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래고사리
청나래고사리 | 청나래개면마, 청날개고사리, 포기고사리 Cheong-na-rae-go-sa-ri 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aro ○ 국명 정보 청나래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청나래 + 고사리", 청나래고사리라는 이름은 잎이 자라는 모습이 푸른 날개를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청나래고사리속(Matteuccia) 청나래고사리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 일본, 유럽, 북미 | 충남 이북의 그늘진 낙엽 활엽수림, 양지바른 습원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하록성이다. 근경 직립하며 포복지를 내어 번식한다. 직립경은 덩어리졌으며 지름 2-9cm로 잎이 총생하고 ..
2014. 5. 11.
참새발고사리
참새발고사리 Cham-sae-bal-go-sa-ri Athyrium brevifrons Kodama ex Nakai ○ 국명정보 새발고사리(참새발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참새발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새발 + 고사리", 새발고사리라는 이름은 잎의 모양이 새의 발을 닮은 고사리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새발고사리는 새발고사리와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므로 국명에서 기본이 되는 새발고사리를 살리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개고사리속(Athyrium) 광릉개고사리 / 개..
2014. 5. 11.
관중
관중 | 호랑고비, 면마, 범고비 Gwan-jung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 국명정보 면마(관중, 희초미)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관중" 이라는 이름은 한자어 관중(貫衆)에서 유래했다. 위에서 내려다 보면 방사상으로 무리 지어 난 엽축 가운데에 뿌리가 있어 마치 뿌리 하나가 여러 엽축을 꿰고 있는 듯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관중의 옛이름은 희초미인데 그 정확한 뜻이나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관중속(Dryopteris) 가는잎족제비고사리 / 계곡고사리 / 곰비늘고사리 / 관중 / 광릉족제비고사리 / 금족제비고사리 / ..
2014. 5. 7.
속새
속새 | 속새갈, 속새기, 덕욱새, 절골초, 지초 Sok-sae Equisetum hyemale L. ○ 국명정보 속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속 + 새", 속새라는 이름은 줄기가 살대 같고 마디가 있으며 줄기의 내부(속)가 비어 있어 필통 모양을 이루는데 그것을 약재로 사용하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을 보인다. '속'은 거죽이나 껍질로 싸인 물체의 안쪽 부분을 뜻하는 옛말이고, '새'는 풀(현재는 날카로운 잎을 가진 풀을 총칭하는 뜻)을 뜻하는 옛말이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줄기를 잘라 마디 부분을 제거하고 약재로 사용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속새과(Equissetaceae) 속새속(Equisentu..
2014.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