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321

아코니툼 나펠루스 (20170910) 아코니툼 나펠루스 (20170910) | 서양바꽃, 영문명국명의 로마자Aconitum napellus L. | 이명 ○ 국명정보아코니툼 나펠루스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아코니툼 나펠루스"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학명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Aconitum아코니툼 나펠루스 Aconitum napellus L. ○ 분포 | 자생지서부 및 중부 유럽 |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가을 중반에 화려한 뾰족한 꽃차례와 매력적인 단풍으로 인해 온대 지역의 정원에서 자랍니다. ○ 형태서부 및 중부 유럽에 서식하는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계통의 투구꽃속 Aconitum 에 있는 매우 독성이 강한 꽃 피는 식물의 종입니다. 키가 1m까지.. 2025. 4. 2.
Echinocystis lobata (20170910) Echinocystis lobata (20170910) | 로바투스가시박, 영문명 wild cucumber, prickly cucumber에키노시스티스 로바타Echinocystis lobata (Michx.) Torr. & A.Gray | 이명 Sicyos lobatus Michx. | 해외식물○ 국명 정보로바투스가시박 : 우리나라 식물목록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음○ 국명의 유래"로바투스 + 가시박" 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학명에서 유래했다. ○ 분류  박과(Cucurbitaceae) 가시박속(Sicyos) 가시박 / 로바투스가시박 ○ 분포|자생지북미 원산, 그리스에 귀화  |  바닥 숲과 덤불, 강기슭 숲, 습지와 습지 가장자리, 목초지의 덤불, 울타리, 도랑, 호숫가, 철도 제방, 모래 언덕 등에서 자.. 2025. 4. 2.
Begoniaceae 베고니아과 > Begonia 베고니아속(20170909) Begoniaceae 베고니아과 > Begonia 베고니아속(20170909)  Begonia 'Nonstop Mocca Bright Orange' 2025. 4. 2.
뚱딴지(20170911) 뚱딴지(20170911) | 돼지감자/뚱단지, 뚝감자(북한명), 국우(菊芋)Ttung-ttan-jiHelianthus tuberosus L.귀화식물 ○ 국명정보 뚱단지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뚝감자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돼지감자/뚱단지 : 이춘녕, 안학수 (1963) ○ 국명정보1. "뚱 + 딴지", 뚱딴지라는 이름은 덩이줄기가 울퉁불퉁하게 가지가색으로 생긴 모양에서 유래했다.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구한말 또는 일제강점기에 구황식물로 사용할 목적으로 일본을 거쳐 국내에 유입되었는데 야생화하여 귀화식물로 분류되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돼지 + 감자",  돼지감자라는 이름은  땅속 줄기에 다닥다닥.. 2025. 4. 2.
좀개자리(20170911) 좀개자리(20170911) | 먹이개자리털꽃자리풀Jom-gae-ja-riMedicago minima (L.) Bartal. ○ 국명정보좀개자리 :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X) (박수현, 1997)○ 국명의 유래 "좀 + 개자리",  좀개자리라는 이름은 개자리를 닮았으나 좀처럼 작은 개자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콩과(Leguminosae) 개자리속(Medicago)  잔개자리 / 좀개자리 / 노랑개자리 / 자주개자리 / 개자리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5월 17일 남제주군 성산포읍 시흥리 해변에서 처음 확인되었고 그 외에 서해안을 따라 인천의 백령도까지 분포한다. ○ 형태   한해살이풀  식물체 전체에 연모가 많이 있다.    줄기  아랫부분이 옆으로 누우며 길.. 2025. 4. 2.
오랑캐장구채(20170911) 오랑캐장구채(20170911) | 흰대나물, 북장구채, 가지대나물O-rang-kae-jang-gu-chaeSilene repens Patrin ○ 국명정보오랑캐장구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오랑캐 + 장구채" 오랑캐장구채라는 이름은 오랑캐는 대개 만주를 포함한 한반도 북부에 분포한다는 뜻이거나 거친 모양새를 일컫는다. 따라서 이 식물이 북쪽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갈색 꽃받침통에 털이 많고 꽃잎이 크게 달려서 오랑캐란 말을 쓰고, 장구채를 닮았다는 뜻에서 장구채를 결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석죽과(Caryophyllaceae) 장구채속(Silene)애기장구채 / 갯장구채 / 끈끈이대나물 /.. 2025. 4. 2.
Berteroa incana (20170911) Berteroa incana (20170911) | 영문명 Hoary alyssum, false hoary madwort, hoary berteroa,hoary alison베르테로아 인카나Berteroa incana (L.) DC. | 이명 Alyssum incanum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Brassicaceae 십자화과 > Berteroa 베르테로아속베르테로아 인카나 Berteroa incana (L.) DC. ○ 분포 | 자생지유라시아가 원산지인 격년생 허브로 서유럽과 북미에 소개되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의 일부 지역에서 침입성 유해 잡초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때로는 조경 목적으로 좋은 관상용 식물로 간주됩니다. 그것은 유럽의 광산 현장과 도시 지역의 폐기물 땅을 덮기 위해 심어졌습.. 2025. 4. 2.
알리섬 (20170911) 알리섬 (20170911) | 영문명 sweet alyssum, sweet alison로불라리아 마르티마Lobularia maritima (L.) Desv. | 다른학명※ 속명 Lobularia는 과일의 모양을 나타내는 '작은 꼬투리'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영문명 Alyssum은 '광기의 부족'으로 번역 될 수 있으며, 광견병 치료제로 허브를 역사적으로 사용했음을 나타냅니다. ○ 국명정보알리섬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알리섬이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영문명 alyssum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배추과 Brassicaceae > 로불라리아속 Lobularia로불라리아 마르티마 Lobularia maritima (L.) Desv. ○ 분포 | 자생지지중해 분지와 마카로네.. 2025. 4. 2.
좁은잎해란초(20170910) 좁은잎해란초(20170910) | 좁은잎海蘭草, 가는운란초Jop-eun-ip-hae-ran-cho Linaria vulgaris Mill. ○ 국명정보좁은잎해란초 : 이창복 (1969)○ 국명의 유래"좁은잎 + 해란초", 좁은잎해란초라는 이름은 해란초와 유사하나 잎이 좁은 특징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해란초속(Linaria)  좁은잎해란초 / 해란초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극동), 유럽, 한국 | 북부지방 바닷가 모래땅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며, 높이 25~80cm,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잎  어긋나거나 3장씩 돌려나며, 선상 피침형 .. 2025. 4. 2.
Plantago media (20170911) Plantago media (20170911) | 영문명 hoary plantain 플란타고 메디아 Plantago media L. | 이명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Plantaginaceae 질경이과 > Plantago 질경이속플란타고 메디아 Plantago media L. ○ 분포 | 자생지Plantago media는 유라시아가 원산지입니다. 잉글랜드 동부가 원산지이지만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서는 드뭅니다. 그것은 석회질이며 초원, 초원, 잔디밭 및 황무지에서 자라는 분필 또는 석회암의 토양 특성입니다. Plantago media는 해발 2000m까지 축축한 풀이 무성한 초원에서 자랍니다.  ○ 개요질경이과 (Plantaginaceae)의 꽃 피는 식물 종입니다. 그것은 영국을 포함한 .. 2025. 4. 2.
긴까락보리풀(20170911) 긴까락보리풀(20170911) | 여우보리풀, 까끄라기보리풀. 영문명 foxtail barley, bobtail barley, squirreltail barley, intermediate barleyGin-kka-rak-bo-ri-pulHordeum jubatum L. | 이명 Critesion adscendens (Kunth) Á.Löve / Critesion geniculatum Raf. / Critesion jubatum (L.) Nevski / Elymus jubatus Link / Hordeum adscendens Kunth외래 귀화식물 ○ 국명정보긴까락보리풀 : ?까끄라기보리 :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 국명의 유래긴까락보리풀이라는 이름은 까락이 긴 특징이 있는 보리풀 종류라는 뜻에.. 2025. 4. 2.
다알리아(20170910) 다알리아(20170910) | 달리아, 다리아, 대려화(大麗花)Da-al-ri-aDahlia pinnata Cav.재배식물○ 국명정보다알리아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국명의 유래"다알리아" 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학명 Dahlia 에서 유래했다.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금잔화족(Calenduleae)>달리아속(Dahlia) 달리아 ○ 분포|자생지   멕시코, 과테말라 원산 | 전국 정원, 화단에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덩이뿌리 고구마처럼 생겼다. 번식은 이 뿌리로 한다.  줄기  원기둥 모양이고 가지를 잘 치며 털이 없고 녹색을 띠며 높이가 1.5∼2m이다.   잎  마주나고 1∼2회 깃꼴로 갈라진.. 2025. 4. 2.
캄파눌라 라티폴리아 (20170910) 캄파눌라 라티폴리아 (20170910) | 영문명 giant bellflower, large campanula, wide-leaved bellflower.국명의 로마자Campanula latifolia L. | 이명 ○ 국명정보캄파눌라 라티폴리아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캄파눌라 라티폴리아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학명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Campanulaceae 초롱꽃과 > Campanula 초롱꽃속 캄파눌라 라티폴리아 Campanula latifolia L. ○ 분포 | 자생지유럽과 서아시아에서 동쪽으로 카슈미르까지 원산지입니다. 자연 서식지는 잎이 넓은 삼림 지대, 관목림, 공원 및 숲 가장자리입니다. 어떤 경우는 수련에서 벗어난 결과입니다. 유럽과 서아시아가 원산지이며 관상용 식.. 2025. 4. 2.
서양산딸기(20170910) 서양산딸기(20170910) | 서양오엽딸기, BlackberrySeo-yang-san-ttal-giRubus fruticosus L.귀화식물 ○ 국명정보서양산딸기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오엽딸기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국명의 유래 "서양 + 산딸기", 원산지 서양(유럽)에서 도입한 산딸기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 분류장미과(Rosaceae) 산딸기속(Rubus)가시딸기 / 가시복분자딸기 / 거문딸기 / 거지딸기 / 검은딸기 / 겨울딸기 / 단풍딸기 / 복분자딸기 / 붉은가시딸기 / 산딸기 / 섬나무딸기 / 섬딸기 / 수리딸기 / 오엽딸기 / 장딸기 / 제주산딸기 / 줄딸기 / 진들딸기 / 함경딸기 / 거제딸기 / 나무딸기 / 노랑장딸기 / 맥도딸기 / 멍덕딸기 / 멍석딸기 / 복딸나.. 2025. 4. 2.
당아욱(20170910) 당아욱(20170910) | 당아옥, 키아욱, 참아욱, 錦葵(금규)Dang-a-ukMalva sylvestris var. mauritiana (L.) Boiss. | 이명 Malva sylvestris L.   재배, 귀화식물 ○ 국명정보당아욱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당 + 아욱",   당아욱이라는 이름은 중국(당)에서 전래된 아욱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아시아가 원산으로 중국을 통해서 전래된 한해살이풀이다. 한자명 錦葵(금규)는 비단처럼 아름다운 아욱이란 뜻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아욱아과 (Malvoideae) 아욱속(Malva) 아욱 / 둥근잎아욱 / 애기아욱 / 난쟁이아욱 / 당아욱 ○ 분포|자.. 2025.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