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쇠뜨기
개쇠뜨기 | 늪쇠뜨기 Gae-soe-tteu-gi Equisetum palustre L. ○ 국명정보 개쇠뜨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쇠뜨기", 개쇠뜨기라는 이름은 쇠뜨기와 유사한데 쇠뜨기보다 못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속새과(Equisetaceae) 속새속(Equisetum) 개속새 / 개쇠뜨기 / 능수쇠뜨기 / 물속새 / 물쇠뜨기 / 속새 / 쇠뜨기 / 좀속새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등 북반구 온대지역 | 북부 습지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습생한다. 뿌리줄기 옆으로 길게 뻗거나 곧게 서며 마디가 있고 흑갈색이..
2019. 1. 8.
부들(1)
부들(1) | 좀부들, 영명 Oriental cattail Bu-deul Typha orientalis C. Presl. ○ 국명정보 부들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5세기경부터 그 표현이 확인되는 옛이름 부들은 붇곶(>붓꽃)과 어원을 같이하는 이름이다. 지상부 주로 꽃이삭의 모양이 붇(筆, 붓)처럼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 옛 한약서서 부들마치, 부도좃, 부들꼿, 붇들박망이라고 한것은 약재로 사용하는 부위인 꽃이삭을 지칭한 것으로 부들이라는 이름이 꽃이삭의 모양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부들과(Typhaceae) 부들속(Typha) 꼬마부들 Typha laxmannii Lepech..
2019.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