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식물/양치식물418 풀고사리 풀고사리 | Pul-go-sa-ri Diplopterygium glaucum (Thunb. ex Houtt.) Nakai ○ 국명정보 풀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풀 + 고사리", 풀고사리라는 이름은 자생하는 양치식물 중 가장 대형종으로 외형은 나무에 가까우나 실제로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및 남부지방에 분포한는데 제주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풀고사리과(Gleicheniaceae) 풀고사리속(Diplopterygium) 풀고사리, 발풀고사리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 | 경남, 전남,.. 2014. 11. 18. 솔잎란 솔잎란 | 솔잎난, 송엽난 Sol-ip-ran Psilotum nudum (L.) P. Beauv. 환경부 지정멸종위기 II급 야생식물 ※국어 맞춤법 규정에 의하면 '솔잎'이 한자어가 아니라 순우리말이기 때문에 '란'이 아니라 '난'이 와 솔잎난이어야 어법에 맞다. ○ 국명정보 솔잎난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솔잎란 :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 국명의 유래 "솔잎 + 란", 솔잎란이란 이름은 잎이 소나무 잎처럼 생겼고, 식물체 전체가 난초를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솔잎난과(Psilotaceae) 솔잎난속(Psilotum) 솔잎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등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 | 제주도 해안가 바위 틈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상록성 근.. 2014. 10. 8. 실고사리 실고사리 | 중국명 : 해금사(海金沙) Sil-go-sa-ri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Ophioglossum japonicum Thunb. ○ 국명정보 실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실 + 고사리", 실고사리라는 이름은 양치식물 중에서 유일한 덩굴성 풀인데 긴 줄기의 모양이 실을 연상시키는 고사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제주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실고사리과(Schizaeaceae) 실고사리속(Lygodium) 실고사리 ○ 분포|자생지 중국, 한국, 일본, 타이완,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 네팔, 호주 | 전남북, 경남, 제주의 숲 속.. 2014. 8. 26. 흰털고사리 흰털고사리 Depania orientalis (Z. R. Wang et J.J. Chien) Nakaike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진고사리속(Depania) 털고사리 / 흰털고사리 / 왕고사리 / 곱새고사리 / 푸른개고사리 / 진퍼리고사리 / 큰진고사리 / 나도좀진고사리 / 털진고사리 /탐라진고사리 / 진고사리 / 좀진고사리 / 개좀진고사리 ○ .. 2014. 8. 3. 이전 1 ··· 83 84 85 86 87 88 89 ··· 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