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양치식물418

넉줄고사리 넉줄고사리 Neok-jul-go-sa-ri Davallia mariesii Moore ex Baker ○ 국명정보 넉줄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넉줄 + 고사리", 넉줄고사리라는 이름은 덩굴성 고사리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넉줄'은 방언에서 덩굴을 뜻하므로 바위 위로 뻗는 땅속줄기를 덩굴로 보아 넉줄고사리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편 바위 위로 뻗는 뿌리줄기를 넋줄(물에 빠져 죽은 사람의 넋을 건지기 위한 무속 의식에 쓰인 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관상용으로 분재한 일본 특산종인 줄고사리(구슬고사리)에서 힌트를 얻고 잎이 4회(넉줄) 우상인 데서 유래했다.. 2014. 7. 10.
비늘고사리 비늘고사리 | 곰고사리, 비눌고사리 Bi-neul-go-sa-ri Dryopteris lacera (Thunb.) Kuntze ○ 국명정보 비눌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비늘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비늘 + 고사리", 비늘고사리라는 이름은 잎자루에 비늘조각이 밀생하는 고사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관중속(Dryopteris) 가는잎족제비고사리 / 계곡고사리 / 곰비늘고사리 / 관중 / 금족제비고사리 / 남도톱지네고사리 / 느리미고사리 / 바위족제비고사리 / 바위틈고사리 / 보태면마 / 비늘고사리 / 산비늘고사리 / 산족제비고사.. 2014. 7. 10.
털고사리 털고사리 Teol-go-sa-ri Deparia pycnosora (Christ) M. Kato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진고사리속(Deparia) 털고사리 / 흰털고사리 / 왕고사리 / 곱새고사리 / 진퍼리고사리 / 큰진고사리 / 나도좀진고사리 / 털진고사리 / 탐라진고사리 / 진고사리 / 좀진고사리 / 개좀진고사리 ○ 분포|자생지 중국, 러.. 2014. 7. 5.
홍지네고사리(1) 홍지네고사리(1) | 반들고사리, 섬홍지네고사리, 붉은지네고사리(북한명) Hong-ji-ne-go-sa-ri Dryopteris erythrosora (Eat.) Kuntze ○ 국명정보 홍지네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홍 + 지네고사리", 홍지네고사리라는 이름은 어린잎과 포막에 홍자색이도는 지네고사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관중속(Dryopteris) 가는잎족제비고사리 / 계곡고사리 / 곰비늘고사리 / 관중 / 광릉족제비고사리 / 금족제비고사리 / 남도톱지네고사리 / 느리미고사리 / 뫼족제비고사리 / 바위족제비고사리 / 바위틈고사리 / 보태면마 /.. 2014.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