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가는잎그늘사초(1) 가는잎그늘사초(1) | 산거울, 그늘사초, 김의털, 좀그늘사초 Ga-neun-ip-geu-neul-sa-cho Carex humilis var. nana (H.Lev. & Vaniot) Ohwi ※가는잎그늘사초 원본 https://ihogyun.tistory.com/2762573 ○ 국명정보 가는잎그늘사초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가는잎 + 그늘나사초", 가는잎그늘사초라는 이름은 그늘사초와 유사하나 잎이 상대적으로 더 가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 Digitatae절 난사초, 청피사초, 녹빛사초, 한라사초, 가는잎그늘사초, 그늘사초, 넓은잎그늘사초, 왕그늘사초, 애기감둥사초, 진들사초, 꼬랑사초, 산양지사초, 언.. 2023. 4. 5.
참방동사니 참방동산이 | 참방동산이 Chsam-bang-dong-sa-ni Cyperus iria L. ○ 국명정보 참방동사니 : 이춘녕 (1963) 참방동산이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참 + 방동사니", 참방동사니라는 이름은 진짜(참) 방동사니라는 뜻이다. 맞춤법에 따라 참방동산이>참방동사니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023. 4. 5.
좀네모골(6) 좀네모골(6) | 네모골 Jom-ne-mo-gol Eleocharis wichurae Boeck. ○ 국명정보 좀네모골 :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좀 + 네모골" 좀네모골이란 이름은 네모골과 닮았지만 식물체자 보다 작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네모골이라는 이름은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신칭한 것이다. 줄기가 네모지다는 뜻의 종소명 'tetraquetra'에서 유래했다. 즉 줄기가 네모지고 골풀을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체계 피자식물문 > 백합강 > 사초목 > 사초과 > 바늘골속 까락골 / 남방개 / 네모골 / 돌기네모골 / 둥근바늘골 / 올방개 / 올방개아재비 / 좀네모골 / 물꼬챙이골 /.. 2022. 9. 15.
방동사니대가리(2) 방동사니대가리(2) | 방동산이대가리 Bang-dong-sa-ni-dae-ga-ri Cyperus sanguinolentus Vahl | Pycreus sanguinolentus (Vahl) Nees ○ 국명정보 방동사니대가리 : 이창복 : (1969) ○ 국명의 유래 "방동사니 + 대가리", 방동사니대가리라는 이름은 화서에 대가 짧은 30-10개의 작은이삭이 산형으로 모여 머리모양을 이루는 것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방동사니속(Cyperus) 물방동사니, 쇠방동사니, 금방동사니, 향부자, 모기방동사니, 우산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방동사니, 무른방동사니, 방동사니대가리, 방동나시아재비, 알방동사니, 흰방동사니, 왕골, 산형쇠방동사니, 우산쇠방동사니, 참방동사니, 종려방도사니.. 2022.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