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좀송이고랭이 좀송이고랭이 | 참송이골 Jom-song-i-go-raeng-i Scirpus mucronatus L. ○ 국명정보 좀송이고랭이 :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좀 + 송이고랭이", 좀송이고랭이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보다 작은(좀) 송이고랭이 종류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올챙이골속(Schoenoplectus) =>광의의 고랭이속에 포함됨 송이고랭이, 좀송이고랭이, 수원고랭이, 올챙이고랭이, 광릉골, 제주올챙이고랭이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일본, 유럽 | 경기도, 남부지방의 논, 연못, 습지 등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영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짧게 뻗는다. 줄기 높이는 44~106cm이다. 줄기는 모여나고, 단면은 모서리가 예리한 정삼각형이거나 날개가 .. 2017. 8. 30.
애기방동사니 애기방동사니 | Ae-gi-bang-dong-sa-ni Cyperus pygmaeus Rottb. ○ 분류 사초과(Cyperaceae) 방동사니속(Cyperus) 금방동산이 / 꽃방동산이 /드렁방동산이 / 모기방동산이 / 물방동산이 / 방동산이 / 방동산이대가리 / 방동산이아재비 / 병아리방동산이 / 쇠방동산이 / 알방동산이 / 우산방동산이 / 중방동산이.. 2017. 8. 29.
솔방울고랭이 솔방울고랭이 | 꽃방울골/방울골, 솔방울골, 나도고랭이 Sol-bang-ul-go-raeng-i Scirpus karuizawensis Makino ○ 국명정보 솔방울고랭이 : 정태현 솔방울골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솔방울 + 고랭이", 솔방울고랭이라는 이름은 다수의 소수군이 모여 달리는 모습이 마치 솔방울 같고 고랭이(골풀)를 닮은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는 솔방울골을 신칭했으나 에서 솔방울고랭이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고랭이속(Scirpus) 검은도루박이 / 고성골 / 광능골 / 남양골 / 도루박이 / 매자기 / 새섬매자기 / 솔방울고랭이 .. 2017. 8. 27.
꼴하늘지기(2) 꼴하늘지기(2) | 꼴하눌직이, 골하늘직이, 꼴하늘직이, 산하늘지기 Kkol-ha-neul-ji-gi Fimbristylis tristachya R. Br. var. subbispicata (Nees & Meyen) T. Koyama ○ 국명정보 꼴하늘지기 : 이춘녕 (1963) 꼴하눌직이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꼴 + 하늘지기", 꼴하늘지기라는 이름은 하늘지기와 비슷한 모양(꼴)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모양을 뜻하는 꼴이 대상을 닮았다는 뜻으로 쓰일 때에는 세모꼴과 같이 비교 대상이 꼴의 앞에 위치하므로 이러한 해석은 우리말의 용례에 맞지 않다. 꼴하늘지기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기도 하므로 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꼴)로 사용할 수.. 2017.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