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중앙아시아에서 만난 식물100

비술나무(20240516) 비술나무(20240516) | 비슬나무(북한명,중국 연변), 개느릅나무, 떡느릅나무,  Siberian elmBi-sul-na-muUlmus pumila L.비술나무 (tistory.com) ○ 국명정보비술나무 :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국명의 유래 "비술 + 나무",  비술나무라는 이름은 일제강점기에 저술된 문헌에서 기록한 조선명으로 함북방언에서 유래했다. 아직까지 정확한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닭의 볏에 대한 중국 옌벤 방언으로 비슬이 있고, 이를 반영한 에서 비슬나무라는 이름을 기록했으며 북한에서 비슬나무를 추천명으로 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열매에 날개가 달린 모양이 닭의 벼슬을 닮은 것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 한편 가지가 비틀거리는 느낌이 드는 나무라.. 2024. 5. 27.
Clematis sibirica (20240517) Clematis sibirica (20240517) | 다른국명크레마티스 시비리카Clematis sibirica (L.) Mill. | 다른학명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미나리아배비과 Ranunculaceae > 으아리속 Clematis크레마티스 시비리카 Clematis sibirica (L.) Mill ○ 분포 | 자생지중국, 유럽, 러시아, 일본 |  600-2000 m 숲, 숲 가장자리에 자생한다.  ○ 형태덩굴성 목질. 가지는 눈에 띄지 않게 4-6-subterete에 angulate, glabrous; 새싹 비늘은 삼각근, 삼각형 또는 타원형, 0.4--1.8cm, 축방향 정점 사춘기입니다. 잎 2-ternate; 잎자루 3--6.5 cm; 전단지 잎은 타원형 난형, 난형 또는 피침형.. 2024. 5. 26.
은백양(20240516) 은백양(20240516) | 은버들, 영문명 silver poplar, silverleaf poplar, white poplar Eun-baek-yangPopulus alba L. | 다른학명 ○ 국명정보은백양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은백양"이라는 이름은 잎이 은빛이 나는 백양나무(포플러)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버드나무과(Salicaceae) 사시나무속(Populus) 당버들 / 물황철 / 미류나무 / 사시나무 / 수원사시나무 / 은백양 / 은사시나무 / 이태리포푸라 / 일본사시나무 / 중국황철 / 양버들 / 긴잎사시나무 ○ 분포 | 자생지 아프리카의 아틀라스 산맥에서 남유럽과 중부 유럽의 대부분을 거쳐 중앙 아시아에 이르는 지역 분포, 전 세계적으로 많은 온화하고 습한.. 2024. 5. 26.
꽃개오동(20240521) 꽃개오동(20240521) | 능소향오동나무Kkot-gae-o-dong-na-muCatalpa bignonioides Walter 재배식물 ○ 분류 능소화과(Bignoniaceae) 개오동속(Catalpa)개오동 Catalpa ovata G. Don, 1837. 꽃개오동 Catalpa bignonioides Walter, 1788.미국개오동 Catalpa speciosa Warder ex Engelm., 1880.  ○ 분포|자생지   미국(중부~남부) 원산 | 전국 공원에 조경수로 식재한다.※국내에는 1905년 평안북도 의천에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형태   수형  낙엽 교목이며, 높이 15-18m 정도로 자란다.    잎  마주나거나 돌려나며 길이 10-25cm의 광난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 2024.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