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밀사초(6) 밀사초(6) | 갯사초, 수염사초 Mil-sa-cho Carex livida (Wahlenb.) Willd. ○ 국명정보 밀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밀 + 사초", 밀사초라는 이름은 열매가 벼과 식물인 밀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Rhomboidales절 밀사초 / 왕밀사초 / 갯보리사초 / 피사초 / 실피사초 / 넓은잎피사초 ○ 분포|자생지 일본, 러시아, 한국 | 경기, 경남북 등의 해안의 모래밭이나 바위틈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땅속줄기가 짧게 옆으로 벋으면서 줄기가 난다. 높이는 10-20cm이다. 잎 잎은 줄기보다 짧거나 비슷하고, 너비 2-3mm이다. 아래쪽의 잎은 잎몸이 짧고 위.. 2021. 5. 22.
좀네모골(4) 좀네모골(4) | 네모골 Jom-ne-mo-gol Eleocharis wichurae Boeck. ○ 국명정보 좀네모골 :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좀 + 네모골" 좀네모골이란 이름은 네모골과 닮았지만 식물체자 보다 작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네모골이라는 이름은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신칭한 것이다. 줄기가 네모지다는 뜻의 종소명 'tetraquetra'에서 유래했다. 즉 줄기가 네모지고 골풀을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체계 피자식물문 > 백합강 > 사초목 > 사초과 > 바늘골속 까락골 / 남방개 / 네모골 / 돌기네모골 / 둥근바늘골 / 올방개 / 올방개아재비 / 좀네모골 / 물꼬챙이골 /.. 2021. 5. 21.
화살사초(2) 화살사초(2) | 연약사초 Hwa-sal-sa-cho Carex transversa Boott ○ 국명정보 화살사초 :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화살 + 사초", 화살사초라는 이름은 수과의 과포 길이가 길고 급히 좁아져 긴 부리처럼 되는 것을 화살에 비유한 것에서 유래한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Ischnostachyae절 염주사초 /애기염주사초 / 흰꼬리사초 / 화살사초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제주, 전남(광주) 등의 약간 그늘진 풀밭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근경 빽빽이 모여난다. 줄기 세모지며 높이 20~70㎝이다. 잎 편평하고 너비 2.5~5.5㎜이며 짙은 녹색이고 기부의 엽초 또는 인편엽은 .. 2021. 5. 21.
무늬사초(1) 무늬사초(1) | 문이사초, 얼룩사초 Mu-ni-sa-cho Carex maculata Boott ○ 국명정보 무늬사초 : 이창복 (1980) 문이사초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무늬 + 사초", 무늬사초이라는 이름은 잎이 분백색을 띠는 것이 무늬가 있는 것처럼 보인 데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Gracillimae절 무늬사초, 묏풀사초, 나도그늘사초, 그늘사초, 길뚝사초, 참삿갓사초, 무산사초, 일본사초, 흰이삭사초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인도, 한국 | 제주, 전남(목포) 등의 산기슭 습지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며 곧추서고 예리한 3릉형으로 밋밋하며 높이 20~60㎝이다. 잎 편평하고 너비 3~5㎜.. 2021.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