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내몽골식물151

개감초(?) 개감초 | 가시감초, 가시쓴감초, 중국명 刺果甘草 Gae-gam-cho Glycyrrhiza pallidiflora Maxim. ※혹은 민감초 Glycyrrhiza glabra L. 민감초(-甘草, Glycyrrhiza glabra)는 감초속에 속한 식물이다. 이 식물의 뿌리를 리코리스(liquorice)라 하며, 이 뿌리에서 단맛을 추출해 낼 수 있다. ○ 국명정보 개감초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개 + 감초", 개감초라는 이름은 감초와 비슷하나 형질이 감초만 못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Fabales 콩목 > Fabaceae 콩과 > Glycyrrhiza 감초속 감초 Glycyrrh.. 2019. 1. 4.
나문재(2) 나문재(2) | 갯솔나물, 나문재기 Na-mun-jae Suaeda glauca (Bunge) Bunge | Schoberia glauca Bunge ○ 국명정보 나문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문재라는 이름은 그 어원은 미상이다. 다만 다음과 같은 견해가 있다. 1. 다만 이 나물을 반찬으로 먹던 사람들이 날마다 같은 나물만 먹으려니 맛이 없고 식상하여 밥상 위에 남아 있는 채소라 하여 '남은채'라고 부르던 것이 오늘날에는 '나문재'가 되엇다는 견해가 있다. 2. 필자는 고려가요 청산별곡에 나오는 "ㄴ· ㅁ·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ㄹ · 래 살어리랏다(나문재 굴조개랑 먹고 바다에 살어리랏다)" 'ㄴ· ㅁ· 자기 '가 곧 나문재를 뜻한다고 본다. J. S. Gale의 에.. 2019. 1. 4.
물여뀌(4) 물여뀌(4) | 개구리낚시, 땅물여뀌 Mul-yeo-kkwi Persicaria amphibia (L.) Delarbre | Polygonum amphibium L. ○ 국명정보 물여뀌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물 + 여뀌", 물여뀌라는 이름은 물이 있는 곳에서 자라는 여뀌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마디풀과(Polygonaceae) 여뀌속(Persicaria) 가는개여뀌 / 가시여뀌 / 개여뀌 / 갯마디풀, 이삭마디풀 / 겨이삭여뀌 / 고마리 / 기생여뀌 / 긴미꾸리낚시 / 긴화살여뀌 / 끈끈이여뀌 / 나도미꾸리낚시 / 넓은잎미꾸리낚시 / 대동여뀌 / 마디풀 / 만주겨이삭여뀌 / 며느리밑씻개 / 며느리배꼽 / 물여뀌 / 미꾸리낚시 / 바늘여뀌 / 바보여뀌 / .. 2019. 1. 3.
곰취(4) 곰취(4) | 곤달비/개끔취, 왕곰취, 큰곰취, 북곰취 Gom-chwi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 국명정보 곰취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곰 + 취", 곰취라는 이름은 잎이 곰의 발자국을 닮았고, 나물(취)로 먹는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강원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깊은 산에서 자라며 어린잎을 식용했다. 16세기의 한그명 '곰ㄷ·ㄹ외'가 19세기에 이르러 곰취(곰츄ㅣ) 형태로 정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금방망이족>(Senecioneae)>곰취속(Ligularia) 갯취 / 곤달비 / 곰취 / .. 2019.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