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까락골(1) 까락골(1) | 북한명 : 울줄바늘골 Kka-rak-gol Eleocharis equisetiformis (Meinsh.) B. Fedtschenko ○ 국명정보 까락골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까락 + 골", 까락골이라는 이름은 수과를 감싸고 있는 4개의 화피편에 잔가시가 까끄라기(까락)처럼 조밀하게 나 있는 특성에 붙여졌다. ○ 분류체계 피자식물문 > 백합강 > 사초목 > 사초과 > 바늘골속 까락골 / 남방개 / 네모골 / 돌기네모골 / 둥근바늘골 / 올방개 / 올방개아재비 / 좀네모골 / 물꼬챙이골 / 바늘골 / 쇠바늘골 / 무화피올방개아재비 / 쇠털골 / 참바늘골 ○ 분포|자생지 중국, 만주, 일본, 한국 | 함남북, 전남, 제주 등의 사질(砂質)의 습지에 난다... 2016. 12. 1.
한라사초 한라사초 | 제주사초 Han-ra-sa-cho Carex erythrobasis H.Lév. & Vaniot 한반도특산종 ○ 국명정보 한라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한라 + 사초", 한라사초라는 이름은 제주도 한라산에서 분포하는 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 Digitatae절 난사초, 청피사초, 녹빛사초, 한라사초, 가는잎그늘사초, 그늘사초, 넓은잎그늘사초, 왕그늘사초, 애기감둥사초, 진들사초, 꼬랑사초, 산양지사초, 언덕사초 ○ 분포|자생지 한국 | 제주, 전남, 경기(소요산), 강원(금강산), 함남, 함북(무산) 등의 깊은 산 숲 속에 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고 약간 섬세한 삼릉형.. 2016. 11. 29.
왕삿갓사초(1) 왕삿갓사초(1) | Wang-sat-gat-sa-cho Carex rhynchophysa Fisch. C. A. Mey. & Avé-Lall. | Carex rhynchophysa C. A. Meyer 북방계식물 ○ 국명정보 왕삿갓사초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왕 + 삿갓사초", 왕삿갓사초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상대적으로 보다 큰(왕) 삿갓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Rhysocarpae절 물사초 / 새방울사초 / 왕삿갓사초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중국(만주), 러시아(시베리아, 사할린, 캄차카), 몽골, 유럽 | 함남북에 한랭한 곳의 고산습지에 난다. 남한에서는 대암산 용늪에서만 관찰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2016. 11. 25.
좀매자기(1) 좀매자기(1) | 작은매자기, 졸매자기, 새섬매자기(대한식물도감) Jom-mae-ja-gi Scirpus planiculmis F.Schmidt ○ 국명정보 좀매자기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좀 + 매자기", 좀매자기란 이름은 매자기를 닮았으나 식물체가 더 작다(좀)는 뜻에서 유래했다. 매자기라는 이름은 이 풀로 삿갓이나 비옷을 만든다(맺는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매자기의 어원은 으로 올라가는데 'ㅁ·ㅣㅈ·ㅂ갇'이다. 'ㅁ·ㅣㅈ·ㅂ'은 맺음 또는 매듭의 뜻으로 맺는 행위나 그로써 생산된 것을 뜻하고, '갇'은 삿갓을 뜻한다. 'ㅁ·ㅣㅈ·ㅂ갇'은 삿갓이나 비옷을 만든다는 뜻에서 유래했고, 'ㅁ·ㅣㅈ·ㅂ갇'이 변해 매자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 2016.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