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식물/사초과336 천일사초(1) 천일사초(1) | 갯갓사초 Cheon-il-sa-cho Carex scabrifolia Steud. ○ 국명정보 천일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천일 + 사초', 천일사초라는 이름은 한자명 千日莎草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Paludosae절 회령사초 / 인제사초 / 좀보리사초 / 큰천일사초 / 천일사초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만주, 러시아(우수리) | 전국의 해안가 해수가 드나드는 하구의 습지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잘게 갈라진 갈색 인편으로 덮인 지하경이 길게 뻗는다. 줄기 둔한 3릉형으로 높이 20~60㎝이며 질기다. 잎 편평하고 너비 1.5~2.5㎜로서 보통 줄기보다 길며.. 2016. 11. 20. 층층고랭이(1) 층층고랭이(1) | 멧돼지새 Cheung-cheung-go-raeng-i Cladium chinense Nees ○ 국명 정보 층층고랭이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층층 + 고랭이", 이라는 이름은 줄기의 여러 마디에 여러 개의 꽃이 액생하여 산방화서을 이룬 모양이 층을 이룬다는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층층고랭이속(Cladium) 층층고랭이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 제주도, 전남 지역의 해안지역 습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총생하며 둔한 3릉형이며 평활하고 때로 마디에서 잎이 모여난다. 2-3m 정도로 장대다. 잎 편평하고 줄기 기부에서는 모여나며 너비 8~10㎜로 몹시 단단하고 중.. 2016. 11. 20. 꼴하늘지기(1) 꼴하늘지기(1) | 꼴하눌직이, 골하늘직이, 꼴하늘직이, 산하늘지기 Kkol-ha-neul-ji-gi Fimbristylis tristachya R. Br. var. subbispicata (Nees & Meyen) T. Koyama ○ 국명정보 꼴하늘지기 : 이춘녕 (1963) 꼴하눌직이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꼴 + 하늘지기", 꼴하늘지기라는 이름은 하늘지기와 비슷한 모양(꼴)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모양을 뜻하는 꼴이 대상을 닮았다는 뜻으로 쓰일 때에는 세모꼴과 같이 비교 대상이 꼴의 앞에 위치하므로 이러한 해석은 우리말의 용례에 맞지 않다. 꼴하늘지기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기도 하므로 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꼴)로 사용할 수.. 2016. 11. 11. 털하늘지기 털하늘지기 | Teol-ha-neul-ji-gi Fimbristylis dichotoma for. tomentosa (Vahl) Ohwi | Fimbristylis dichotoma f. tomentosa (Vahl) Ohwi ○ 국명정보 털하늘지기 : ? ○ 국명의 유래 "털 + 하늘지기", 털하늘지기라는 이름은 식물체에 털이 많은 하늘지기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하늘지기속(Fimbristylis) 검정하늘지기 / 민하늘지기 / 바다지기 / 바람하늘지기 / 밭하늘지기 / 쇠하늘지기 / 애기하늘지기 / 제주하늘지기 / 좀민하늘지기 / 큰하늘지기 / 털잎하늘지기 / 푸른하늘지기 / 하늘지기 / 갯하늘지기 / 꼴하늘지기 / 둥근하늘지기 / 암하늘지기 /.. 2016. 11. 4.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