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중앙아시아에서 만난 식물100

털고광나무(20240521) 털고광나무(20240521) | 힌털고광나무, 흰털고광나무Teol-go-gwang-na-muPhiladelphus schrenkii var. jackii Koehne, 1911.※한반도의 생물다양성에서는 털고광나무를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Rupr.)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 국명정보털고광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털 + 고광나무",   털고광나무라는 이름은 잎맥 위에 털이 있는 고광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수국과(Hydrangeaceae) 고광나무속(Philadelphus)   서울고광나무 / 섬고광나무 / 양덕고광나무 / 고광나무 / 얇은잎고광.. 2024. 7. 2.
가침박달(20240521) 가침박달(20240521) | 柳櫻, 까침박달, 영명 Common Pearlbush,Ga-chim-bak-dalExochorda serratifolia S.Moore※학명 Exochorda은 그리스어 Exo(밖) 와 chorde(끈)의 합성어로 자방의 외부에 끈(실)이 나오기 때문에 붙여졌다. 종소명 serratifolia은 '거치가 있는 잎'이란 뜻이다. ○ 국명정보가침박달 : 정태현 (1943)○ 국명의 유래 1. "가침 + 박달", 가침박달이라는 이름은 실로 감아서 꿰맨다는 뜻의 '감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학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박달’은 나무의 재질이 단단한 박달나무 비슷하다는 함축적인 뜻으로 짐작된다.2. '가침 + 박달'의 합성이다. 골돌과에 돌출된 능각이 있는데 씨방 여러 .. 2024. 7. 2.
치커리(20240520) 치커리(20240520) | Chicory Common, Chicory, Succory, Blue-sailors, WitloofChi-keo-riCichorium intybus L.재배식물○ 국명정보치커리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국명의 유래"치커리"라는 이름은 영문명 Chicory에서 유래했다. ○ 분류  국화과(Asteraceae)>치커리아과(Cichorioideae)>치커리족(Cichorieae)>치커리속(Cichorium) 치커기 / 꽃상추 ○ 분포|자생지   북유럽 원산 | 전국에서 채소용으로 밭에 식재한다.※유럽 발칸 반도에서는 야생하고 있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  다육질이고 길다.   줄기  높이가 50∼150cm이고 단단하며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있다.    잎  뿌리.. 2024. 7. 2.
두엄흙물버섯(20240520) 두엄흙물버섯(20240520) | 두엄먹물버섯Du-eom-heuk-mul-beo-seotCoprinopsis atramentaria (Bull.) Redhead, Vilgalys & Moncalvo 2001  | 이명 Coprinus atramentarius (Bull.) Fr. 1838( ○ 분류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Agaricales 주름버섯목 > Psathyrellaceae 눈물버섯과 > Coprinopsis 두엄먹물버섯속 갈색비듬두엄먹물버섯 Coprinopsis narcotica (Batsch) Redhead, Vilgalys & Moncalvo 2001괴경두엄먹물버섯 Coprinopsis tuberosa (Quél.) Doveri, Gra.. 2024.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