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83

자주종덩굴 자주종덩굴 | 고려종덩굴, 자지종덩굴, 산종덩굴, 만첩산종덩굴, 가는잎종덩굴, 겹종덩굴, 겹산종덩굴, 좁은잎종덩굴, 좁은잎함북종덩굴, 참종덩굴, 함북종덩굴 Ja-ju-jong-deong-gul Clematis alpina (L.) Mill. var. ochotensis (Pall.) S. Watson ○ 국명정보 자주종덩굴 : 이창복 (1947) 자지종덩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자주 + 종덩굴", 자주종덩굴이라는 이름은 꽃이 짙은 자주색으로 피는 종덩굴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 자지종덩굴을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표기법에 맞추어 자주종덩굴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 2013. 8. 3.
왕죽대아재비 왕죽대아재비 | 큰죽대, 왕섬죽대, 좀죽대아재비. 큰잎죽대아재비, 왕섬죽대아재비 Wang-juk-dae-a-jae-bi Streptopus koreanus (Kom.) Ohwi | Streptopus ajanensis var. koreanus Kom. / Streptopus streptopoides var. koreanus (Kom.) Kitam. ※ The Plant List 에서 추천하고 있는 학명은 Streptopus koreanus (Kom.) Ohwi 임 ○ 국명정보 왕죽대아재비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큰죽대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왕죽대아재비를 추천명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줄기의 높이로 보면 왕죽대아재비는 30-40cm,이.. 2013. 8. 3.
분홍바늘꽃 분홍바늘꽃 | 큰바늘꽃 버들잎바늘꽃 Bun-hong-ba-neul-kkot Chamerion angustifolium (L.) Holub ○ 국명 정보 분홍바늘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분홍 + 바늘꽃", 분홍바늘꽃이라는 이름은 분홍색 꽃이 피는 바늘꽃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바늘꽃과(Onagraceae) 분홍바늘꽃속(Chamerion) 분홍바늘꽃 ○ 분포|자생지 극지 부근, 한대 및 아한대 지역 | 강원도(오대산, 설악산, 함백산) 중북부 이상의 높은 산 양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지하경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큰 군집을 형성한다. 줄기 높이가 1.5m에 달하고 가지는 그리 갈.. 2013. 8. 2.
벌깨덩굴 벌깨덩굴 | 덤불깨나물, 벌개덩굴(북한명) Beol-kkae-deong-gul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 국명정보 벌깨덩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벌 + 깨 + 덩굴", 벌깨덩굴이라는 이름은 들깨를 닮았는데 일정한 테두리를 벗어나 덩굴로 자라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접두사 벌은 벌물, 벌불, 벌모 등과 같이 '일정한 테두리를 벗어난' 이란 뜻이 있다. 잎이 깻잎을 닮았고 꽃이 지고 난 후 덩굴을 이루어 번식한다. 옛적에는 어린잎을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꿀풀과(Lamiaceae) 벌깨덩굴속(Meehania) 벌깨덩굴 / 붉은벌깨덩굴 / 흰벌.. 2013. 8. 2.
가는잎쐐기풀(2) 가는잎쐐기풀(2) | 가는쐐기풀, 꼬리쐐기풀, 약쐐기풀 Ga-neun-ip-sswae-gi-pul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 국명정보 가는잎쐐기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가는잎 + 쐐기풀", 가는잎쐐기풀이라는 이름은 쐐기풀에 비해 잎이 가늘고 좁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쐐기풀이라는 종래의 이름이 한 명칭으로 여러 종의 식물을 일컫는 이물동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전통 명칭 쐐기풀을 기본으로 하고 잎의 형태적 특징과 학명을 고려한 가는잎을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쐐기풀속(Urtica) 가는잎쐐기풀 / 긴꼬리쐐기풀 /.. 2013. 8. 2.
산겨릅나무(1) 산겨릅나무(1) | 산저릅, 참겨릅나무, 벌나무 San-gyeo-reup-na-mu Acer tegmentosum Maxim. ○ 국명정보 산겨릅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산저릅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참겨릅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산 + 겨릅 + 나무"의 합성어임. 산에서 자라고 가지가 겨릅(껍질을 벗긴 삼대)을 닮았으며 그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하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평북방언을 채록한 것에서 비롯했다. 이 나무의 가지 껍질을 벗겨 노끈으로 사용하는 것이 삼의 껍질을 벗겨 노끈으로 베옷을 짜던 것과 비슷하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강원도와 경남에서는 나무껍질이 벌집과 같아 벌나무라고도 한다. 참고 : 조민제, .. 2013. 8. 2.
각시괴불나무(3) 각시괴불나무(3) Gak-si-goe-bul-na-mu Lonicera chrysantha Turcz. ex Ledeb. ○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괴불나무속(Lonicera) 댕댕이나무 / 개들쭉나무 / 넓은잎댕댕이 / 둥근잎댕댕이 / 지리괴불나무 / 각시괴불나무 / 털산괴불나무 / 넓을잎산괴불 / 절초나무 / 숫명다래나무 / 길마가지나무 / 섬괴불나무 /.. 2013. 8. 2.
노랑매발톱 노랑매발톱 | 노랑매발톱꽃, 노랑매발톱풀 No-rang-mae-bal-top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f. pallidiflora (Nakai) M.K.Park ○ 국명정보 노랑매발톱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노랑 + 매발톱", 노랑매발톱이라는 이름은 꽃받침과 꽃잎의 색깔이 노란색을 띠는 매발톱 종류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les) 매발톱속(Aquilegia) 매발톱 / 하늘매발톱 / 노랑매발톱 ○ 분포|자생지 중국, 한국 | 백두산, 한라산의 표고 1,800m-1,900m 부근 및 전국의 높은 산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50-100cm이고 윗부분은 다소 갈라진다. 잎 근생엽은.. 2013. 8. 2.
석송 석송 Seok-song Lycopodium clavatum L. ○ 분류 석송과(Lycopodiaceae) 석송속(Lycopodium) 만년석송 / 개석송 / 석송 / 산석송 / 비늘석송 ○ 분포|자생지 호주를 제외한 전 세계 | 강원, 전남, 제주, 충남 등의 산지 그늘진 습지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상록성 줄기 포복줄기와 직립줄기가 있다. 포복.. 2013. 8. 2.
종비나무 종비나무 | 비눌가문비나무, 红皮云杉(중국명) Jong-bi-na-mu Picea koraiensis Nakai ○ 국명정보 종비나무, 비눌가문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종 + 비 + 나무", 종비나무라는 이름은 한자어 종비(樅榧)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나무와 비자나무를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가문비나무와 속이 같고 가까운 형제 나무로 나무껍질의 색깔이 가문비나무보다 약간 밝긴 하지만 매우 닮았다. 하지만 가문비나무와 다른 종임을 나타내기 위해 새로운 이름이 필요했다. 한반도 북부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전나무를 뜻하는 종(樅)을 앞에 두고, 뾰족한 잎이 비자나무(榧子)와 닮았으므로.. 2013. 8. 2.
개속새 개속새 Equisentum ramosissimum Desf. ○ 분류 속새과(Equissetaceae) 속새속(Equisentum) 쇠뜨기 / 물쇠뜨기 / 개쇠뜨기 / 개속새 / 속새 / 좀속새 ○ 분포|자생지 일본, 대만, 유럽, 아프리카, 한국 | 북부지당, 강원, 경기, 경북, 제주, 충북 등의 양지쪽이나 하천가 모래밭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 2013. 8. 1.
나도옥잠화 나도옥잠화 | 제비옥잠, 제비옥잠화, 두메옥잠화(북한명), 당나귀나물, 당나귀풀 Na-do-ok-jam-hwa Clintonia udensis Trautv. & C.A.Mey. ○ 국명정보 나도옥잠화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제비옥잠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나도 + 옥잠화" 나도옥잠화라는 이름은 넓은 잎과 꽃의 모양이 재배식물인 옥잠화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은 경기 방언으로 당나귀를 닮았다는 뜻의 당나귀나물이라는 이름과 어린잎을 식용했음을 기록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 2013. 8. 1.
참기생꽃 참기생꽃 | 큰기생초, 기생초, 참꽃, 기생꽃, 중국명 七瓣莲 [칠판련, qi ban lian] Cham-gi-saeng-kkot Trientalis europaea L., 1753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종 ○ 분류 앵초과(Primulaceae) 기생꽃속(Trientalis) 기생꽃 / 참기생꽃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사할린, 캄차카, 시베리아), 몽골, 일본, 북아메리카, 유럽, 한국 등 | 북부지방(함남북), 경북(가야산), 강원 등의 고산 및 고원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뿌리 백색의 실 같은 지하경을 낸다. 줄기 곧추서며 높이 7∼25cm이며 가늘다. 잎 밑부분에서 비늘 같은 잎이 달리고 끝부분에 5-10개의 큰 잎이 윤생상으로 나며 넓은 도피침형.. 2013. 8. 1.
덤불오리나무(2) 덤불오리나무(2) | 두메오리나무, 덤불오리, 묏불오리, 설령오리나무, 만주덤불오리나무(북한명) Deom-bul-o-ri-na-mul Alnus mandshurica (Callier ex C. K. Schneid.) Hand.-Mazz. | Alnus viridis (Chaix) DC. subsp. fruticosa (Rupr.) Nyman ○ 국명정보 덤불오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덤불 + 오리나무"의 합성어로 숲속 덤불에서 자라는 오리나무라는 뜻으로 에서 신칭되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 오리나무속(Alnus) 덤불오리나무(두메오리나무) / 물오리나무(물갬나무, 산오리.. 2013. 8. 1.
덤불오리나무(1) 덤불오리나무(1) | 두메오리나무, 덤불오리, 묏불오리, 설령오리나무, 만주덤불오리나무(북한명) Deom-bul-o-ri-na-mul Alnus mandshurica (Callier ex C. K. Schneid.) Hand.-Mazz. | Alnus viridis (Chaix) DC. subsp. fruticosa (Rupr.) Nyman ○ 국명정보 덤불오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덤불 + 오리나무"의 합성어로 숲속 덤불에서 자라는 오리나무라는 뜻으로 에서 신칭되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 오리나무속(Alnus) 덤불오리나무(두메오리나무) / 물오리나무(물갬나무, 산오리.. 2013.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