fabaceae) 황기속(Astragalus) 개황기 / 자운영 / 자주황기 / 정선황기 / 황기 / 염주황기 / 제주황기 ○ 분포|자생지 중국 원산, 일본 귀화, 한국 귀화 | 남부지방에서 녹비로 논이나 밭에 재배했으나 지금은 야생화되어 개울가나 논둑, 밭둑.. 2013. 4. 25. 나도히초미 나도히초미 Polystichum polyblephanum (Roem. ex Kunze) C. Presl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나도히초미속(Polystichum)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경북, 전남, 제주 등의 산지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근경 짧고 비스듬히 서며 덩어리진다. 엽병 길이 20cm 정도로 하부의 인편.. 2013. 4. 25. 잔털벚나무 잔털벚나무 | 잔털벗나무, 사옥 Jan-teol-beot-na-mu Prunus pubescens (Makino) E. H. Wilson ○ 국명정보 잔털벚나무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잔털벗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잔털 + 벚나무", 잔털벚나무라는 이름은 잎 뒷면, 잎자루, 꽃자루 등에 잔털이 있는 벚나무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대한식물도감에서 맞춤범에 따라 잔털벚나무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개벚지나무 / 귀룽나무 / 매실나무 / 벚나무 / 복사앵도나무 / 복숭아나무 / 산개벚지나무 / 산벚나무 / 산복사 / 산.. 2013. 4. 24. 장딸기 장딸기 | 땃딸기, 땅딸기, 노랑장딸기 Jang-ttal-gi Rubus hirsutus Thunb. ○ 국명정보 장딸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장 + 딸기", 장딸기라는 이름은 열매가 붉은색으로 익는 산딸기 종류하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주된 자생지인 제주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제주 방어에서 장은 내륙 지역과 마찬가지로 장(醬)을 뜻하고 장은 된장과 더불어 고추장을 포함하므로 식용하는 붉게 익는 열매가 고추장처럼 붉게 보인다고 하여 유래한 이름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국내에 자생하는 산딸기 종류에 비해 꽃과 열매가 장대하게 큰 특징에서 유래한다. ○ 분류 장미과(Rosaceae) 산.. 2013. 4. 24. 고사리(새순) 고사리(새순)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A. Heller ▽ 새눈이 성장하는 모습 (2013. 04. 14. 진도군 의신면) 2013. 4. 23. 배추 배추 | 백채(白菜), 배채, 백차, 배차 Bae-chu Brassica rapa L. var. glabra Regel 재배식물 ○ 국명정보 배추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배추라는 이름은 흰색이 나는 채소라는 뜻의 백채(白菜)에서 유래했다. 백채가 발음 과정에서 백채>ㅂ·ㅣㅊ·ㅣ>ㅂ·ㅣㅊ·>배추로 변화해 형성된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십자화과(Brassicaceae) 배추속(Brassica) 순무 / 유채 / 갓 / 꽃양배추 / 녹색꽃양배추 / 배추 / 순무양배추 / 양배추 ○ 분포|자생지 중국 원산 | 전국의 밭에 심어 기른다. ○ 형태 생육형 두해살이풀 줄기 어릴 때는 털이 많으나 성숙하면 털이 거의.. 2013. 4. 23. 갓 갓 | 계자, 상강, 겨자 Gat Brassica juncea (L.) Czern. ○ 국명정보 갓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갓이라는 이름의 옛말은 갓인데 이는 변두리를 뜻하는 ㄱ·△ 또는 ㄱ·ㅅ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변두리에서 자라는 풀이라는 뜻으로 추정한다. 갓은 중앙아시아 원산으로 삼국 시대 무렵에 중국을 통해서 전래되어 재배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재배를 통해 주변으로 쉽게 퍼져 경작지 부근에서 잘 자라는데 이러한 생태와 관련이 있는 이름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십자화과(Brassicaceae) 배추속(Brassica) 순무 / 유채 / 갓 / 꽃양배추 / 녹색꽃양배추 / 배추 / 순무양배추 /.. 2013. 4. 23. 키버들(암꽃차례)(2) 키버들(암꽃차례)(2) | 고리버들, 쪽버들, 산버들 Ki-beo-deul Salix koriyanagi Kitamura ex GÖrz ※한반도고유종 ○ 국명정보 키버들(고리버들)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키 + 버들" 키버들이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껍질을 벗긴 가지로 키와 같은 생필품을 만들어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에 기록된 箕柳도 키버들이란 뜻이며, 고리버들도 고리짝이나 깉나 고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버드나무과(Salicaceae) 버드나무속(Salix) 강계버들 / 개수양버들 / 갯버들 / 능수버들 / 버드나무 / 분버들 / 섬버들 / 수양버들 / 쌍실버들 .. 2013. 4. 23. 여우버들(수그루) 여우버들(수그루) | 여호버들, 마른잎버들 Yeo-u-beo-deul Salix bebbiana Sarg. ○ 국명정보 여호버들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여우버들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여우 + 버들" 여우버들( 2013. 4. 23. 이전 1 ··· 941 942 943 944 945 946 947 ··· 9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