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들하늘지기(1) 들하늘지기(1) | 어른지기, 별하늘지기, 해남하늘지기 Deul-ha-neul-ji-gi Fimbristylis complanata var. exalata (T.Koyama) Y.C. Tang ex S.R. Zhang & T. Koyama | Fimbristylis complanata f. exalata T.Koyama ○ 국명정보 들하늘지기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들 + 하늘지기", 들하늘지기라는 이름은 주로 들판에서 자라는 하늘지기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하늘지기속(Fimbristylis) 검정하늘지기 / 민하늘지기 / 바다지기 / 바람하늘지기 / 밭하늘지기 / 쇠하늘지기 / 애기하늘지기 / 제주하늘지기 / 좀민하늘지기 / 큰하늘지기 / 털잎.. 2017. 10. 2.
꽃하늘지기(1) 꽃하늘지기(1) | 실하눌직이, 꽃하눌직이, 꽃하늘직이 Kkot-ha-neul-ji-gi Bulbostylis densa (Wall.) Hand.-Mazz. ○ 국명정보 꽃하늘지기 : 꽃하눌직이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꽃 + 하늘지기" 꽃하늘지기라는 이름은 꽃이 아름다운 하늘지기라는 뜻이다. 꽃하눌직이> 꽃하늘지기의 변화를 과정을 거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하늘지기속(Fimbristylis) 좀민하늘지기 / 애기하늘지기 / 들하늘지기 / 하늘지기 / 남하늘지기 / 털하늘지기 / 검정하늘지기 / 갯하늘지기 / 둥근하늘지기 / 큰하늘지기 / 바람하늘지기 / 민하늘지기 / 암하늘지기.. 2017. 10. 2.
너도고랭이 너도고랭이 | 문채개올미, 율무골, 구슬율무꽃, 율무꽃 Neo-do-go-raeng-i Scleria parvula Steud. ○ 국명 정보 너도고랭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너도 + 고랭이", 너도고랭이라는 이름은 형태상 고랭이와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 (Cyperaceae ) 너도고랭이속 (Scleria) 너도고랭이, 무등풀, 애기덕산풀 ○ 분포|자생지 한국, 인도,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 아프리카 | 거의 전국의 산지 근처의 습지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고, 옆으로 늘어지며, 높이 30~50cm이다. 잎 주로 줄기에 달리고 너비 3~5mm이며, 잎집은 날개가 있다. 꽃은 7~10월에 핀다. 꽃 7~10월에 피.. 2017. 10. 2.
반들대사초 반들대사초 | Ban-deul-sa-cho Carex splendentissima U. Kang & J.m.Chung ○ 국명정보 반들대사초 : U. C. Kang, J Jung, SS Lee, G Kim, J(2012) ○ 국명의 유래 "반들 + 대사초", 반들대사초라는 이름은 대사초를 닮았으나 잎이 넓고 반들거리는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대사초절(Siderostictae) 대사초 / 털대사초 / 지리대사초 / 반들대사초 / 지리대사초 '골든 에저' ○ 분포|자생지 한국 | 중부지방의 석회암지대 활엽수림의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가늘고 긴 근경이 얕게 땅속을 수평으로 퍼져 포복하며, 성글게 무리지어 자란다. 굵기.. 2017.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