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북사초(2) 북사초(2) | 지리사초, 북바위사초 Buk-sa-cho Carex augustinowiczii Menish. ex Korsh. ○ 국명정보 북사초 : 박만규, 우리나라식물명감(1949) ○ 국명 유래 "북 + 사초", 북사초라는 이름은 북부지방에서 나는 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괭이사초절(Vignea) 진퍼리사초, 대암사초, 애괭이사초, 산괭이사초, 괭이사초, 대구사초, 양덕사초, 도랭이사초, 가는사초, 경성사초, 덩굴사초, 바위사초, 함북사초, 산타래사초, 산사초, 북사초, 큰산사초, 나도별사초, 충실사초, 타래사초, 벌사초, 수원사초, 통보리사초 ○ 분포|자생지 러시아(사할린, 캄차카, 우수리), 일본, 한국 | 경남(지리산), 강원(금.. 2020. 5. 9.
가지청사초(1) 가지청사초(1) | 뭇꼬리사초, 양지흰꼬리사초 Ga-ji-cheong-sa-cho Carex polyschoena H.Lev. & Vaniot ※ 중국식물지 정명 Carex pisiformis Boott in A. Gray 豌豆形薹草 [wan dou xing tai cao] ※ 원기재명 Carex pisiformis f. polyschoena Kük., 1909. ○ 국명정보 가지청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가지 + 청사초", 가지청사초라는 이름은 소수에 가지를 치는 청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청사초절(Mitratae) 설령사초, 양지사초, 갈색사초, 실청사초, 지리실청사초, 부리실청사초, 청사초, 갯청.. 2020. 5. 3.
산뚝사초(4) 산뚝사초(4) | 갯뚝사초, 산꼬랑사초, 산둑사초 San-ttuk-sa-cho Carex forficula Franch. & Sav. ○ 국명정보 산뚝사초 :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산 + 뚝사초", 산뚝사초라는 이름은 주로 산에서 자라는 뚝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 Acutae절 중삿갓사초, 산이삭사초, 뚝사초, 참뚝사초, 산꼬리사초, 바랭이사초, 갈미사초, 이삭사초, 구슬사초, 회색사초, 큰뚝사초, 산비늘사초, 산뚝사초, 포기사초, 비늘사초, 왕비늘사초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우수리), 일본, 한국 | 전국 산지의 냇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30-50cm이며 모여나기하고 곧추선다. 잎 나비.. 2020. 4. 29.
넓은잎그늘사초(?) 넓은잎그늘사초(?) Neolbeun-ip-geu-neul-sa-cho Carex pediformis C. A. Meyer ○ 국명정보 넓은잎그늘사초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넓은잎 + 그늘사초", 넓은잎그늘사초라는 이름은 잎이 보다 넓은 그늘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 Digitatae절 난사초, 청피사초, 녹빛사초, 한라사초, 가는잎그늘사초, 그늘사초, 넓은잎그늘사초, 왕그늘사초, 애기감둥사초, 진들사초, 꼬랑사초, 산양지사초, 언덕사초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캄차카, 동시베리아), 한국 | 경남(지리산), 경기, 강원(금강산), 함남북 등의 숲 속 풀밭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빽빽이 모여 나거.. 2020.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