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39

개감수 개감수 | 감수(甘遂), 능수버들/산감수, 참대극, 산참대극, 산개감수, 좀개감수 Gae-gam-su Euphorbia sieboldiana C. Morren & Decne. ○ 국명정보 개감수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감수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감수", 개감수라는 이름은 한자명 감수(甘遂)와 생김새가 닮았으나 약재로 사용하지 못해 쓸모가 덜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전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땅속줄기가 덩이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약재로 사용하기 어렵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대극과(Ranunculaceae) 대극속(Euphorbia) 개감수 / 대극 / 두메대극 / 등대풀 / 땅.. 2013. 4. 4.
복수초 복수초 | 福壽草, 눈색이꽃, 복풀, 아도니스초/얼음꽃/얼음새꽃, 애기복수초, 땅복수초, 측금잔화, 얼음새기꽃 Bok-su-cho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 국명정보 복수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복수초" 라는 이름은 한자어 福壽草에서 유래한 것으로 복과 장수를 축원한다는 뜻이다. 한중일 모두 복수초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방언 및 문헌 기록에 의하면 '얼을새출, 얼음꽃, 얼음새기꽃' 등은 복수초를 일컫는 우리말로 최근 생겨난 것이 아니라 실제 민간에서 불려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복수초속(Adonis) 가지복수초 /.. 2013. 4. 4.
둥근털제비꽃 둥근털제비꽃 | 둥근털오랑캐, 둥글제비꽃, 동근털제비꽃 Dung-geun-teol-je-bi-kkot Viola collina Besser ○ 국명 정보 둥근털오랑캐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둥근털제비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둥근 + 털 + 제비꽃", 둥근털제비꽃이라는 이름은 잎이 둥글고 잎과 꽃자루 등에 털이 있는 제비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잎뿐만 아니라 열매도 둥글고 털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각씨제비꽃 / 갑산제비꽃 / 경성제비꽃 / 고깔제비꽃 / 구름제비꽃 / 금강제비꽃 / 긴잎제비꽃 / 넓은잎제비꽃 / 노랑제비꽃 / 누운제.. 2013. 4. 3.
앉은부채 앉은부채 | 배추나물, 안진부채, 삿부채, 산부채풀, 우엉취, 일본명; 후리가나(ざぜんそう, 座禪草), 중국명; 취숭(臭菘), 영명; skunk cabbage Anjeun-bu-chae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 |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Tzvelev ○ 국명정보 앉은부채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앉은 + 부채", 앉은부채라는 이름은 육수꽃차례의 모양이 부처가 앉아 있는 모습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천남성과(Araceae) 앉은부채속(Symplocarpus) 앉은부채 / 애기앉은부채 / 노랑앉은부채 ○.. 2013. 4. 3.
큰괭이밥 큰괭이밥 | 큰괭이밥풀, 酢奬草(초장초) Keun-gwaeng-i-bap Oxalis obtriangulata Maxim. ※종소명인 obtriangulata는 역삼각형이란 뜻으로 작은 잎의 모양을 보고 지었다. ○ 국명정보 큰괭이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큰 + 괭이밥", 큰괭이밥이라는 이름은 괭이밥에 비해 식물체가 크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괭이밥과(Oxalidaceae) 괭이밥속(Oxalis) 애기괭이밥 / 자주애기괭이밥 / 붉은자주애기괭이밥 / 덩이괭이밥 / 꽃괭이밥 / 괭이밥 / 자주괭이밥 / 큰괭이밥 / 선괭이밥 / 우산잎괭이밥 / 붉은괭이밥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 일본,.. 2013. 4. 3.
점현호색 점현호색 | Spotted corydalis Jeom-hyeon-ho-saek Corydalis maculata B. U. Oh & Y. S. Kim※한반도고유종 ○ 국명 정보 점현호색 : 오병운 (1986) ○ 국명의 유래 "점 + 현호색", 점현호색이라는 이름은 잎 표면에 흰색 반점이 있는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현호과(Fumariaceae) 현호색속(Corydalis) 갈퀴현호색 / 갯괴불주머니 / 괴불주머니 / 난장이현호색 / 남도현호색 / 눈괴불주머니 / 들현호색 / 산괴불주머니 / 섬현호색 / 쇠뿔현호색 / 염주괴불주머니 / 완도현호색 / 자주괴불주머니 / 점현호색 / 조선현호색 / 탐라현호색 / 털현호색 / 현호색 / 흰현호색 / 댓잎현호색 / 빗살현호색 ○ 분포|자생지 한국(고유종) .. 2013. 4. 3.
각시현호색 각시현호색 | Gak-si-hyeon-ho-saek Corydalis misandra B.U.Oh ※기재문헌 Korean J. Pl. Taxon 36 : 138 (2007) ○ 국명 정보 각시현호색 : 오병운 , 최혁재 "한국에서 발견된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1신종", 기재문헌 Korean J. Pl. Taxon 36 : 138 (2007) ○ 국명의 유래 "각시 + 현호색", 각시현호색이라는 이름은 꽃이 각시처럼 예쁜 현호색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현호과(Fumariaceae) 현호색속(Corydalis) 각시현호색 / 갈퀴현호색 http://blog.daum.net/ihogyun/2762558 / 갯괴불주머니 / 괴불주머니 / 난장이현호색 / 남도현호색 / 눈괴불주머니 / 들현호색 / 산괴불주.. 2013. 4. 2.
산괭이눈 산괭이눈 | San-gwaeng-i-nun_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 국명정보 산괭이눈 : 이창복 : (1969) ○ 국명의 유래 "산 + 괭이눈", 산괭이눈이라는 이름은 산 속 저지대 계곡 주변에서 자라는 괭이눈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괭이눈을 기본으로 하고 자생지인 산을 추가하여 신칭했다.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가지괭이눈 / 누른괭이눈 / 산괭이눈 / 선괭이눈 / 애기괭이눈 / 제주괭이눈 / 흰괭이눈(흰털괭이눈) / 금괭이눈 / 시베리아괭이눈 / 큰괭이눈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만주(남부) | 경기, 강원, 충북, 경북, 제주, 북부지방의 산자락의 숲 가장자리, 저지대 계곡 주변에서.. 2013. 4. 2.
애기괭이눈 애기괭이눈 | 덩굴괭이눈, 애기괭이눈풀, 蔓金腰(만금요, 중국명) Ae-gi-gwaeng-i-nun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 국명정보 애기괭이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애기 + 괭이눈", 애기괭이눈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작고 귀여운 괭이눈이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가지괭이눈 / 누른괭이눈 / 산괭이눈 / 선괭이눈 / 애기괭이눈 / 제주괭이눈 / 흰괭이눈(흰털괭이눈) / 금괭이눈 / 시베리아괭이눈 / 큰괭이눈 ○ 분포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일본, 한국.. 2013. 4. 2.
천마괭이눈 천마괭이눈 | 금괭이눈, 알괭이눈, 황금빛괭이눈 Cheon-ma-gwaeng-i-nun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var. valdepilosum Ohwi | 이명 Chrysosplenium sphaerospermum Maxim(2009),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H. Hara(2010) ○ 국명정보 천마괭이눈 : 정영호, 김영동 (1988) 금괭이눈 : 박만규 (1974) 알괭이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천마 + 괭이눈", 천마괭이눈이라는 이름은 자생지 경기도 천마산에서 처음 발견 채집된 데서 유래했다. 천마괭이눈을 금괭이눈이라고도 하는데 꽃받침조각과 꽃 주위의 잎 색깔이 노랗게.. 2013. 4. 2.
고사리(1) 고사리(1)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A. Heller ○ 분류 고사리과(Pteridaceae) 고사리속(Pteridium) 고사리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중국, 만주, 시베리아, 사할린, 등 북반구 온대와 난대 | 강원, 경기,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 등 전국의 산지나 풀밭 양지 바른 .. 2013. 4. 1.
왕지네고사리 왕지네고사리 Dryopteris monticola (Makino) C. Chr.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관중속(Dryopteris) ○ 분포|자생지 일본, 중국, 러시아, 한국 | 강원, 경기,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 등의 산지의 습한 숲 속 ○ 형태 하록성여러해살이풀 근경 굵고 짧게 옆으로 뻗는다. 엽병 길이 23.6-45.. 2013. 4. 1.
너도바람꽃(3) 너도바람꽃(3) Eranthis stellata Maxim. ☆Eranthis (봄꽃)←er(spring)+anthos(flower), stellata (반짝이는 별 같은, 별 모양)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너도바람꽃속(Eranthis) 너도바람꽃 / 변산바람꽃 / 풍도바람꽃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한국 | 전국 산지의 반음지의 .. 2013. 3. 31.
꿩의바람꽃(1) 꿩의바람꽃(1) | 중국명 多被恩蓮花, アズマイチゲ, 영문명 Many-sepal anemone Kkwong-ui-ba-ram-kkot Anemone raddeana Regel ※raddeana : 코카서스와 아무르 지역을 탐사한 19세기 독일의 자연과학자 'Gustav Ferdinand Richard Radde'를 기념한 것임. ○ 국명정보 꿩의바람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꿩의 + 바람꽃", 꿩의바람꽃이라는 이름은 땅속줄기에서 나온 잎이나 꽃받침 등의 모양이 꿩의 발을 닮았다는 뜻에서, 또는 꿩이 서식하는 산 숲속에서 자라는 바람꽃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에서 바람꽃을 기본으로 하고 서식지 또는 형태적 특징에 착안한 '꿩의'를 추가해서 신칭했다.. 2013. 3. 31.
응달고사리 응달고사리 Eung-dal-go-sa-ri Comopteris crenulatoserrulata (Makino) Nakai ○ 분류 개고사리과(Athyriaceae) 뿔고사리속(Comopteris) 지리산숲고사리 Comopteris x christenseniana (Koidz) Tagawa 뿔고사리 Comopteris decurrenti-alata (Hook.) Nakai ○ 분포|자생지 일본, 중국, 러시아 동부 | 강원, 경기, 경북, 전남, 충북, 제주의 산.. 2013.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