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83

가는오이풀 가는오이풀 | 힌오이풀, 애기오이풀, 흰가는오이풀/작은꽃흰오이풀, 좁은잎오이풀, 흰오이풀/붉은오이풀 ga-neun-o-i-pul Sanguisorba tenuifolia Fisch. ex Link ○ 국명정보 가는오이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가는 + 오이풀", 가는오이풀이라는 이름은 오이풀에 비해 잎이 가늘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오이풀속(Sanguisorba) 가는오이풀 / 구름오이풀 / 긴오이풀 / 산오이풀 / 오이풀 / 큰오이풀 / 구슬오이풀 ○ 분포|자생지 동유럽, 러시아, 일본, 중국, 한국 | 북부 고산 습지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 2013. 7. 23.
도루박이 도루박이 | 민검정골, 줄검정골, 먼검정골 Do-ru-bak-i Scirpus radicans Schkuhr ※꽃차례가 없는 줄기는 길게 자라서 다시 땅에 박혀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데서 국명이 유래하였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큰고랭이속(Schoenoplectus) 검은도루박이 / 고성골 / 광능골 / 남양골 / 도루박이 / 매자기 / .. 2013. 7. 23.
꽃창포 꽃창포 | 꽃장포, 들꽃장포, 들꽃창포, 참꽃창포 Kkot-chang-po Iris ensata Thunb. var. spontanea (Makino) Nakai ○ 국명정보 꽃창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꽃장포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꽃 + 창포" 꽃창포라는 이름은 창포에 비해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에서 꽃장포로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꽃창포로 기록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초 저술된 물명고에서는 잎 모양이 창포와 비슷하여 泥菖蒲(니창포)라고 하여 창포의 한 종류로 인식하여 기록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 2013. 7. 23.
붓꽃 붓꽃 | 란초, 溪蓀, 水菖蒲, 筆花/馬蘭子, アヤメ Put-kkot Iris sanguinea Donn ex Hornem. ○ 국명정보 붓꽃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붓 + 꽃", 붓꽃이라는 이름은 오래된 고유명이다. 꽃봉오리가 터지기 직전의 모양이 먹물을 머금은 붓처럼 보인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열매를 약재로 쓸 때는 馬蘭子/蠡實(려실)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했고, 잎이 뾰족한 모양을 살필 때는 창포의 일종으로 보아 溪蓀, 水菖蒲, 泥菖蒲라는 이름을 사용하여 혼선이 있어 왔다. 에서 실제 많이 사용하는 향명을 채록하여 붓꽃을 사정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붓꽃과(Iridaceae) 붓꽃속(Iri.. 2013. 7. 23.
제비붓꽃 제비붓꽃 | 푸른붓꽃, 燕子花 Je-bi-but-kkot Iris laevigata Fisch. ex Fisch. & C. A. Mey.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 ○ 국명정보 제비붓꽃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제비 + 붓꽃" 제비붓꽃이라는 이름은 물 찬 제비처럼 예쁜 붓꽃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보다 정확히는 꽃덮이에 난 흰색의 문양이 물 찬 제비 같은 느낌을 주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에서 전통 명칭 붓꽃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제비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 2013. 7. 23.
단풍터리풀 단풍터리풀 | 흰털이풀, 강계터리풀, 단풍터리 Dan-pung-teo-ri-pu Filipendula palmata (Pallas) Maxim. ○ 국명정보 단풍터리풀 : 박만규 (1949) 단풍터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단풍 + 터리풀", 단풍터리풀이라는 이름은 잎이 단풍잎처럼 깊게 갈라지는 터리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깊게 갈라지고 턱잎이 타원모양으로 발달하는 특징이 있다. 단풍터리풀은 학명의 종소명 'palmata(손바닥 모양의, 장상의 )'과 관련이 있다. 터리풀이라는 이름은 꽃이 핀 모습이 마치 털을 묶어 가지 끝에 맨 것처럼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 터리풀의 터리는 털의 옛말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2013. 7. 22.
돌갈매나무 돌갈매나무 | 산갈매나무 Dol-gal-mae-na0mu Rhamnus parvifolia Bunge ○ 국명정보 돌갈매나무 :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돌 + 갈매나무", 돌갈매나무라는 이름은 함남, 평남의 산지와 강원, 경북의 석회암지대 산지 돌(바위)가 많은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갈매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갈매나무과(Rhamnaceae) 갈매나무속(Rhamnus) 산황나무 / 갈매나무 / 돌갈매나무 / 좀갈매나무 / 짝자래나무 / 털갈매나무 / 참갈매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중북부), 타이완, 러시아(동부), 한국 | 함남. 평북의 산지에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강원도 및 경북의 석회암 지대에도 드물게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관목, 높이 1.5-2.0m 정도 자란.. 2013. 7. 22.
손바닥난초 손바닥난초 | 손뿌리난초, 뿌리난초, 손바닥난, 손바닥란, 새발난초 Son-ba-dak-nan-cho Gymnadenia conopsea (Cham) Nevski ○ 국명정보 손바닥난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손뿌리난초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손바닥 + 난초" 손바닥난초라는 이름은 덩이줄기의 모양이 손바닥을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에서 손뿌리난초로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같은 뜻의 손바닥난초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난초과(Orchidaceae) 손바닥난초속(Gymnadenia) 손바닥난초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2013. 7. 22.
큰고추풀 큰고추풀 | 등에고추풀 Keun-go-chu-pul Gratiola japonica Miq. ○ 국명정보 큰고추풀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큰 + 고추풀", 큰고추풀이라는 이름은 진땅고추풀과 비슷하나 상대적으로 식물체의 키가 큰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큰고추풀속(Gratiola) 큰고추풀 / 유럽큰고추풀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일본, 한국 | 중부 이남의 논이나 습지에 난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육질이고 연하며 털이 없다.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10~25㎝이다. 잎 대생하고 약간 육질이며 피침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1~3㎝, 너비 2.5~7㎜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밑부분에 3.. 2013. 7. 21.
석잠풀 석잠풀 | 배암배추, 뱀배추, 민석잠풀 Seok-jam-pul Stachys japonica Miq. ○ 국명정보 석잠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석잠 + 풀", 석잠풀이라는 이름은 한자 석잠(石蠶), 또는 초석잠(草石蠶)에 우리말 풀이 합성된 것에서 유래했다. 석잠은 돌누에(물여우라는 곤충)를 뜻한다. 석잠은 중국의 의약서 본초강목에 등장하는데 석잠풀이 이와 유사한 약효가 있거나 석잠풀속에 속하는 유사종의 뿌리의 모양이 석잠(물여우)과 유사한 것에 유래한 이름이다. 참고 : 들꽃카페 ○ 분류 꿀풀과(Lamiaceae) 석잠풀속(Stachys) 석잠풀 / 털석잠풀 / 우단석잠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러시아, 한국 | 전국 산과 들의 습한 곳에 난다.' ○ 형태 .. 2013. 7. 21.
애기부들 애기부들 | 좀부들 Ae-gi-bu-deul Typha angustifolia L. ○ 국명정보 애기부들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애기 + 부들"의 합성어임. 형태적으로 부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애기처럼 작고 수화수와 암화수의 사이가 떨어져 있는 특징으로 부들과 닮았지만 다르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부들과(Typhaceae) 부들속(Typha) 꼬마부들 / 부들 / 애기부들 / 큰잎부들(=개부들, 참부들, 넓은잎부들) ○ 분포|자생지 극지를 제외한 전 세계 | 전국의 강, 하천, 연못, 습지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옆으로 길게 벋는다. 줄기 곧추서며, 원주형, 높이 120-200cm이다. 잎 선형, 길이 80-130cm, 폭 .. 2013. 7. 21.
부들(1) 부들(1) | 잘피부들, 좀부들, 영명 Oriental cattail Bu-deul Typha orientalis C. Presl. ○ 국명정보 부들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5세기경부터 그 표현이 확인되는 옛이름 부들은 붇곶(>붓꽃)과 어원을 같이하는 이름이다. 지상부 주로 꽃이삭의 모양이 붇(筆, 붓)처럼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 옛 한약서서 부들마치, 부도좃, 부들꼿, 붇들박망이라고 한것은 약재로 사용하는 부위인 꽃이삭을 지칭한 것으로 부들이라는 이름이 꽃이삭의 모양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부들과(Typhaceae) 부들속(Typha) 꼬마부들 / 부들 / 애기부들 / 큰잎.. 2013. 7. 21.
미나리 미나리 | 잔잎미나리, セリ芹, Java water-dropwort Mi-na-ri Oenanthe javanica (Blume) DC. ○ 국명 정보 미나리 : 정태현 외 3인의 에 의한다. ○ 국명의 유래 "미나리" 라는 이름은 미('물'의 고구려어)+ 나리(백합)의 합성어로, 물에 사는 나리(꽃줄기의 모양이 나리와 비슷하다)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 분류 미나리과(Apiaceae) 미나리속(Oenanthe) 미나리 ○ 분포|자생지 인도네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 전국 저지대의 습지, 도랑, 냇가에 난다. 햇볕이 잘 드는 곳의 물기가 많은 토양에서 잘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있다. 땅속줄기가 발달한다. 줄기 옆으로 뻗어나가다 곧추서며, 높이 20-80cm다. 잎.. 2013. 7. 20.
중국굴피나무 중국굴피나무 | 북한명: 풍양나무, (영) Chinese Ash | (일) サワグルミ (漢) 楓楊 Jung-guk-gul-pi-na-mu Pterocarya stenoptera C. DC. 재배식물 ○ 분류 가래나무과(Juglandaceae) 개굴피나무속(Pterocarya) 중국굴피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 압록강 하류 | 1920년경 중부지방에서 들여와 심기 시작하여 지금은 전국의 공원, 정원에 식재한다. ○ 형태 수형 낙엽 교목이며 높이 20-30m, 지름 1m 정도 자란다. 수피 처음에는 적갈색이지만 오래되면 짙은 회색이 되고 세로로 갈라진다. 겨울눈 인편이 없이 나출되어 있으며 갈색 털로 덮여 있다. 잎 어긋나며 9-11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우상복엽이다. 길이 8-16cm이며 엽축에 잎 모.. 2013. 7. 20.
털여뀌 털여뀌 | 붉은털여뀌, 노인장대, 말여뀌 Teol-yeo-kkwi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Polygonum orientale L. ○ 국명정보 털여뀌 : 이춘녕, 안학수 (1963) 털역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털 + 여뀌", 털여뀌라는 이름은 식물 전체에 조밀한 털이 많은 여뀌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옛 학명과 관련이 있다. 에서 털역귀를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털여뀌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마디풀과(Polygonaceae) 여뀌속(Persicaria) 가시여뀌 / 개여뀌 / 고마리 / 기생여뀌 / 넓은잎미꾸리낚시 / 마디풀 / 며느리밑씻.. 2013.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