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무늬사초(2) 무늬사초(2) |문이사초, 얼룩사초 Mu-nui-sa-cho Carex maculata Boott ○ 국명정보 무늬사초 : 이창복 (1980) 문이사초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무늬 + 사초", 무늬사초이라는 이름은 잎이 분백색을 띠는 것이 무늬가 있는 것처럼 보인 데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Gracillimae절 무늬사초, 묏풀사초, 나도그늘사초, 그늘사초, 길뚝사초, 참삿갓사초, 무산사초, 일본사초, 흰이삭사초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인도, 한국 | 제주, 전남(목포) 등의 산기슭 습지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며 곧추서고 예리한 3릉형으로 밋밋하며 높이 20~60㎝이다. 잎 편평하고 너비 3~5㎜.. 2021. 6. 25.
진퍼리사초(1) 진퍼리사초(1) | 개구리사초 Jin-peo-ri-sa-cho Carex arenicola F. Schmidt | Carex chaetorhiza Franch. & Sav. ○ 국명정보 진퍼리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진퍼리 + 사초", 진퍼리사초라는 이름은 물기가 많은 질척질척한 늪지(진펄)에서 자라는 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괭이사초절(Vignea) 진퍼리사초, 대암사초, 애괭이사초, 산괭이사초, 괭이사초, 대구사초, 양덕사초, 도랭이사초, 가는사초, 경성사초, 덩굴사초, 바위사초, 함북사초, 산타래사초, 산사초, 북사초, 큰산사초, 나도별사초, 충실사초, 타래사초, 벌사초, 수원사초, 통보리사초 ○ .. 2021. 6. 25.
큰매자기(1) 큰매자기(1) | 매자기, 매재기 Keun-mae-ja-gi Scirpus fluviatilis (Torr.) A. Gray | Scirpus yagara Ohwi ○ 국명정보 큰매자기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큰 + 매자기" 큰매자기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전반적으로 더 큰 매자기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매자기라는 이름은 이 풀로 삿갓이나 비옷을 만든다(맺는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매자기의 어원은 으로 올라가는데 'ㅁ·ㅣㅈ·ㅂ갇'이다. 'ㅁ·ㅣㅈ·ㅂ'은 맺음 또는 매듭의 뜻으로 맺는 행위나 그로써 생산된 것을 뜻하고, '갇'은 삿갓을 뜻한다. 'ㅁ·ㅣㅈ·ㅂ갇'은 삿갓이나 비옷을 만든다는 뜻에서 유래했고, 'ㅁ·ㅣㅈ·ㅂ갇'이 변해 매자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 2021. 6. 25.
골사초(2) 골사초(2) | 조리사초 Gol-sa-cho Carex aphanolepis Fr. et Sav. ○ 국명정보 골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골 + 사초", 골사초라는 이름은 저지대 습지(골)에 나는 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Tumidae절 개찌버리사초 / 잡골사초 / 삿갓사초 / 참삿갓사초 / 흰사초 / 그늘흰사초 / 애기흰사초 / 골사초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경상남도·충청북도·강원도·경기도·함경남도 산과 들의 그늘진 풀밭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옆으로 벋는다. 줄기 높이 30∼40cm, 가늘고 길며 납작한 세모꼴로, 뭉쳐나며 곧게 선다. 잎 어긋나고 줄 모양이며 점점 가늘어지는.. 2021.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