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좀네모골(3) 좀네모골(3) | 네모골 Jom-ne-mo-gol Eleocharis wichurae Boeck. ○ 국명정보 좀네모골 :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좀 + 네모골" 좀네모골이란 이름은 네모골과 닮았지만 식물체자 보다 작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네모골이라는 이름은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신칭한 것이다. 줄기가 네모지다는 뜻의 종소명 'tetraquetra'에서 유래했다. 즉 줄기가 네모지고 골풀을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체계 피자식물문 > 백합강 > 사초목 > 사초과 > 바늘골속 까락골 / 남방개 / 네모골 / 돌기네모골 / 둥근바늘골 / 올방개 / 올방개아재비 / 좀네모골 / 물꼬챙이골 /.. 2020. 1. 5.
이삭사초(3) 이삭사초(3) | 방울사초 I-sak-sa-cho Carex dimorpholepis Steud. ○ 국명정보 이삭사초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이삭 + 사초", 이삭사초라는 이름은 가늘고 긴 자루를 가진 자성소구가 아래로 늘어지는 모습이 이삭을 닮아 붙여졌다. 사초를 기본으로 하고 이삭을 추가해서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 Acutae절 중삿갓사초, 산이삭사초, 뚝사초, 참뚝사초, 산꼬리사초, 바랭이사초, 갈미사초, 이삭사초, 구슬사초, 회색사초, 큰뚝사초, 산비늘사초, 산뚝사초, 포기사초, 비늘사초, 왕비늘사초 ○ 분포|자생지 중국, 타이완, 러시아.. 2019. 12. 29.
좀올챙이골(3) 좀올챙이골(3) | Jom-ol-chaeng-i-gol Schoenoplectiella hotarui (Ohwi) J.Jung & H.K.Choi | Schoenoplectus hotarui (Ohwi) Holub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올챙이골속(Schoenoplectiella) 좀송이고랭이 / 송이고랭이 / 올채이골 / 좀올챙이골 / 수원고랭이 / 광릉골 / 제주올챙이골 ○ 분포|자생지 한국 등 | 전국의 저수지, 논, 강변 등 얕은 물이나 수변에서 자라며, 주로 토질이 진흙인 곳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근경은 짧고, 줄기는 모여나고, 20~60cm, 굵기가 1mm 이하로 가늘며, 진한 녹색이고, 평활하고 능은 불분명하다. 아래쪽으로 3개 정도의 엽신 없는 엽초가 달린다.. 2019. 10. 4.
좀네모골(2) 좀네모골(2) | 네모골 Jom-ne-mo-gol Eleocharis wichurae Boeck. ○ 국명정보 좀네모골 :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좀 + 네모골" 좀네모골이란 이름은 네모골과 닮았지만 식물체자 보다 작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네모골이라는 이름은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신칭한 것이다. 줄기가 네모지다는 뜻의 종소명 'tetraquetra'에서 유래했다. 즉 줄기가 네모지고 골풀을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체계 피자식물문 > 백합강 > 사초목 > 사초과 > 바늘골속 까락골 / 남방개 / 네모골 / 돌기네모골 / 둥근바늘골 / 올방개 / 올방개아재비 / 좀네모골 / 물꼬챙이골 /.. 2019.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