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중앙아시아에서 만난 식물73

감초(20240518) 감초(20240518) | 구분감초Gam-cho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 Dc.재배식물○ 국명정보감초 : 이창복 (1969)○ 국명의 유래" 감초", 라는 이름은 한자어 甘草에서 유래한 것으로 뿌리가 단맛이 난다는 뜻이다.○ 분류 콩과(Fabaceae) 감초속(Glycyrrhiza)개감초 / 감초 ○ 분포|자생지   중국, 몽골, 러시아; 중앙아시아 | 전국에서 약용작물로 밭에서 재배한다. 원산지에서는 건조한 풀밭이나 모래땅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며, 높이 40~100cm, 가지를 치고, 밑은 나무질이다. 어린 가지에는 짧은 털이 있다.   잎  어긋나며, 작은 잎 7~17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으로 길이 2~5cm, 폭.. 2024. 6. 24.
개양귀비(20240518) 개양귀비(20240518) | 虞美人草, 미인초, 꽃양귀비, 물감양귀비, 애기아편꽃, Gae-yang-gwi-biPapaver rhoeas L.화훼재배식물 ○ 국명정보개양귀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개 + 양귀비",   개양귀비라는 이름은 양귀비와 닮았으나 아편을 생산하지 않는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虞美人草는 초나라 항우의 애첩 우미인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항우가 유방의 군대에 포위되자 우미인은 술자리에서 석별의 정을 읊는 항우의 시에 맞추어 노래를 부른 뒤 목숨을 끊었다고 하는데 나중에 우미인의 무덤에 개양귀비 꽃이 피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 2024. 6. 24.
곰의말채나무(20240518) 곰의말채나무(20240518) | 곰말채나무, 곰의말채 Gom-ui-mal-chae-na-muCornus macrophylla Wall.  ○ 국명정보곰의말채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곰말채나무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1. "곰의 + 말채나무",  곰의말채나무라는 이름은 곰이 사는 깊은 산속에서 자라는 말채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일본의 옛 수도 교토의 남쪽 미에현 구마노(熊野)라는 곳에 자생한다고 한다. 일본인들은 그 지명을 이름에 붙여 구마노미즈키(熊野水木)라 했다. 이것을 우리말로 가져오면서 곰을 뜻하는 앞 글자 구마(熊)의 뜻을 따오고, 노(.. 2024. 6. 24.
Ligustrum vulgare(20240518) Ligustrum vulgare (20240518) | 영문명 wild privet, common privet, European privet 리구스트룸 불가레 Ligustrum vulgare L. | 다른학명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 물푸레나무과 Oleaceae > 쥐똥나무속 Ligustrum리구스트룸 불가레  Ligustrum vulgare L.   ○ 분포 | 자생지 중부 및 남부 유럽, 북아프리카 및 남서부 아시아, 아일랜드와 스웨덴 남서부에서 남쪽으로 모로코까지, 동쪽으로 폴란드와 이란 북서부 | 세계 각지에 도입되어 관상용, 울타리용으로도 식재한다.  ○ 개요반 상록 또는 낙엽 관목으로 높이가 3m (드물게 최대 5m)까지 자랍니다. 줄기는 뻣뻣하고 직립하며 회갈색 껍질에 작은 갈색.. 2024.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