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융단사초(3) 융단사초(3) Yung-dan-sa-cho Carex miyabei Franchet. ○ 국명정보 융단사초 : ? ○ 국명의 유래 "융단 + 사초", 융단사초라는 이름은 산지의 물가나 강가의 모래땅에 마치 융단을 깔아놓은 듯 무리를 이루어 자라는 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가는사초 / 가는잎보리사초 / 가지청사초 / 갈미사초 / 감둥사초 / 개바늘사초 / 개찌버리사초 / 갯보리사초 / 갯사초 / 검정타래사초 / 겨사초 / 겹개구리사초 / 골사초 / 곱슬사초 / 괭이사초 / 구름사초 / 구슬사초 / 그늘사초 / 그늘흰사초 그물사초 / 긴목포사초 / 길뚝사초 / 까락사초 / 꼬랑사초 / 나도그늘사초 / 나도별사초 / 낚시사초 / 난사초 / 난쟁.. 2023. 4. 28.
대사초(1) 대사초(1) | Dae-sa-cho Carex siderosticta Hance 대사초 원본 https://ihogyun.tistory.com/2763668 ○ 국명정보 대사초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대 + 사초", 대사초라는 이름은 잎이 나란히맥으로 대나무와 유사한 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민간에 실제 사용한 이름을 채록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대사초절(Siderostictae) 대사초 / 털대사초 / 지리대사초 / 반들대사초 / 지리대사초 '골든 에저'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 전국의 산지 숲 속 그늘진 곳에 자란다... 2023. 4. 28.
산괭이사초(2) 산괭이사초(2) | 살쾡이사초 San-gwaeng-i-sa-cho Carex leiorhyncha C. A. Mey. | Vignea leiorhyncha (C. A. Mey.) Soják ※처음 애괭이사초로 정리한 것을 애괭이사초로 정정함 ○ 국명정보 산괭이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산 + 괭이사초", 산괭이사초라는 이름은 산에 나는 괭이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 사초속(Carex) > 괭이사초절(Vignea) 진퍼리사초, 대암사초, 애괭이사초, 산괭이사초, 괭이사초, 대구사초, 양덕사초, 도랭이사초, 가는사초, 경성사초, 덩굴사초, 바위사초, 함북사초, 산타래사초, 산사초, 북사초, 큰산사초. 나도별사초, 충실사초, 타래사.. 2023. 4. 27.
올방개아재비(1) 올방개아재비(1) | 검바늘골, 검은바늘골(북한명), 골풀아재비, 물골, 석냥골 Ol-bang-gae-a-jae-bi Eleocharis kamtschatica (C. A. Mey.) Kom. | 이명 Eleocharis pileata A. Gray | 원기재명 Scirpus kamtschaticus C. A. Mey. ○ 국명정보 올방개아재비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올방개 + 아재비", 올방개아재비라는 이름은 올방개를 닮았으나 올방개와 똑같지는 않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올방개라는 이름의 직접적인 어원은 올방ㄱ·ㅣ로, 경기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올과 방ㄱ·ㅣ의 합성어로 올미와 방ㄱ·ㅣ를 닮았다는 뜻이다. 한불자전에서는 방ㄱ.. 2023.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