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양치식물418

음양고비 음양고비 | 개고비 Eum-yang-go-bi Osmunda claytoniana L. ○ 국명정보 음양고비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음양 + 고비", 음양고비라는 이름은 현재까지 정확한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잎이 영양엽과 포자엽 2가지가 있는데 포자엽은 영영엽의 1/3 지점에 달리는데 산포 후에 흑갈색으로 변한다. 이와 관련하여 음양고비라는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고비라는 이름은 그 어원이 정확히 알려진 바는없으나 고사리와 마찬가지로 싹이 돋을 때의 구부러진 생김새 때문에 휘었다는 뜻의 곱다와 ㅇ·ㅣ(명사화 접사) 합쳐져서 고ㅂ·ㅣ>고비로 변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고비과(Osmundaceae) 고비속(Osmunda) 고비 / 꿩고비 .. 2014. 5. 14.
꿩고비 꿩고비 | Kkweong-go-bi Osmunda cinnamomea var. fokiensis Copel. ○ 국명정보 꿩고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꿩 + 고비", 꿩고비라는 이름은 포자를 산포한 후 적갈색으로 변한 포자엽의 모습이 꿩의 꼬리를 닮았고 식물 전체의 모습이 고비를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고비과(Osmundaceae) 고비속(Osmunda) 고비 / 꿩고비 / 음양고비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 일본, 타이완, 인도네시아, 태국, 한국 등 | 전국 산지의 습지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근경 짧고 끝에서 잎이 서로 붙어서 총생처럼.. 2014. 5. 14.
고비 고비 | 가는고비 Go-bi Osmunda japonica Thunb. ○ 국명정보 고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고비", 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고사리와 마찬가지로 싹이 돋을 때의 구부러진 생김새 때문에 휘었다는 뜻의 곱다와 명사화 접사 ㅇ·ㅣ가 합쳐져 고ㅂ·ㅣㅡ>고비로 변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고비과(Osmundaceae) 고비속(Osmunda) 고비 / 꿩고비 / 음양고비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등 동남아시아 | 전국 산지의 숲 속이나 냇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하록성 근경 굵고 비스듬히 선다. 어린잎 솜털이 많은며 잎이 전개된 다음 솜털이 없어진다. 엽병 길이 20-25cm, 기부에 가까이 양쪽에.. 2014. 5. 14.
개면마(2) 개면마(2) | 개관중, 좀면마 Gae-myeon-ma Pentarbizidium orientale (Hook.) Hayata | Matteuccia orientalis (Hooker) Trev. ○ 국명정보 개면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면마", 개면마라는 이름은 관중의 다른 이름 면마와 유사하다는(개) 뜻에서 유래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전통 명칭 면마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개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야산고비과(Onocleaceae) 개면속(Pentarbizidium) 개면마 ○ 분포|자생지 중국 | 전국 계곡 습한 지역 ○ 형태 여러해살이풀 하록성 근경 .. 2014.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