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06

새포아풀(20240427) 새포아풀(20240427) | 개꾸렘이풀, 새꿰미풀Sae-po-a-pulPoa annua L. ○ 국명정보새포아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국명의 유래 "새 + 포아풀", 이라는 이름은 아주 작고 보잘 것 없는(새) 포아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포아풀은 속명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포아풀속(Poa) 가는포아풀 / 갑산포아풀 / 관모포아풀 / 금강포아풀 / 눈포아풀 / 두메포아풀 / 새포아풀 / 선포아풀 / 섬포아풀 / 시베리아포아풀 / 실포아풀 / 왕포아풀 / 울릉포아풀 / 이삭포아풀 / 자주포아풀 / 좀꾸러미풀 / 좀새포아풀 / 좀포아풀 / 청포아풀 / 코마로브포아풀 / 큰꾸러미풀 / 큰새포아풀 / 포아풀 / 히.. 2024. 4. 27.
반하(20240427) 반하(20240427)  | 半夏, 끼무릇, 괴무웃, 꿩의무릇Ban-haPinellia ternata (Thunb.) Breitenb. | 이명 Arum macrourum Bunge ○ 국명정보반하(끼무릇)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반하라는 이름은 한자명 半夏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름의 중간이라는 뜻이다. 여름의 중간 즈음에 캔 덩이줄기를 약재로 이용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등에서 나타나는 雉矣毛立(치의모립)은 이두식 차자로 'ㅅㄱㅣ의모ㄹ·ㅂ'을  표기한 것이며 'ㅅㄱㅣ'는 꿩의 옛말이므로 꿩의무릇에 해당하는 옛 표현이다. 무릇은 땅속에서 자라는 다육성 알줄기를 뜻하므로 'ㅅㄱㅣ의모ㄹ·ㅂ'은꿩이 있는 곳 또는 '꿩처럼 생긴 무릇'이라는 뜻이다.참고 : 조민.. 2024. 4. 27.
노린재나무(20240427) 노린재나무(20240427) | 영문명 Asian sweetleafNo-rin-jae-na-muSymplocos sawafutagi Nagamasu ○ 국명정보노린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국명은  '나무를 태운 재가 노란색을 띠는 나무'라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노린재나무는 천연염색에 쓰이는 대표적인 매염제 나무였다. 노린재나무를 태운 재를 우려내면 약간 누런빛을 띤 잿물을 얻을 수 있어서 한자로 황회목(黃灰木)이라고도 했다. 노란재나무>노린재나무로 변한 것이다. 열매가 검은 검노린재나무, 섬에서 주로 자란다 하여 섬노린재나무, 껍질이 검게 보이는 늘푸른 큰키나무인 검은재나무도 있다. ○ 분류노린재나무과(Symplocaceae) 노린재나무속.. 2024. 4. 27.
마가목(20240427) 마가목(20240427) | 은빛마가목, 남등(南藤), 석남-등(石南藤), 정공-등(丁公藤)Ma-ga-mokSorbus commixta Hedl. ○ 국명정보마가목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은빛마가목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1. "마가목" 이라는 이름은 다양한 한자 표현에 馬가 공통적으로 쓰인 것을 볼 때 말[馬]과 연관해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정확한 어원이나 의미는 확인되지 않는다. 한자 표기는 馬價木, 馬家木, 馬加木, 馬可木, 馬哥木 등인데 고유명을 한자로 차자해 표기한 것으로 추정한다. 한편 새싹이 돋을 때 말의 이빨처럼 힘차게 솟아난다는 뜻의 馬牙木에서 유래했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馬牙木이라는 한자 표현은 일제강점기에 저.. 2024. 4. 27.
이팝나무(20240427) 이팝나무(20240427) | 니암나무, 뻣나무, 니팝나무I-pap-na-nu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 국명 정보  -이팝나무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니팝나무 : 조선삼림수목감요-니암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뻣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이팝 + 나무", 이팝나무라는 이름은 흰 꽃이 피는 모습이 쌀밥(이팝)을 연상시키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자생지 중의 하나인 전라남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는 백반목(白飯木)이라는 이름을 기록해 그 뜻을 뒷받침하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이밥 ※'이바.. 2024. 4. 27.
무당벌레 종류(20240427) 무당벌레 종류(20240427)Mu-dang-beol-reCoccinellidae Latreille, 1807년 | ○ 분류체계동물계 > 절지동물문(Arthropoda)>곤충강(Insecta)>딱정벌레목(Coleoptera)>무당벌레과(Coccinellidae)무당벌레 류 ○ 분포전 세계 |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 ○ 개요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Coccinellidae)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 또는 무당벌레 단 한 종(Harmonia axyridis)만을 이르기도 한다. 무당벌레라는 이름은 무당처럼 화려한 색을 하고 있는 데서 유래했다. 익충인데다 둥글고 알록달록한 모습 때문인지 대체로 부드럽고 이미지가 좋은 곤충이다. 화석상의 기록으로는 발트해에서 시신세 초기에 형성된 호박에서 .. 2024. 4. 27.
개나리잎벌 애벌레(20240427) 개나리잎벌 애벌레(20240427)Gae-na-ri-ip-beol Ae-beol-reApareophora forsythiae Sato, 1928 | 이명 Apareophora forsythiae Sato, 1928※한국고유종 ○ 분류체계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Hymenoptera (벌목) > Symphyta (잎벌아목) > Tenthredinoidea (잎벌상과) > Tenthredinidae (잎벌과) > Blennocampinae (검정꼬마잎벌아과) > Apareophora (고려잎벌속) > forsythiae (개나리잎벌)개나리잎벌 Apareophora forsythiae Sato, 1928 .. 2024. 4. 27.
누구의 애벌레일까? (20240423) 누구의 애벌레일까? (20240423)  서오를 산책길 눈 앞에 뭐가 어른거린다.자세히 보니 긴 줄에 매달린 애벌레가 대롱대롱거린다.고개를 들어 위를 보니 귀룽나무가 보이다.거리에 매달닌 줄에서 내려와 허공에서 대롱거린다.조심스럽게 잡아서 귀룽나무 새싹 잎 위에 올려놓고 사진을 찍었다.아마도 귀룽나무 잎을 먹고 자란 애벌레가 다 자라서 번데기로 탈바꿈하기 위해 땅 위로 내려오는 것 같다.누의 애벌레일까 궁긍하다.  위와 비슷한 장소 산책로 옆 풀숲에 기어다는 애벌레를 담았다.색깔이 위와는 달라 보이니 종도 다를 것으로 보인다.주변의 색깔에 따라 몸색이 변하는 자벌레일까? 2024. 4. 27.
누구의 애벌레일까? (20240423) 누구의 애벌레일까? (20240423) 다래나무 종류 잎에 충영이 봉니다.그 속에 어떤 벌레가 들어 있을지 궁금하다.하나의 가지를 따서 조심조심 펼쳐 보았다.이러 애벌레가 나왔다. 다래나무과 식물을 먹는 곤충을 검색해 보았지만 이와 같은 애벌레를 찾을 수 없다.'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 일대기를 소개하는 곤충도감이 따로 나와 있지 않다고 한다.그만 아직도 곤충의 한살이는 미지의 세계가 많다는 것이다. 2024. 4. 27.
검털파리(20240425) 검털파리(20240425)Geom-teol-pa-riBibio tenebrosus Coquillett, 1898 ○ 분류체계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Diptera (파리목) > Nematocera (모기아목) > Bibionomorpha (털파리하목) > Bibionoidea (털파리상과) > Bibionidae (털파리과) > Bibioninae (털파리아과) > Bibio > tenebrosus (검털파리)검털파리 Bibio tenebrosus Coquillett, 1898 ○ 분포 한국, 일본 | 우리나라 4~11월 숲(잡목림) 가장자리에 서식한다. ○ 개요특징 몸길이는 11-14mm이.. 2024. 4. 26.
융단사초(202404723) 융단사초(202404723) |Yung-dan-sa-choCarex miyabei Franchet. ○ 국명정보융단사초 :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 국명의 유래 "융단 + 사초", 융단사초라는 이름은 산지의 물가나 강가의 모래땅에 마치 융단을 깔아놓은 듯 무리를 이루어 자라는 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가는사초 / 가는잎보리사초 / 가지청사초 / 갈미사초 / 감둥사초 / 개바늘사초 / 개찌버리사초 / 갯보리사초 / 갯사초 / 검정타래사초 / 겨사초 / 겹개구리사초 / 골사초 / 곱슬사초 / 괭이사초 / 구름사초 / 구슬사초 / 그늘사초 / 그늘흰사초  그물사초 / 긴목포사초 / 길뚝사초 / 까락사초 / 꼬랑사초 / 나.. 2024. 4. 25.
점나도나물(20240423) 점나도나물(20240423) | 물네나물, 섬점나도나물, 섬좀나도나물Jeom-na-do-na-mulCerastium fontanum subsp. vulgare (Hartman) Greuter & Burdet ※원본 점나도나물 (tistory.com) ○ 국명정보점나도나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점 + 나도 + 나물"  점나도나물이라는 이름은 작고 볼품이 없지만 나물로 이용할 수 있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나도나물은 털이 많지만 나물이 될 수 있다는 뜻이고, 점은 옛말에서 적다는 뜻의 좀, 또는 조금의 의미로 사용했다. 털을 잔뜩 달고 로제트로 겨울을 난 어린 잎이 그다지 맛이 있지는 않았던 듯하므로 그러한 식용 문화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이해.. 2024. 4. 25.
꼭두서니(20240423) 꼭두서니(20240423) | 꼭두선이, 꼭도선이, 가삼자리, 가삼사리Kkok-du-seo-niRubia akane Nakai※ 원본 꼭두서니 (tistory.com)  ○ 국명정보꼭두선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꼭두서니 : 이춘녕, 안학수 (1963)○ 국명의 유래"꼭두 + 서니", 꼭두서니라는 이름은 덩굴로 꼬불거리며 자라고 뿌리를 약재와 염료로 이롭게 사용한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예로부터 뿌리를 염료와 약재로 사용했다. 문헌상 최초로 발견되는 한글명은 곱도숑이다. 곱도는 꼬불꼬불휘돌다는 뜻이다. 한편 뿌리로 꼭두색(빨간색) 물을 들이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2024. 4. 25.
리기다소나무(20240423) 리기다소나무(20240423)Ri-gi-da-so-na-muPinus rigida Mill. ○ 국명정보리기다소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국명의 유래 "리기다 + 소나무", 일제 강점기 20세기 초 산림녹화를 위해 들여올 때 학명의 종소명  리기다(rigida)를 떼어 앞에 붙여 명명하였다.  참고 : 박상진 (2019) ○ 분류구과식물문(Pinophyta)>구과식물강(Pinopsida)>구과목(Pinales)>소나무과(Pinaceae)>소나무아과(Pinoideae)>소나무속(Pinus)방크스소나무 / 백송 / 금강소나무 / 반송 / 처진소나무 / 곰솔 / 눈잣나무 / 리기다소나무 / 섬잣나무 / 소나무 / 스트로브잣나무 / 잣나무 /  구주소나무 / 만주곰솔 / 테에.. 2024. 4. 25.
팥배나무(20240423) 팥배나무(20240423) | 왕팥배나무, 산매자나무, 물앵도나무, 운향나무, 물방치나무, 팟배나무, 둥근팟배나무, 팟배,왕잎팟배, 긴팟배, 참팥배나무, 둥근잎팥배나무, 달피팥배나무, 벌배나무Pat-bae-na-muAria alnifolia (Siebold & Zucc.) Decne. | 이명 Sorbus alnofolia (Siebold &Zucc.) K. Koch ○ 국명정보팥배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국명의 유래 1. "팥배 + 나무", 팥배나무라는 이름은 열매가 작고 흰 점이 산재해 팥 모양이고 흰색의 꽃이 피는 모습이 배나무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열매는 팥을, 꽃은 배나무를 닮은 .. 2024.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