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가시개올미 가시개올미 | Ga-si-gae-ol-mi Scleria rugosa R.Br.| Scleria rugosa var. onoei (Franch. & Sav.) Yonek. ○ 분류 사초과 (Cyperaceae ) 너도고랭이속 (Scleria) 가시개올미, 구실개올미, 애기개올미, 애기덕산풀, 무등풀,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등 | 남부지방의 야산 습지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풀 뿌리줄기 붉은색, 섬유질이다. 줄기 모여나고, 곧추서며, 높이 10-25cm, 삼릉형이고 잔털이 있다. 잎 줄기잎이 잎집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잔털 혹은 가는 털이 있다. 잎몸은 선형으로 너비 2-4mm이나 끝에서는 점차 좁아지고 지질이며 양면에 가는 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는 까끌거리며 끝은 둔한.. 2017. 8. 20.
좀고양이수염 좀고양이수염 | 좀괭이수염, 새캐미수염, 새골풀아재비, 새끼고양이수염 Jom-go-yang-i-su-yeom Rhynchospora fujiiana Makino ○ 국명 정보 좀고양이수염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좀 + 고양이수염", 좀고양이수염이라는 이름은 고양이수염을 닮았으나 식물체가 작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 (Cyperaceae) 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 고양이수염, 좀고양이수염, 흰고양이수염, 붉은골풀아재비, 큰고양이수염, 한라골풀아재비, 골풀아재비, 해오라비사초(재배)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 북부지방 금강산, 남부지방 제주도 등의 습지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고, 높이 30~80cm이다. 잎 잎은 꽃차례가 달리는.. 2017. 8. 20.
너도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 까치밥, 까치방동사니, 너도방동산이 Neo-do-bang-dong-sa-ni Cyperus serotinus Rottb. ○ 국명 정보 너도방동사니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너도 + 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라는 이름은 형태상 방도사니와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방동사니속(Cyperus) 물방동사니, 쇠방동사니, 금방동사니, 향부자, 모기방동사니, 우산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방동사니, 무른방동사니, 방동사니대가리, 방동나시아재비, 알방동사니, 흰방동사니, 왕골, 산형쇠방동사니, 우산쇠방동사니, 참방동사니, 종려방도사니, 파피루스, 드렁방동사니, 갯방동사니, 껄끔방동사니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및 유라시아에서 베.. 2017. 8. 19.
까락골(2) 까락골(2) | 줄바늘골 Kka-rak-gol Eleocharis equisetiformis (Meinsh.) B. Fedtsch. ○ 국명정보 까락골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까락 + 골", 까락골이라는 이름은 수과를 감싸고 있는 4개의 화피편에 잔가시가 까끄라기(까락)처럼 조밀하게 나 있는 특성에 붙여졌다. ○ 분류체계 피자식물문 > 백합강 > 사초목 > 사초과 > 바늘골속 까락골 / 남방개 / 네모골 / 돌기네모골 / 둥근바늘골 / 올방개 / 올방개아재비 / 좀네모골 / 물꼬챙이골 / 바늘골 / 쇠바늘골 / 무화피올방개아재비 / 쇠털골 / 참바늘골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제주도, 북부지방의 습지에 자란다. 저지대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 2017.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