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동사니(1)
방동사니(1) | 방동산이, 검정방동사니, 검정방동산이, 차방동사니, 큰차방동사 Bang-dong-sa-ni Cyperus amuricus Maxim. ○ 국명정보 방동사니 : 이춘녕 : (1963) 방동산이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방동 + 사니", 방동사니라는 이름은 왕골과 달리 촘촘한 돗자리는 만들 수 없고 그물인 반도나 만들 수 있다는 뜻, 또는 아이들의 소꿉놀이를 뜻하는 방두깨로나 사용할 수 있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이두식 표기로 방동삼(方同三)이 있다. 문헌상으로는 방동삼>방동산이>방동사니의 형태로 음운이 변화했다. 사니(산이)는 살아 있는 존재를 뜻한다. 방동은 왕골과 대비하여 가짜 왕골의 뜻으로 사용했고, 방동은 가짜 왕골을 뜻한다. 참고 : 조민..
2016. 10. 7.
세모고랭이
세모고랭이 | 세모골 Se-mo-go-raeng-i Schoenoplectus triqueter (L.) Palla | Scirpus triqueter L. ○ 국명정보 세모고랭이 : 정태현 외2 (1949) 세모골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세모 + 고랭이" 세모고랭이라는 이름은 줄기가 세모진 고랭이(골풀)라는 뜻으로 학명의 종소명 'triqueter'(줄기가 세모진 모양)과 관련하여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큰고랭이속(Schoenoplectus) 물고랭이 / 큰고랭이 / 세모고랭이 ○ 분포|자생지 아시아, 유럽 | 전국 하천, 강, 저수지의 얕은 물에 자란다. ○ 형태 여러..
2016.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