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양치식물418

더부살이고사리 더부살이고사리 | 더부사리고사리, 새끼줄고사리, 싹고사리 Deo-bu-sal-i-go-sa-ri 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국명정보 더부살이고사리 : 정태현, 도봉선, 심학진 (1949) 더부사리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더부살이 + 고사리", 더부살이고사리라는 이름은 더부살이하는 고사리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식물명에서 더부살이는 기생성 식물을 뜻하기도 하지만, 더부살이고사리는 살눈을 통해서 번식할 뿐 기생성 식물은 아니다. 에서 전통 명칭 고사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더부살이를 추가해 신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이창숙.. 2014. 11. 26.
부처손 부처손 | 바위손, 두턴부처손, 주먹풀/헛바위손 Bu-cheo-son Selaginella involvens (Sw.) Spring ○ 국명정보 부처손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부처 + 손", 부처손이라는 이름은 수분이 부족하면 잎이 감아쥔 사람의 손 모양이었다가 수분이 공급되면 다시 펼쳐지는 것이 부처의 손을 연상시킨다 하여 붙여졌다. 부텨손>부처손의 변화 과정을 거쳤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부처손과(Selaginellaceae) 부처손속(Selaginella) 개부처손 / 구실사리 / 바위손 / 부처손 / 실사리 / 왜구실사리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인도 등 열대 아시아 | 제주 산.. 2014. 11. 20.
바위손 바위손 | 부처손 Ba-wi-son Selaginella tamariscina (P. Beauv.) Spring ○ 국명정보 바위손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바위 + 손", 바위손이라는 이름은 주로 바위틈에서 자라고 모양이 부처손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 ○ 분류 부처손과(Selaginellaceae) 부처손속(Selaginella) 개부처손 / 구실사리 / 바위손 / 부처손 / 실사리 / 왜구실사리 ○ 분포|자생지 동부 아시아, 동남 아시아 | 전국 산지의 바위 및 암벽에 붙어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상록성 뿌리 많은 수염뿌리가 얽혀 헛줄기를 만든다. 줄기 한 묶음의 수염뿌리에서 나오며, 여러 개의 줄기가 방사상으로 나와 가지를 친다. 영양엽 난형으로 복엽과 .. 2014. 11. 20.
발풀고사리 발풀고사리 | 발각고사리 Bal-pul-go-sa-ri Dicranopteris linearis (Burm. f.) Underw. ○ 국명정보 발풀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발각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발 + 풀고사리", 발풀고사리라는 이름은 식물의 모습이 새의 발과 같이 생겼고 풀고사리를 닮았다는 뜻으로 학명에서 유래했다. 에서는 발각고사리로 기록했으나 조선식물명집에서 발풀고사리고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속명 Dicranopteris 은 Dicranoss(둘로 가라지는)와 pteris(양치식물)의 합성어로 잎자루 끝에서 둘로 갈라져 좌우 2엽을 이루는 것에서 유래했다. 풀고사리라는 이름은 자생하는 양치식물 중 가장 대형종으로 .. 2014.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