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람쥐꼬리 | 북솔석송, 탐라쥐꼬리, 다람쥐꼬리석송
Da-ram-jwi-kko-ri
Huperzia miyoshiana (Makino) Ching
○ 국명정보
다람쥐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다람쥐 + 꼬리", 다람쥐꼬리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가늘고 비늘 모양의 잔잎이 많은 것을 다람쥐꼬리에 비유한 데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석송과(Lycopodiaceae) 다람쥐꼬리속(Huperzia)
줄석송 / 뱀톱 / 긴다람쥐꼬리 / 다람쥐꼬리 / 좀다람쥐꼬리 / 왕다람쥐꼬리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 캐나다, 일본, 한국 | 강원, 경기, 경남. 제주 등 산지의 그늘진 습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상록성
줄기 5-15cm까지 자란다. 밑부분이 옆으로 뻗어 여러 개의 곧게 선 직립줄기를 만들고 다시 여러 번 갈라지기도 한다.
잎 길이 3-7mm, 너비 0.5-0.7mm 정도로 황록색, 녹색을 띠며 중륵은 뚜렷하지 않고, 줄기 전체에 밀집하여 비스듬히 위를 향해 붙는다. 선상 피침형이며 밑에서부터 점차 좁아지고 가장자리는 거치가 없다.
무성아 줄기 끝부분에 모여 달리고, 뱀톱에 비해 작다.
포자낭군 포자엽의 기부에 달린다.
○ 동정 포인트
1. 좀다람쥐꼬리의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며 중앙 1/3 지점까지 양측이 평행하다가 점차 좁아진다.
2. 긴다람쥐꼬리는 다람쥐꼬리에 비해 잎 가장자리 상부에 미세한 톱니가 있다.
3. 왕다람쥐꼬리는 바위나 나무에 착생하며 줄기는 비스듬히 위를 향하고 무성아가 달리지 않는다.
▩ 뱀톱속의 종 검색표
종명 | 잎의 모양 | 무성아 | 잎 가장자리 | 서식지 |
뱀톱 | 좁은 피침형, 넓은 피침형 | 있음 | 톱니 | 흙에서 자란다. |
긴다람쥐꼬리 | 선상 피침형 | 있음 | 위쪽만 톱니 | 흙에서 자란다. |
다람쥐꼬리 | 침상 피침형 | 있음 | 밋밋함 | 흙에서 자란다. |
좀다람쥐꼬리 | 선상 피침형 | 있음 | 밋밋함 | 흙에서 자란다. |
왕다람쥐꼬리 | 선형, 선상 피침형 | 없음 | 밋밋함 | 나무나 바위 위에서 자란다. |
○ 동정 포인트
▩ 뱀톱속의 종 검색표
|
○ 참고
국립수목원 <한국식물 도해도감 2. 양치식물>
○ 여적
2013. 07. 29. 설악산
2017. 05. 20. 강원 인제 대암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