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좀보리사초(1) 좀보리사초(1) Jom-bo-ri-sa-cho Carex pumila Thunb. ○ 국명정보 좀보리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좀 + 보리사초", 좀보리사초라는 이름은 식물체 키가 작고 수과가 보리알을 닮은 데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Paludosae절 회령사초 / 인제사초 / 좀보리사초 / 큰천일사초 / 천일사초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만주), 러시아(사할린), 뉴질랜드, 북미 | 전국의 바닷가 모래땅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몹시 길게 옆으로 벋으며 섬유같이 갈라진 갈색 인편으로 덮인다. 줄기 둔한 3릉형이며 대부분이 엽초로 싸이고 높이 10~25㎝이다. 잎 편평하고 너비 2.. 2017. 4. 16.
개바늘사초 개바늘사초 | 개바눌사초, 잔바늘사초(북한명) Gae-ba-neul-sa-cho Carex uda Maxim. ○ 국명정보 개바늘사초 : 이창복 (1980) 개바눌사초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개 + 바늘사초", 개바늘사초라는 이름은 바늘사초와 유사한(개) 종류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과낭이 성숙할 때 뒤쪽으로 젖혀지는 특징이 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바늘사초절(Unispicate Group) 솔잎사초 / 잔솔잎사초 / 애기바늘사초 / 개바늘사초 / 산바늘사초 / 눈사초 ○ 분포|자생지 한국 | 중북부지방의 고산지대 습한 숲 속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고 높이 15~50cm, 지름 1mm 정도며 능각이 예리하고 밋.. 2017. 1. 18.
바늘사초(2) 바늘사초(2) | 음알바눌사초, 좀바늘사초, 듬달바늘사초 Ba-neul-sa-cho Carex onoei Franch. & Sav. ○ 국명정보 바늘사초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바늘 + 사초", 바늘사초라는 이름은 바늘처럼 가는 사초라는 뜻이다. 전통 명칭 사초를 기본으로 하고 형태적 특징 바늘을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바늘사초절(Unispicate Group) 솔잎사초 / 잔솔잎사초 / 애기바늘사초 / 개바늘사초 / 산바늘사초 / 눈사초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일본, 러시아(만주, 아무르, 우수리), 한국 | 경남(지리산), 경기.. 2017. 1. 18.
애기사초 애기사초 | 둥글사초, 흰사초 Ae-gi-sa-cho Carex conica Boott ○ 국명정보 애기사초 :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애기 + 사초", 애기사초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다른 유사종에 비해 애기처럼 키가 작은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가는사초 / 가는잎보리사초 / 가지청사초 / 갈미사초 / 감둥사초 / 개바늘사초 / 개찌버리사초 / 갯보리사초 / 갯사초 / 검정타래사초 / 겨사초 / 겹개구리사초 / 골사초 / 곱슬사초 / 괭이사초 / 구름사초 / 구슬사초 / 그늘사초 / 그늘흰사초 그물사초 / 긴목포사초 / 길뚝사초 / 까락사초 / 꼬랑사초 / 나도그늘사초 / 나도별사초 / 낚시사초 / 난사초 / .. 2017.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