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37

배추 배추 | 백채(白菜), 배채, 백차, 배차 Bae-chu Brassica rapa L. var. glabra Regel 재배식물 ○ 국명정보 배추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배추라는 이름은 흰색이 나는 채소라는 뜻의 백채(白菜)에서 유래했다. 백채가 발음 과정에서 백채>ㅂ·ㅣㅊ·ㅣ>ㅂ·ㅣㅊ·>배추로 변화해 형성된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십자화과(Brassicaceae) 배추속(Brassica) 순무 / 유채 / 갓 / 꽃양배추 / 녹색꽃양배추 / 배추 / 순무양배추 / 양배추 ○ 분포|자생지 중국 원산 | 전국의 밭에 심어 기른다. ○ 형태 생육형 두해살이풀 줄기 어릴 때는 털이 많으나 성숙하면 털이 거의.. 2013. 4. 23.
갓 | 계자, 상강, 겨자 Gat Brassica juncea (L.) Czern. ○ 국명정보 갓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갓이라는 이름의 옛말은 갓인데 이는 변두리를 뜻하는 ㄱ·△ 또는 ㄱ·ㅅ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변두리에서 자라는 풀이라는 뜻으로 추정한다. 갓은 중앙아시아 원산으로 삼국 시대 무렵에 중국을 통해서 전래되어 재배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재배를 통해 주변으로 쉽게 퍼져 경작지 부근에서 잘 자라는데 이러한 생태와 관련이 있는 이름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십자화과(Brassicaceae) 배추속(Brassica) 순무 / 유채 / 갓 / 꽃양배추 / 녹색꽃양배추 / 배추 / 순무양배추 /.. 2013. 4. 23.
키버들(암꽃차례)(2) 키버들(암꽃차례)(2) | 고리버들, 쪽버들, 산버들 Ki-beo-deul Salix koriyanagi Kitamura ex GÖrz ※한반도고유종 ○ 국명정보 키버들(고리버들)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키 + 버들" 키버들이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껍질을 벗긴 가지로 키와 같은 생필품을 만들어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에 기록된 箕柳도 키버들이란 뜻이며, 고리버들도 고리짝이나 깉나 고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버드나무과(Salicaceae) 버드나무속(Salix) 강계버들 / 개수양버들 / 갯버들 / 능수버들 / 버드나무 / 분버들 / 섬버들 / 수양버들 / 쌍실버들 .. 2013. 4. 23.
여우버들(수그루) 여우버들(수그루) | 여호버들, 마른잎버들 Yeo-u-beo-deul Salix bebbiana Sarg. ○ 국명정보 여호버들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여우버들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여우 + 버들" 여우버들( 2013. 4. 23.
왜미나리아재비 왜미나리아재비 We-m-na-ri-a-jae-bi Ranunculus franchetii H. Boissieu ○ 국명 정보 왜미나리아재비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왜 + 미나리아재비", 왜미나리아재비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작은(왜) 미나리아재비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개구리미나리 / 개구리자리 / 미나리아재비 / 바위미나리아재비 / 산미나리아재비 / 왜미나리아재비 / 젓가락나물 / 매화마름 / 민개구리미나리 ○ 분포|자생지 러시아(사할린, 아무르), 일본, 중국(동북부), 한국 | 강원도 이북, 충청남도(계룡산) 등 높은 산의 습기가 많은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털이 .. 2013. 4. 23.
수리딸기 수리딸기 | 수리ㅅ달, 청수리딸, 민수리딸 Su-ri-ttal-gi Rubus corchorifolius L. f. ○ 국명정보 수리딸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수리 + 딸기", 수리딸기라는 이름은 산딸기속 식물 중에서 다소 키가 크게 자라고 큰 꽃이 피는 모습 등이 맹금류 수리를 연상시키는 딸기라는 뜻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산딸기속(Rubus) 가시딸기 / 가시복분자딸기 / 겨울딸기 / 복분자딸기 / 붉은가시딸기 / 산딸기 / 섬나무딸기 / 수리딸기 / 오엽딸기 / 장딸기 / 줄딸기 / 함경딸기 / 거제딸기 / 맥도딸기 / 멍덕딸기 / 멍석딸기 / 사슨.. 2013. 4. 22.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 섬쥐똥나무, 갯쥐똥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U-muk-sa-seu-re-pi Eurya emarginata (Thunb.) Makino ○ 국명정보 우묵사스레피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섬쥐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우묵 + 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라는 이름은 잎의 끝이 우묵하게 들어가는 사스레피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사스레피나무를 닮았지만 잎끝이 둥글거나 오목하고 잎가장자리가 뒤쪽으로 말리는 모양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 : 박상진 (2019), 이우철 : (2005) ○ 분류 차나무과(Theaceae) 사스레피나무속(Eurya) 사스레피나무 / 우묵사스레피나무 / 떡사스레피 / 섬사스레피 ○ 분포|자생지 중국(남부), 일본(.. 2013. 4. 20.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 무치러기나무, 세푸랑나무, 가새목섬사스레, 미나무 Sa-seu-re-pi-na-mu Eurya japonica Thunb. ○ 국명정보 사스레피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사스레 + 피나무", 어린 사스레피나무의 껍질을 벗겨 씹어 보면 약간 떫고 쓴 쌉싸래한 맛이 난다. '쌉싸래하다'란 말이 '사스레'가 되고 껍질을 뜻하는 피(皮)가 붙어 사스레피나무가 된 것으로 본다. 참고 : 박상진 (2019) 2. 사스레피나무라는 이름은 나뭇가지가 지저분해 보인다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목재는 세공재를 만들고 태운 재는 매염제로 사용했다. 꽃이나 열매가 달린 흔적이 지저분하게 남아 있고 키가 작아 주위의 다른 큰 나무의 잎 등이 가지에 걸려 있어.. 2013. 4. 20.
자주광대나물 자주광대나물 | 광대꽃, 보라빛꽃수염풀(북한명) Ja-ju-gwang-dae-na-mul Lamium purpureum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자주광대나물 : 박수현 (2001) ○ 국명의 유래 "자주 + 광대나물", 자주광대나물이라는 이름은 광대나물을 닮았으나 잎의 색깔이 자주색을 띠는 데서 유래했다. 광대나물이란 이름은 꽃 모양이 울긋불긋한 것이 광대의 모습을 연상시킨다고 하여 붙여졌다. ○ 분류 꿀풀과(Lamiaceae) 광대나물아과(Lamioideae) 광대나물속(Lamium) 광대나물 / 섬광대수염 / 호광대수염 / 광대수염/ 자주광대나물(귀화종) ○ 분포|자생지 유라시아 원산 | 한국의 남부지방과 제주도뿐 아니라, 서울 탄천에서도 자생한다. ○ 형태 두해살이풀 줄기 곧게 서나 아래쪽은 땅.. 2013. 4. 20.
광대나물 광대나물 | 긴잎광대수염, 작은잎꽃수염풀, 흰광대나물 Gwang-dae-na-mul Lamium amplexicaule L. ○ 국명정보 광대나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광대 + 나물", 광대나물이라는 이름은 꽃이 피는 모양이 울긋불긋한 것이 광대를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옛부터 어린잎을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꿀풀과(Lamiaceae) 광대나물아과(Lamioideae) 광대나물속(Lamium) 광대나물 / 섬광대수염 / 호광대수염 / 광대수염/ 자주광대나물(귀화종)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한국 | 전국의 양지바른 밭이나 길가에 자란다.. 2013. 4. 20.
서울제비꽃 서울제비꽃 | 긴털제비꽃 Seo-ul-je-bi-kkot Viola seoulensis Nakai ○ 국명 정보 서울오랑캐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서울제비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서울 + 제비꽃", 서울제비꽃이라는 이름은 최초 발견지가 서울이어서 붙여진 학명에서 유래했다. 학명이 부여될 당시 식물의 표본이 주로 서울에서 채집되었는데 이에 근거하여 학명이 부여되었다.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각씨제비꽃 / 갑산제비꽃 / 경성제비꽃 / 고깔제비꽃 / 구름제비꽃 / 금강제비꽃 / 긴잎제비꽃 / .. 2013. 4. 19.
자두나무 자두나무 | 자도나무. 오얏나무, 북한명:추리나무 Ja-du-na-mu Prunus salicina Lindl. 재배식물 ○ 국명정보 자두나무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1. "자두 + 나무", 자두나무라는 이름은 한자어 자도(紫挑)에서 비롯했는데 복숭아나무와 비슷하면서도 열매가 자주색을 띠는 것에서 유래했다. 한자어 ㅈ·도>자도>자두로 변화했다. 옛 문헌에는 고유어로 오얏(외얏)이 널리 기록되었고 한자어 자도는 드물게 보이지만 19세기에 이으러 한자어 표현 빈도가 높아지고 한글로 된 표현도 등장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열매가 보랏빛이 강하고 복숭아를 닮았다는 뜻으로 자도나무라 하다가 자두나무가 되었다. 삼국시대 초에 중국에서.. 2013. 4. 18.
호제비꽃 호제비꽃 | 들오랑캐, 들제비꽃 Ho-je-bi-kkot Viola yedoensis Makino ○ 국명정보 호제비꽃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호 + 제비꽃", 호제비꽃이라는 이름은 북쪽 지방(胡)에 주로 자라는 제비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각씨제비꽃 / 갑산제비꽃 / 경성제비꽃 / 고깔제비꽃 / 구름제비꽃 / 금강제비꽃 / 긴잎제비꽃 / 넓은잎제비꽃 / 노랑제비꽃 / 누운제비꽃 / 둥근털제비꽃 / 뫼제비꽃 / 미국제비꽃(종지나물) / 삼색제비꽃 / 서울제비꽃 / 선제비꽃 / 섬제비꽃 / 아욱제비꽃 / 애기금강제비꽃 / 여뀌잎제비꽃 / 엷은잎제비꽃 / 왕제비꽃 / 왜제비꽃 / 왜졸방제비꽃 / 우산제비꽃 / 자주잎.. 2013. 4. 18.
처진올벚나무 처진올벚나무 | 능수벚나무, 수양벚나무 Cheo-jin-ol-beot-na-mu Prunus spachiana (Lavallee ex H. Otto) Kitam. f. spachiana 원예품종 ○ 국명정보 처진올벚나무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처진 + 올벚나무", 처진올벚나무라는 이름은 가지가 수양버들처럼 아래로 처지고 이른 봄에 꽃이 피는 벚나무 종류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개벚지나무 / 귀룽나무 / 매실나무 / 벚나무 / 복사앵도나무 / 복숭아나무 / 산개벚지나무 / 산벚나무 / 산복사 / 산이스라지 / 석도벚나무 / 섬벚나무 / 시베리아살구나무 / 앵도나무 / 왕벚나무 / 자도나무 / 가는잎벚나무 / 개살구나무 / 살구나무.. 2013. 4. 18.
왕벚나무(수형과 수피) 왕벚나무(수형과 수피) | 왕벗나무, 사꾸라, 사구라나무, 민벗나무, 제주벗나무, 큰꽃벗나무 Wang-beot-na-mu Prunus yedoensis Matsum. ○ 국명정보 왕벗나무 : 한국식물명감 (정태현, 1942) 사꾸라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왕 + 벚나무" 왕벚나무라는 이름은 꽃이 크고 많이 피며 아름다운(왕) 벚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은 일본에서 전래된 벚나무라는 뜻으로 일본명 소메이요시노자쿠라에서 유래한 사꾸라로 기록했으나 에서 왕벚나무로 개칭한후 최근까지 이 이름으로 불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개벚지나무 / 귀룽나무 /.. 2013.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