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양치식물418

산족제비고사리(1) 산족제비고사리(1) San-jok-je-bi-go-sa-ri Dryopteris bissetiana (Baker) C.Chr. ※광릉족제비고사리로 오동정하여 산족제비고사리로 수정함. ○ 국명정보 산족제비고사리 : 박만규 (1961) ○ 국명의 유래 "산 + 족제비고사리", 산족제비고사리라는 이름은 주로 산지 숲속에 나는 족제비고사리 종류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관중속(Dryopteris) 가는잎족제비고사리 / 계곡고사리 / 곰비늘고사리 / 관중 / 광릉족제비고사리 / 금족제비고사리 / 남도톱지네고사리 / 느리미고사리 / 뫼족제비고사리 / 바위족제비고사리 / 바위틈고사리 / 보태면마 / 비늘고사리 / 산비늘고사리 / 산족제비고사리 / 아물고사리 / 애기족제비고사.. 2014. 3. 27.
검은별고사리 검은별고사리 Geom-eun-byeol-go-sa-ri Cyclosorus interruptus (Willd.) H.Ito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지정 ○ 국명정보 검은별고사리 : 문명옥 외4인(2002) ○ 국명의 유래 "검은 + 별고사리", 검은별고사리라는 이름은 별고사리와 유사하나, 지하줄기, 엽병 기부 및 포자 색깔이 검으며 식물체가 마르면 검게 그을린 형태를 취하는 것에 유래했다.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별고사리속(Cyclosorus Link) 검은별고사리 Cyclosorus interruptus (Willd.) H. Itô 별고사리 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ex H. Itô 큰별고사리 Cyclosorus penang.. 2014. 3. 27.
별고사리 별고사리 Byeol-go-sa-ri 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ex H. Ito ○ 국명정보 별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별 + 고사리", 별고사리라는 이름의 정확한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별고사리속 식물은 유사한 속 식물과 비교할 때 잎 뒷면의 맥이 부분적으로 그물맥의 형태를 띠는 특징이 있는데, 그 맥 위의 포자낭군이 성숙하면 별 모양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별고사리속(Cyclosorus) 검은별고사리 / 별고사리 / 털별고사리 / 탐라별고사리 ○.. 2014. 3. 27.
다람쥐꼬리 다람쥐꼬리 | 북솔석송, 탐라쥐꼬리, 다람쥐꼬리석송 Da-ram-jwi-kko-ri Huperzia miyoshiana (Makino) Ching ○ 국명정보 다람쥐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다람쥐 + 꼬리", 다람쥐꼬리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가늘고 비늘 모양의 잔잎이 많은 것을 다람쥐꼬리에 비유한 데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석송과(Lycopodiaceae) 다람쥐꼬리속(Huperzia) 줄석송 / 뱀톱 / 긴다람쥐꼬리 / 다람쥐꼬리 / 좀다람쥐꼬리 / 왕다람쥐꼬리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 캐나다, 일본, 한국 | 강원, 경기, 경남. 제주 등 산지의 그늘진 습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 2014.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