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릉도식물228

너도밤나무(1) 너도밤나무(1) Neo-do-bam-na-mu Fagus engleriana Seem. ex Diels ○ 국명정보 너도밤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1. 19세기 말 울릉도에 사람들이 이주해 살기 시작했을 때 첫 이주민 중에은 경상도와 전라도 사람들이 상당히 있었다. 그들이 울릉도에 오기 전부터 알고 있었던 나도밤나무와 구별하기 위해 너도밤나무라는 이름으로 불렀을 것이다. 너도밤나무는 우리나라 내륙에는 없고 울릉도에만 분포한다. 출전:박상진(2019) 2. "너도 + 밤나무", 너도밤나무라는 이름은 열매가 작은 밤과 같은 모양이므로 밤나무를 닮았다(너도)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참나무과(Fag.. 2019. 12. 4.
붉은완두(1) 붉은완두(1) Bulgeun-wan-du Pisum sativum var. arvense (L.) Trautv. 재배식물 ○ 국명정보 붉은완두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붉은 + 완두", 붉은완두라는 이름은 붉은색을 띠는 꽃이 피는 완두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콩과(Leguminosae) 완두속(Pisum) 완두 / 붉은완두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 전국 밭에 작물로 식재한다. ○ 형태 생활형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 줄기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덩굴지며, 높이 100cm, 밑에서 가지를 치고, 전체에 털이 없다. 잎 어긋나며, 2~3쌍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끝은 뾰족하거나 둔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끝에 갈라진 긴 덩굴손이 있다. 턱잎은 긴 .. 2019. 12. 4.
일색고사리(5) 일색고사리(5) Il-saek-go-sa-ri Arachniodes standishii (T. Moore) Ohwi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쇠고사리속(Arachniodes) 털비늘고사리 / 가는쇠고사리 / 좀쇠고사리 / 쇠고사리 / 꼬리쇠고사리 / 큰쇠고사리 / 일색고사리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울릉도 제주도 산지의 수림 밑 습한 곳에 자란다. ○.. 2019. 12. 4.
참나도히초미(4) 참나도히초미(4) | 수비늘개관중 Cham-na-do-hi-cho-mi Polystichum ovata-paleaceum var. coraiense (Christ) Kurata ○ 국명정보 참나도히초미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참 + 나도히초미", 참나도히초미라는 이름은 한국에 나는 진짜(참) 나도히초미라른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나도히초미속(Polystichum) 더부살이고사리 / 낚시고사리 / 십자고사리 / 검정개관중 / 큰개관중 / 좀나도히초미 / 나도히초미 / 긴개관중 / 섬나도히초미 / 나도개관중 / 비늘개관중 / 지리개관중 / 참나도히초미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강원, 경기, 충북, 경남. 전남북.. 2019. 12. 4.