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83

흰두메양귀비 흰두메양귀비 Du-me-hin-yang-gwi-bi 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f. albiflorum Y.N.Lee ○ 국명정보 흰두메양귀비 : 이영노 (1991) ○ 국명의 유래 "흰 + 두메양귀비", 흰두메양귀비라는 이름은 흰색 꽃이 피는 두메양귀비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양귀비과(Papaveraceae) 양귀비속(Papaver) 흰양귀비 / 좀양귀비 / 바늘양귀비 / 갈래두메양귀비 / 두메양귀비 / 흰두메양귀비 / 개양귀비 / 나도양귀비 / 양귀비 ○ 분포|자생지 중국, 한국 | 백두산 등 북부지방 깊은 산 높은 지대에 난다. ○ 형태 두해살이풀 줄기 높이 약 10cm, 포기 전체에 털이 빽빽이 난다. 잎 뿌리에 달린 잎은 모여나고 달걀처럼 생긴 .. 2013. 7. 17.
Leucothoe Grayana Maxim Leucothoe Grayana Maxim ○ 분류 진달래과(Ericaceae) Leucothoe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북해도) 등 아시아 | 축축한 땅에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관목, 높이 0.5-1.3m 정도 자란다. 수피 잎 꽃 열매 ○ 동정 포인트 ○ 참고 http://ja.wikipedia.org/wiki/%E3%83%8F%E3%83%8A%E3%83%92%E3%83%AA%E3%83%8E%E3%82%AD ○ 여적 2013.. 2013. 7. 17.
쇠채 쇠채 | 미역꽃 Soe-chae Scorzonera albicaulis Bunge ○ 국명정보 쇠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쇠 + 채", 쇠채라는 이름은 긴 줄기에 꽃봉오리 또는 열매가 맺힌 모양이 쇠채를 닮은 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꽹과리를 쇠라고 하므로 쇠채는 꽹과리를 치는 채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봄에 어린잎을 채취해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치커리아과(Cichorioideae)>치커리족(Cichorieae)>쇠채속(Scorzonera) 쇠채 / 멱쇠채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한국 | 전국의 원야나 산기슭의 풀밭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근경 .. 2013. 7. 16.
큰솔나리 큰솔나리 | 큰중나리, 큰잎솔나리, 사초나리 Keun-sol-na-ri Lilium tenuifolium Fischer ○ 국명정보 큰솔나리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큰솔나리라는 이름은 잎이 솔잎 모양이고 솔나리에 비해 개체가 크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중나리보다 개체가 크다는 뜻에서 큰중나리를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큰솔나리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Lilium 백합속 날개하늘나리 / 노랑땅나리 / 땅나리 / 말나리 / 개말나리 / 나리 / 백합 / 섬.. 2013. 7. 16.
자주황기 자주황기 | 자지황기, 자주꽃황기, 자주단너삼 Ja-ju-hwang-gi Astragalus dahuricus (Pall.) DC. ○ 국명정보 자지황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자주황기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자주 + 황기", 자주황기라는 이름은 자주색의 황기란 뜻으로 꽃이 자주색으로 피는 것에서 유래했다. 에서 자지황기>자주황기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콩과(Fabaceae) 황기속(Astragalus) 자주개황기 / 자주황기 / 정선황기 / 제주황기 / 염주황기 / 황기 / 긴꽃대황기 / 설령황기 / 갯황기 / 자운영 / 개황기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몽.. 2013. 7. 16.
말발도리 말발도리 | 말발도리나무, 털말발도리, 속리말발도리, 태백말발도리 Mal-bal-do-ri Deutzia parviflora Bunge ○ 국명정보 말발도리 : 우리나라 식물명감 (박만규, 1949) 말발도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이시도야, 정태현 : (일본어)(1923) ○ 국명의 유래 1. "말발 + 도리"의 합성어임. 말발도리라는 이름은 강원 방언으로, 열매의 모양이 말굽(말 발)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말발도리나무로 기록했으나 에서 말발도리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말발도리란 국명은 5mm 남짓한 작고 앙증맞은 열매는 말발굽에 씌우는 편자 모양인데 유래한다. 도리는 아랫도리, 도리.. 2013. 7. 16.
괴불나무 괴불나무 | 절초나무, 아귀꽃나무 Goe-bul-na-mu Lonicera maackii (Rupr.) Maxim. ○ 국명정보 괴불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아귀꽃나무 :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 국명의 유래 1. "괴불 + 나무", 괴불나무라는 이름은 꽃과 열매의 모양이 괴불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열매는 둥근 모양으로 2개씩 서로 떨어져서 달리고 가을에 붉게 익으면 식용했다. 자생지인 서울, 경기도의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괴불나무는 "괴+불+나무"의 합성어이다. '괴'는 고양이, '불'은 고환 '불알'을 뜻한다. 이 나무의 붉게 익은 두 개의 열.. 2013. 7. 15.
흰복주머니란(1) 흰복주머니란(1) Cypripedium macranthum f. albiflorum (Makino) Ohwi ※ <한국의 난과 식물 도감>에서는 흰색, 자주색, 분홍색인 것을 하나로 통들어 복주머니란으로 분류하고 있다. 미색복주머니란, 분홍복주머니란, 왕복주머니란, 레분복주머니란(이영노, 2006)을 모두 복주머니란의 변이로 보고 .. 2013. 7. 15.
구슬붕이 구슬붕이 (2) Gentiana squarrosa Ledeb. ○ 분류 용담과(Gentianaceae) 용담속(Gentiana) 흰그늘용담 / 구슬붕이 / 좀구슬붕이 / 백두산구슬붕이 / 봄구슬붕이 / 고산구슬붕이 / 큰구슬붕이 / 흰큰구슬붕이 ○ 분포|자생지 중국, 몽골, 인도, 일본, 러시아(동북부), 한국 | 전국 고도가 낮은 산지의 숲으로 .. 2013. 7. 15.
산사나무 산사나무 | 산사(山楂), 아가위나무, 동배나무/아그배나무/애광나무/질배나무/찔구나무, 찔광나무(북한명) San-sa-na-mu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국명정보 산사나무(아가위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산사 + 나무", 산사나무라는 이름은 산에서 자라는 아가위나무를 뜻하는 한자어 산사수(山楂樹)에서 온 말이다. 산사나무의 옛 이름은 아가외나무인데 아가외는 아가(아기)와 외(오이)의 합성어로 둥근 열매가 아기처럼 작은 것에서 유래했다. 북한에서는 평북 방언에서 유래한 찔광나무라고 부르는데 가시가 있고 잎에 광이 나는 것과 관련이 있는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중국 한자.. 2013. 7. 15.
생열귀나무 생열귀나무 | 붉은인가목, 해당화, 뱀의찔네/가마귀밥나무/좀붉은인가목, 뱀찔네/산붉은인가목, 생열귀장미 Saeng-yeol-gwi-na-mu Rosa davurica Pall. ○ 국명정보 생열귀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생 + 열귀 + 나무", 생열귀나무라는 이름은 생(강조의 의미)과 열귀(아가위)와 나무(木)의 합성어로, 꽃과 열매 등이 아가위(산사나무 또는 해당화)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함경남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생은 생트집 또는 생때에서처럼 강조의 뜻으로 사용되는 말이다. 열귀는 아가위의 함경남도 방언에서 유래했다. 해당화 열매를 悅口라고 한다는 기록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2013. 7. 15.
땃딸기 땃딸기 | 북한명 ; 따딸기, 땅딸기 Ttat-ttal-gi Fragaria yezoensis H. Hara ○ 국명정보 땃딸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땃 + 딸기", 땃딸기라는 이름은 땅에서 낮게 자라는 딸기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땃( 2013. 7. 15.
털복주머니란(1) 털복주머니란(1) | 털개불알꽃 , 애기작란화, 조선요강꽃 Yeol-bok-ju-meo-ni-ran Cypripedium guttatum Sw. ※털복주머니란의 학명이 C. guttatum var. koreanum으로 발표된 적이 있으므로 원기재 종과 비교가 필요하다. 또한 꽃색에 따라 발표된 흰털복주머니란, 분홍털복주머니란은 모두 털복주머니란의 다른 국명이다. ○ 국명정보 털복주머니란 :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국명의 유래 "털 + 복주머니란" 털복주머니란이라는 이름은 식물체에 털이 더 많은 복주머니란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난초과(Orchidaceae) 복주머니란속(Cypripedium) 양머리복주머니란 / 노랑복주머니란 / 분홍복주머니란 / 털복주머니란 / 복주머니.. 2013. 7. 14.
노랑복주머니란(1) 노랑복주머니란(1) | No-rang-mok-ju-meo-ni-ran Cypripedium calceolus L.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종 ○ 국명정보 노랑복주머니란 : 이영노 (1996) ○ 국명의 유래 "노랑 + 복주머니란", 노랑복주머니란이라는 이름은 꽃 색깔이 노란색으로 피는 복주머니란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난초과(Orchidaceae) 복주머니란속(Cypripedium) 양머리복주머니란 / 노랑복주머니란 / 분홍복주머니란 / 털복주머니란 / 복주머니란 / 흰복주머니란 / 왕복주머니란 / 레분복주머니란 / 자주복주머니란 / 미색복주머니란 / 장미빛복주머니란 / 겨자복주머니란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몽골, 러시아(우수리, 아무르, 사할린, 시베리아), 일본(북해도).. 2013. 7. 14.
애기봄맞이 애기봄맞이 | 명천봄마지, 북봄맞이 Ae-gi-bom-maji Androsace filiformis Retz. ○ 국명 정보 애기봄맞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애기 + 봄맞이", 애기봄맞이라는 이름은 봄맞이보다 꽃을 비롯하여 형태가 작아서 붙여졌다. 꽃이 봄맞이에 비해 현저히 작고 꽃자루 등도 가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앵초과(Primulaceae) 봄맞이속(Androsace) 고산봄맞이 / 봄맞이 / 금강봄맞이 / 애기봄맞이 / 명천봄맞이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시베리아), 유럽, 한국 | 경남, 충북, 경기 이북의 원야 습지에 난다. ○ 형태 한해살이풀.. 2013.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