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장성사초 장성사초 | 가는잎보리사초, 낙시사초 Jang-seong-sa-cho Carex kujuzana Ohwi, 1932. | ○ 국명정보 장성사초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장성 + 사초", 장성사초라는 이름은 전남 장성에 나는 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yperales 사초목 > Cyperaceae 사초과 > Carex 사초속 > Paniceae절 쇠낚시사초, 넓은잎보리사초. 보리사초, 낚시사초, 장성사초, 실이삭사초, 털사초 ○ 분포 | 자생지 한국, 일본 | 남부지방의 낮은 산지 숲속에서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기는줄기가 있다. 줄기는 성기게 모여나며, 높이 30~60cm이고 윗부분은 거칠.. 2021. 4. 24.
삿갓사초(3) 삿갓사초(3) | 삭갓사초, 등줄삿갓사초 Sat-gat-sa-cho Carex dispalta Boott ○ 국명정보 삿갓사초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삿갓 + 사초", 삿갓사초라는 이름은 키가 크고 잎이 넓은 사초로 삿갓을 만들 때 사용한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Tumidae절 개찌버리사초 / 잡골사초 / 삿갓사초 / 참삿갓사초 / 흰사초 / 그늘흰사초 / 애기흰사초 / 골사초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사할린, 우수리), 일본, 한국 | 전국 평지의 습지나 얕은 물속에 난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딱딱하고 길게 옆.. 2021. 4. 23.
밀사초(5) 밀사초(5) | 갯사초, 수염사초 Mil-sa-cho Carex livida (Wahlenb.) Willd. ○ 국명정보 밀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밀 + 사초", 밀사초라는 이름은 열매가 벼과 식물인 밀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Rhomboidales절 밀사초 / 왕밀사초 / 갯보리사초 / 피사초 / 실피사초 / 넓은잎피사초 ○ 분포|자생지 일본, 러시아, 한국 | 경기, 경남북 등의 해안의 모래밭이나 바위틈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땅속줄기가 짧게 옆으로 벋으면서 줄기가 난다. 높이는 10-20cm이다. 잎 잎은 줄기보다 짧거나 비슷하고, 너비 2-3mm이다. 아래쪽의 잎은 잎몸이 짧고 위.. 2021. 2. 27.
세모고랭이(3) 세모고랭이(3) | 세모골 Se-mo-go-raeng-i Schoenoplectus triqueter (L.) Palla | Scirpus triqueter L. ○ 국명정보 세모고랭이 : 정태현 외2 (1949) 세모골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세모 + 고랭이" 세모고랭이라는 이름은 줄기가 세모진 고랭이(골풀)라는 뜻으로 학명의 종소명 'triqueter'(줄기가 세모진 모양)과 관련하여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큰고랭이속(Schoenoplectus) 물고랭이 / 큰고랭이 / 세모고랭이 ○ 분포|자생지 아시아, 유럽 | 전국 하천, 강, 저수지의 얕은 물에 자란다. ○ 형태.. 2020.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