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왕비늘사초(3) 왕비늘사초(3) | 풍경사초 Wang-bi-neul-sa-cho Carex maximowiczii Miq. ○ 국명정보 왕비늘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왕 + 비늘사초", 이라는 이름은 비늘사초에 비해 식물체가 대형(왕)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 Acutae절 중삿갓사초, 산이삭사초, 뚝사초, 참뚝사초, 산꼬리사초, 바랭이사초, 갈미사초, 이삭사초, 구슬사초, 회색사초, 큰뚝사초, 산비늘사초, 산뚝사초, 포기사초, 비늘사초, 왕비늘사초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전국의 습지 또는 논둑에서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짧은 뿌리줄기에서 모여나서 높이 40∼70cm로 자라고 밑부분에만.. 2021. 6. 6.
애괭이사초(1) 애괭이사초(1) | 애광이사초, 좀괭이사초 Ae-gwaeng-i-sa-cho Carex laevissima Nakai ○ 국명정보 애괭이사초 :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애 + 괭이사초", 애괭이사초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작은(애) 괭이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괭이사초의 괭이는 일반적으로 고양이를 일컫는다. 줄기 끝에 소수와 긴 포가 달리는 모습이 고양이 수염을 닮은 사초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괭이사초절(Vignea) 진퍼리사초, 대암사초, 애괭이사초, 산괭이사초, 괭이사초, 대구사초, 양덕사초, 도랭이사초, 가는사초, 경성사초, 덩굴사초, 바위사초.. 2021. 6. 3.
괭이사초(2) 괭이사초(2) | 수염사초, 참보리사초, 고라지/상고지(제주) Waeng-i-sa-cho Carex neurocarpa Maxim. ○ 국명정보 괭이사초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괭이 + 사초", 괭이사초라는 이름은 줄기 끝에 작은이삭과 긴 포가 달리는 모습이 고양이(괭이)를 닮은 사초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전통 명칭 사초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괭이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괭이사초절(Vignea) 진퍼리사초, 대암사초, 애괭이사초, 산괭이사초, 괭이사초, 대구사초, 양덕사초, 도랭이사초, 가는사초, 경성사초, 덩굴.. 2021. 6. 1.
좀매자기(6) 좀매자기(6) | 작은매자기, 졸매자기, 새섬매자기(대한식물도감) Jom-mae-ja-gi Scirpus planiculmis F. Schmidt | Bolboschoenus planiculmis (F. Schmidt) T. V. Egorova / Scirpus biconcavus Ohwi ○ 국명정보 좀매자기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좀 + 매자기", 좀매자기란 이름은 매자기를 닮았으나 식물체가 더 작다(좀)는 뜻에서 유래했다. 매자기라는 이름은 이 풀로 삿갓이나 비옷을 만든다(맺는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매자기의 어원은 으로 올라가는데 'ㅁ·ㅣㅈ·ㅂ갇'이다. 'ㅁ·ㅣㅈ·ㅂ'은 맺음 또는 매듭의 뜻으로 맺는 행위나 그로써 생산된 것을 뜻하고, '갇'은 삿갓을 뜻한다. .. 2021.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