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중앙아시아에서 만난 식물73

털고광나무(20240518) 털고광나무(20240518) | 힌털고광나무, 흰털고광나무Teol-go-gwang-na-muPhiladelphus schrenkii var. jackii Koehne, 1911.※한반도의 생물다양성에서는 털고광나무를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Rupr.)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 국명정보털고광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털 + 고광나무",   털고광나무라는 이름은 잎맥 위에 털이 있는 고광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수국과(Hydrangeaceae) 고광나무속(Philadelphus)   서울고광나무 / 섬고광나무 / 양덕고광나무 / 고광나무 / 얇은잎고광.. 2024. 6. 24.
조뱅이(20240618) 조뱅이(20240618) | 자라귀, 조바리, 지칭개, 조병이Jo-baeng-iBreea segeta (Bunge) Kitam.  ○ 국명정보조뱅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조뱅이"라는 이름은 엉겅퀴에 큰 가시가 있다고 하여 한자로 대계(大葪)라고 하면서 그 향명을 대거시(大居塞, 한거싀)라 한 것에 대응하여, 조그마한 가시가 있다고 하여 소계(小葪)라 하면서 그 향명을 (曺方居塞, 조방거싀)라 한 것에서 유래했다. 조방거시에서 조방은 작다는 뜻이고 거싀는 가시라는 뜻이다. 이후 조방거싀>조방가ㅅ·ㅣ>조방이(죠방이)>조뱅이로로 변화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엉겅퀴아과(Carduo.. 2024. 6. 24.
큰방가지똥(20240518) 큰방가지똥(20240518) | 개방가지똥, 큰방가지풀Keun-bang-ga-ji-ttongSonchus asper (L.) Hill귀화식물 ○ 국명정보큰방가지똥 :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국명의 유래"큰 + 방가지똥",   큰방가지똥이라는 이름은 방가지똥을 닮았으나 식물체가 더 크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방가지똥이라는 이름은 방가지(방아깨비)가 내뱉는 액처럼 유액이 나오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방가지가 위험에 처하면 배설물을 내놓는데, 방가지똥에 상처가 생기면 흰 유액이 나오는 모습이 마치 방아깨비의 똥과 같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치커리아과(Cichori.. 2024. 6. 22.
Lactuca perennis(20240518) Lactuca perennis (20240518) | 영문명 mountain lettuce, blue lettuce, perennial lettuce 락투카 페레니스 Lactuca perennis L. 1753  | 다른학명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국화과 Asteraceae > 왕고들빼기속 Lactuca  Lactuca perennis L. 1753 ○ 분포 | 자생지중부 및 남부 유럽, 유럽 - 발트해 연안 국가들 남쪽에서 스페인까지, 동쪽으로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그리스 | 암석이 많은 곳 또는 기타 건조한 장소, 특히 저지대에서 아고산 지역에 이르는 석회질 토양에서 자란다. ○ 형태 국화과 (Asteraceae)의 Lactuca 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 종입니다. 중부 및 남.. 2024.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